2025학년도 중학교 교육과정
중학교 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기본 능력을 기르고 바른 인성 및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1. 교육목표
가.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바탕으로 자아 존중감을 기르고,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통해 적극적으로 삶의 방향과 진로를 탐색한다.
나. 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 및 문제 해결력을 바탕으로, 도전정신과 창의적 사고를 기른다.
다.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서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와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기른다.
라.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타인을 존중하고 서로 소통하는 민주 시민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마. 기본교육과정 체제하에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자유학기제를 제공한다.
2.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
가. 편제
1) 중학교 1학년과 자유학기제는 2022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과(군)와 창의적체험활동, 일상생활활동으로 편성한다.
가) 교과(군)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진로와 직업, 체육, 예술(음악/미술), 선택으로 한다. 선택교과는 정보통신활용, 보건 중에서 선택하여 운영한다.
나) 창의적체험활동은 자율‧자치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으로 한다.
다) 일상생활활동은 여가활동과 신체활동으로 한다.
라)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1학년 2학기에 편성‧운영하며 시수는 교과 및 창의적체험활동의 시수를 감축하여 확보한 시수로 운영한다.
2) 중학교 2학년과 3학년은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과(군)와 창의적체험활동을 편성한다.
가) 교과(군)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진로와 직업, 체육, 예술(음악/미술), 선택으로 한다. 선택은 여가활용, 정보통신활용, 보건 중에서 선택하여 운영한다.
나)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으로 한다.
나. 시간 배당 기준
1) 1학년
학년 구분 | 2022 기본교육과정 | |||||||
시간 배당 기준 | 우리학교 시수 | |||||||
국가 기준 | 50%내 증・감축 | 1-3학년 | 1학년 | 2학년 | 3학년 | |||
교 과 | 국어 | 374 | -152 | 222 | 74(2) | 74(2) | 74(2) | |
사회 | 374 | -152 | 222 | 74(2) | 74(2) | 74(2) | ||
수학 | 306 | -84 | 222 | 74(2) | 74(2) | 74(2) | ||
과학 | 204 | -96 | 108 | 36(1) | 36(1) | 36(1) | ||
진로와 직업 | 476 | 32 | 508 | 146(5/3) | 181(5) | 181(5) | ||
체육 | 272 | 52 | 324 | 108(3) | 108(3) | 108(3) | ||
예술 | 음악 | 238 | 118 | 356 | 71(2) | 71(2) | 36(1) | |
미술 | 71(2) | 36(1) | 71(2) | |||||
선택 | 정보통신활용 | 170 | 82 | 252 | 72(2) | 72(2) | 72(2) | |
보건 | 0 | 36(1) | 0 | |||||
합계 | 2,414 | -200 | 2,214 | 726 | 762 | 726 | ||
창의적 체험활동 | 408 | 60 | 468 | 144(4/8(4)) | 180(5) | 180(5) | ||
일상생활 활동 | 544 | 32 | 576 | 144(6/2) | 180(5) | 216(6) | ||
자유학기 | • | 108 | 108 | 108(0/6) | 0 | 0 | ||
합계 | 952 | 200 | 1,152 | 396 | 360 | 396 | ||
총 수업 시간 수 | 3,366 | 0 | 3,366 | 1,122 | 1,122 | 1,122 |
가) 중학교의 1시간 수업은 40분을 기준으로 하고 수업일수는 190일로 한다.
나) 2022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교과(군), 창의적체험활동, 일상생활활동 간 기준시수의 5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축하여 편성‧운영한다.
