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호고등학교 로고이미지

자료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미술용어사전
작성자 *** 등록일 11.04.14 조회수 230

미술용어사전

가산혼합 : 빛의 혼합 (섞을수록 명도가 높아짐)

 갈필법 : 붓에 물기를 적게하여 거칠거칠한 느낌을 표현

감산혼합 : 물감의 혼합 (섞을수록 명도가 낮아짐)

계몽 포스터 : 불조심, 자연보호 등 국민 의식을 깨우치기 위해 그리는 포스터

고딕체 : 가로와 세로획의 굵기가 같은 글씨체

고원법 : 한국화의 원근법으로서 밑에서 높은 산을 쳐다보고 그리는 방법

고유의 색 : 자연이 지니고 있는 본래의 색(물체 색)

공기 원근법 : 멀어질수록 색이 옅어짐(색채 원근법)

과슈(gouache) : 안료를 아라비아 고무액에 혼합하여 만든 물감

구륵법 : 윤곽선을 그린 다음 그 안에 채색하는 한국화의 표현 방법

군상화 : 둘 이상 여러 사람을 그린 것

그라운드(ground) : 동판화에서 질산의 부식을 막는 것으로 아스팔트 분말과 밀납을 혼합하여 만든 것

그랑프리(grandprix)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최고상

그래픽 디자인 (graphic-design) : 인쇄 과정을 통한 디자인(포스터, 포장지, 달력)

기명절지화 : 그릇과 꽃가지를 그린 정물화

기하학적 추상 : 차가운 추상 (몬드리안, 니콜슨)

낙관 : 그림이나 서예 작품 끝에 이름을 쓰고 도장을 찍음

날염 : 판에 무늬를 새겨서 찍어내는 염색

노스탤저((nostalgia) : 향수

녹로법 : 물레로 돌려서 도자기 모양 빚는 방법

누드(nude) : 나체 작품

다크 사이드(dark-side) : 가장 어두운 부분

단금 : 쇠를 불에 달구어 망치로 두들겨 만드는 것

데생(dessin) : 소묘, 대상의 형체와 명암, 양감 등을 단색재료로 표현한 그림

데칼코마니(decalcomanie) : 종이의 한 면에 물감을 칠하고 문질러 펴 낸 맞선꼴 그림

데포르메(deformer) : 변형, 반추상형

두상 : 머리 부분을 만든 조소작품

드라이포인트(dry point) : 부식제를 쓰지 않고 동판이나 아연판에 직접 묘침으로 새긴 오목판

드리핑(dripping) : 물감 흘리기 그림(미국의 폴럭이 많이 사용)

디자인(design) : 도안, 조형활동의 계획, 제작 과정

디자인의 일관성 : 같은 행사의 초대장이나 프로그램, 포스터, 상품 등에 공통적인 디자인을 사용하는 효과

로마체 : 가로획이 가늘고 세로획이 굵은 알파벳 대문자

리놀륨(linoleum) : 탄력성이 있는 합성 고무판 재료(볼록판용)

리듬(rhythm) : 율동감(주로 형의 반복과 곡선에 의해 나타남)

리소그래피(lithograph) : 석판화(평판화)

리얼리즘(realism) : 사실주의(쿠르베, 도미에)

릴리프(relief) : 부조(반 입체의 조소 작품)

마블링(marbling) : 물위에 기름 물감을 떨어뜨리고 막대기로 저은 다음 종이를 덮어 찍어낸 무늬

마스크(mask) : 얼굴 앞면만을 조각한 작품

마티에르(matiere) : 질감(물체 표면에 나타난 매끄럽거나 꺼칠꺼칠한 느낌)

매스(mass) : 덩어리, 괴체

메조틴트 : 오목판화의 일종

면재 : 종이, 판자, 합판, 철판, 아크릴판 등

명도 : 색의 밝기 (흰색부터 검정까지 11단계)

명시성 : 두 색을 대비시켰을 때 멀리서도 잘 보이는 색

명조체 : 가로획이 가늘고 세로 획이 두꺼운 활자체

모노타이프(monotype) : 한 장 판화(책받침이나 유리판 위에 잉크를 칠하고 막대로 긁어서 찍어낸 판화)

모델(model) : 