다) 여러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2) 2, 3학년
학년 구분 | 2015 기본교육과정 | |||||||
시간 배당 기준 | 우리학교 시수 | |||||||
국가 기준 | 50% 감축 | 1-3학년 | 1학년 | 2학년 | 3학년 | |||
교 과 | 국어 | 442 | 221 | 223 | 75(2) | 74(2) | 74(2) | |
사회 | 442 | 221 | 236 | 91(3/2) | 72(2) | 73(2) | ||
수학 | 374 | 187 | 187 | 38(1) | 74(2) | 75(2) | ||
과학 | 238 | 119 | 216 | 72(2) | 72(2) | 72(2) | ||
진로와 직업 | 612 | 306 | 542 | 182(5) | 182(5) | 178(5) | ||
체육 | 340 | 170 | 216 | 72(2) | 72(2) | 72(2) | ||
예술 | 음악 | 306 | 153 | 216 | 36(1) | 36(1) | 36(1) | |
미술 | 36(1) | 36(1) | 36(1) | |||||
선택 | 204 | 102 | 216 | 72(2) | 72(2) | 72(2) | ||
합계 | 2,958 | 1,479 | 2,052 | 674 | 690 | 688 | ||
창의적 체험활동 | 408 | 1,887 | 1,118 | 252 | 432 | 434 | ||
자유학기 | | | 196 | 196 | | | ||
학년군별 총 수업시간수 | 3,366 | 3,366 | 3,366 | 1,122 | 1,122 | 1,122 |
가) 중학교의 1시간 수업은 40분을 기준으로 하고 수업일수는 190일로 한다.
나) 학교 구성원의 요구를 반영하여 중도‧중복장애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교과(군)별 50% 범위 내에서 시수를 감축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하여 운영한다.
다) 여러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3.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중점
가. 교과
1) 운영방침
가) 학생들이 이수해야 할 3년간의 교과목을 학년별로 편성하여 안내한다.
나) 학생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탐색과 선택을 돕기 위해 진로와 직업교육을 강화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진로와 직업은 진로와 직업, 도예로 운영한다.
다) 각 교과의 기초적, 기본적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학습되도록 계획하고, 정확한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라) 교과는 필요에 따라 통합 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마) 예술(음악/미술)은 음악과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편성・운영한다.
바) 선택은 1학년은 정보통신활용, 보건 중에서 편성하고 2, 3학년은 여가활용과 정보통신활용, 보건 중에서 편성한다.
나. 창의적체험활동
1) 영역별 시간 배당 및 지도내용
가) 1학년
학년 영역 | 1학년 | 2학년 | 3학년 | 활 동 내 용 | ||||
1학기 | 2학기 | 전체 | 전체 | |||||
창 의 적 체 험 활 동 | 자율・자치활동 | 18 | 18 | 36 | 36 | 재능과 자신감 증진 활동, 주제 선택 활동, 민주적 의사 결정, 자기 옹호 활동, 건전한 신체상과 성 정체성, 입학, 학년 초기 및 학교급 전환기의 학교 생활 적응, 기본 생활 습관 형성, 주변 사람들과 관계 맺기, 교사 및 친구를 돕는 배려와 양보 실천 등 | ||
동 아 리 활 동 | 특기부서 활동 | 14 | 16 | 30 | 30 | 미술 활동, 음악 활동, 문화 체험 활동, 체육 활동, 놀이 활동 등 | ||
단체・봉사활동 | 3 | 3 | 6 | 6 | 교내・외 단체 활동, 봉사 활동 등 | |||
학교스포츠클럽 | 17 | 19 | 72 | 36 | 기초 체력 증진 활동, 구기 운동, 개인 운동, 협동 게임, 창의적 신체 표현 활동, e스포츠 활동 등 | |||
진로활동 | 18 | 18(90) | 36 | 72 | 나의 이해/나의 발견과 탐색 활동, 나의 역할 활동, 직업 인식 및 탐색 활동, 진학 인식 및 탐색 활동, 진로 및 여가생활 탐색활동, 나의 미래 활동, 직업 체험 활동, 직업 계획 활동 등 | |||
합 계 | 70 | 74(146) | 180 | 180 | |
가) 2, 3학년
학년 영역 | 1학년 | 2학년 | 3학년 | 활 동 내 용 | ||||
1학기 | 2학기 | 전체 | 전체 | |||||
창 의 적 체 험 활 동 | 자 율 활 동 | 적응・자치 | 19 | 18 | 37 | 37 | 전체조회, 시업식, 입학식, 졸업식, 종업식, 예방교육, 안전교육, 캠페인교육 등 | |
창의 주제 활동 | 현장체험 학습 | 72 | 0(72) | 146 | 146 | 경제생활, 대중교통 이용, 지역사회시설 이용, 여가생활, 공공기관 견학, 진로.직업 탐색활동 등 | ||
신체활동 | 37 | 0(36) | 35 | 70 | 놀이 활동, 체조와 표현활동, 인라인.자전거.걷기 등 학교 특색 체육 프로그램 등 | |||
전환교육 | 34 | 0(34) | 72 | 74 | 현장체험학습 사전.사후 교육, 요리활동, 직업실습활동 등 | |||
동 아 리 활 동 | 특기 부서 활동 | 18 | 0(18) | 35 | 35 | 흥미와 능력에 맞는 예술, 문화, 여가 활동 등 | ||
학교스포츠클럽 | 18 | 0(18) | 70 | 35 |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 |||
봉사활동 | 5 | 5 | 10 | 10 | 교내 봉사활동 | |||
진로활동 | 13 | 13 | 27 | 27 |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권교육, 안전교육 등 | |||
합 계 | 216 | 36(214) | 432 | 434 | |
2) 운영방침
가) 1학년
(1) 자율‧자치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으로 편성하여 운영한다.
(2) 동아리활동은 학생들의 건강한 심신발달을 위해 흥미와 관심, 능력을 고려하여 특기부서활동과 학교스포츠클럽으로 편성하여 운영한다.
(3) 동아리활동의 특기부서활동 시간을 통해 체계적인 봉사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성하여 운영한다.
(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종목과 내용은 학생들의 희망을 반영하여 학교가 정하되, 다양한 종목을 개설함으로써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한다.
(5) 추후 별도의 계획을 세워 운영한다.
가) 2, 3학년
(1)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으로 편성하여 운영한다.
(2) 자율활동은 적응・자치와 창의주제활동으로 운영한다. 창의주제활동은 현장체험학습, 신체활동, 전환교육으로 운영하며 학생들의 능력과 특성에 맞게 편성・운영한다.
(3) 동아리활동은 학생들의 건강한 심신발달을 위해 흥미와 관심, 능력을 고려하여 특기부서활동과 학교스포츠클럽활동으로 운영한다.
(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종목과 내용은 학생들의 희망을 반영하여 학교가 정하되, 다양한 종목을 개설함으로써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한다.
(5) 추후 별도의 계획을 세워 운영한다.
다. 일상생활활동
1) 영역별 시간 배당 및 지도내용
학년 영역 | 1학년 | 2학년 | 3학년 | 활동의 성격 및 내용 요소 | |
1학기 | 2학기 | 전체 | 전체 | ||
여가활동 | 72 | 0 | 144 | 144 | 개인 여가활동, 공동체 여가활동, 지역사회 여가활동 |
신체활동 | 36 | 36 | 36 | 72 | 신체 인지와 움직임, 신체 조절과 이동, 생활 속 체력 증진 |
합 계 | 108 | 36 | 180 | 216 | |
2) 운영방침
가) 여가활동과 신체활동으로 편성하여 운영하며 활동별 시수는 위와 같이 운영한다.
나) 1학년 2학기의 여가활동은 자유학기의 시수확보를 위해 편성하지 않는다.
다) 여가활동은 학생에게 여가활동 참여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의 즐거움을 발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라) 신체활동은 합동체육과 인라인활동으로 구성하여 운영한다.
라. 자유학기제
1) 영역별 시간 배당 및 지도내용
활동 영역 | 시간 (주당시수) | 내용 |
진로탐색활동 | 72(4) | 학생들이 적성과 소질을 탐색하여 스스로 미래를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진로학습 기회 제공 |
주제선택활동 | 36(2) | 학생의 흥미, 관심사에 맞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인문사회, 탐구, 교양 프로그램, 학생들의 공통된 관심사를 바탕으로 구성된 자발적, 자율적인 학생 중심 활동 |
합계 | 108(6) | |
2) 운영방침
가) 자유학기제는 1학년 2학기에 운영하며 진로탐색활동 시수는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주제선택활동 시수는 교과(군)의 진로와 직업 과목에서확보하여 운영한다.
나) 1학년 2학기에 총 108시간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다)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은 진로탐색활동, 주제선택활동으로 운영하며 영역별 시수는 위와 같이 운영한다.
마) 교과는 자유학기제 취지에 부합하도록 주제융합수업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한다.
바) 협동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학생 참여형 수업을 강화한다.
사) 코티칭, 팀티칭, 합동 수업 등 다양한 교육 방법을 통해 교실 수업 혁신에 이바지하도록 한다.
아) 자유학기제의 운영 취지가 타 학기・학년에도 연계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자) 상급 학교로 진학하기 전 학교생활 적응, 교과 학습의 연계, 다양한 진로 탐색 활동 등을 통해 진로연계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자) 추후 별도의 계획을 세워 운영한다.
4. 평가
가. 교과
1) 기본 방향
가) 과목별 학년 연간교육계획 및 평가준거 성취기준에 따라 교육목표 도달 정도를 확인하여 학생의 성취도와 성장발달 정도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며 학생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자료를 다각적으로 수집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한다.
나) 인지적 측면, 정서・사회적 영역, 신체 발달 영역을 모두 고려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학생의 현재 수준과 잠재적으로 성장・발달할 수 있는 수준까지 확인하여 평가한다.
다) 학생의 수행과정 및 결과를 관찰・확인하여 평가하며 자기주도성, 참여도 등을 중심으로 실제 관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한다.
라) 평가는 매 학기 말에 실시하고, 과목별 교육과정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영역, 평가내용(요소). 평가방법 등을 포함하여 평가하며 NEIS에 기록한다.
마) 평가 방법은 관찰, 포트폴리오, 프로세스폴리오, 누가기록, 보호자 면담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 활용하여 학생의 학습 과정 및 진보 정도를 문장으로 기술한다.
바) 평가는 학생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과정 중심 평가를 학습 상황에 대한 평소의 평가와 계속 지도한 결과를 자료로 학생 개개인의 교과별 교수(수업)목표의 성취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며 평가결과는 매 학기 학교생활통지표를 통해 가정으로 통지한다.
2) 평가 절차
성취기준 분석 | | ▪ 성취기준 중 반드시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 핵심 성취기준 추출 | |
| | | |
평가 목표 설정 | | ▪ 교육목표와 연계하여 성취수준을 설정 | |
| | | |
평가 방법 수립 | | ▪ 평가 방향, 기본 방침에 따른 평가 방법 수립 | |
| | | |
평가 실시 | | ▪ 성취기준 도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평가 실시 | |
| | | |
평가 결과 기록 | | ▪ 평가 결과를 기록부에 누계로 기재하고 서술식 평가 자료로 활용 | |
| | | |
평가 결과 활용 | | ▪ 차기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유용한 자료로 활용 |
나. 창의적체험활동
1) 건전하고 다양한 집단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나눔과 배려를 실천함으로써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개인의 소질과 잠재력을 계발・신장하여 창의적인 삶의 태도를 함양하는 데 있다.
2) 활동실적, 진보의 정도, 행동의 변화, 특기사항 등을 종합하여 평가한 결과를 문장으로 기술한다.
3) 창의적 체험활동은 연간계획에 의거하여 학년 또는 학급별 특성에 맞게 편성하여 운영한다.
4)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 지도 영역의 특성, 학생의 특성이 반영된 평가를 실시하며 서술식으로 기록한다.
5)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대한 학생, 보호자, 교사의 의견을 조사하여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반영한다.
6)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기사항은 평소의 활동 상황을 누가 기록한 자료를 토대로 학생의 활동실적, 진보의 정도, 행동의 변화, 특기사항 등을 담임 또는 담당 교사가 평가한다.
7)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는 활동을 누가기록하고 매 학기 말에 NEIS에 입력한다.
다. 일상생활활동
1) 학생의 생활적응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개별 학생의 생활연령, 발달 수준,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평가한다.
2) 별도의 연간계획을 근거로 과정별 또는 학년별 특성에 맞게 편성하여 운영한다.
3) 활동 결과, 발전 수준, 행동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한 내용을 문장으로 작성한다.
4) 일상생활활동의 특기사항은 평소 활동 내용을 기록한 자료를 바탕으로, 담임 교사나 담당 교사가 학생의 활동실적, 발전 정도, 행동 변화를 종합적으로 작성한다.
5)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는 활동을 누가기록하고 매 학기 말에 NEIS에 입력한다.
라. 자유학기제
1) 협동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학생 참여형 수업 강화 및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과정중심의 평가를 실시한다.
2) 자유학기를 이수한 모든 학생의 교과 이수 여부를 성취도란에 ‘P’로 입력하며 교과 학습 발달 상황 및 자유학기 활동 상황에 대해 개별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중심으로 학교생활기록부에 문장으로 기록한다.
마. 행동발달상황 평가
1) 학생의 행동 발달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교 교육 활동의 개선 자료를 추출하고 학생 개인의 바람직한 성장을 지원한다.
2) 학생들의 행동발달 상황은 정의적 영역과 기본생활 습관의 정착에 중점을 두어 평가 한다.
3) 행동발달상황을 기록할 때에는 행동발달상황에 나타난 특성 중에서 잘하고 있는 행동이나 고쳐야 할 행동을 근간으로 긍정적인 면을 기술한다.
4) 학생의 통합된 행동 특성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장면을 통하여 평가함으로써 평가 결과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높인다.
5) 행동발달상황의 기록은 수시 관찰평가를 통해 누가 기록한 후, 학기 말에 종합의견에 기술한다.
6) 평가 결과는 학생 개개인의 성장발달, 교수・학습 방법의 학습 환경 개선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평가
1) 과정별 협의회를 실시하여 교과(군),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활동의 편성과 운영 내용 및 운영 방법 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는 다음 학년도 학교 교육과정 편성 시 반영한다.
5. 중학교 직업교육 운영계획
가. 목적
진로와 직업교육은 성인으로서 삶을 살아가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하고 적용하며, 진로와 직업 세계에 대한 탐색과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진로 및 직업의 방향을 설정하고, 지역 사회 직무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길러 직업적 자립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학교에서는 중학생으로서 진로와 직업을 인식하고 탐색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하고 적용하며, 개인생활과 가정생활에 필요한 능력을 함양하고 작업 활동에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향상하며, 자신의 진로와 직업을 탐색하고 계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운영방침
1) 직업교육 내용은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의 교과와 창의적 주제활동을 연계하여 운영한다.
2) 개인생활과 가정생활에 필요한 실생활 중심의 지식, 기술, 태도를 함양하여 직업생활의 기반을 마련한다.
3) 직업 활동에 필요한 신체활동 및 학습 능력과 도구 사용 방법을 익히며, 직업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고, 기본적인 직업 태도와 능력을 향상한다.
4) 공예, 재배・사육, 판매・포장・배달, 조립, 조리, 청소・세탁・세차, 사무 지원, 대인서비스 등에 대한 기본 사항을 이해하고 도구 사용법을 익힌다.
5) 자신의 진로와 직업에 대하여 인식하고, 기초적인 직업 평가를 토대로 전환교육을 계획하며, 지역사회 관련 기관을 탐색하고 조사한다.
6) 연간교육계획을 세워서 운영한다.
6. 중학교 시간 운영 계획
요일 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
1교시 | 09:10-09:50 | | | | | |
2교시 | 10:00-10:40 | | | | | |
3교시 | 10:50-11:30 | | | | | |
4교시 | 11:40-12:20 | | 점심시간 11:30-12:30 | | | |
점심시간 | 12:20-13:20 | 점심시간 | 4교시 12:30-13:10 | 점심시간 | ||
5교시 | 13:20-14:00 | | | | | |
6교시 | 14:10-14:50 | 방과후 | | 방과후 | | |
7교시 | 15:00-15:40 | | | |
* 40분 기준, 10분 쉬는 시간, 주당 31시간, 방과후 4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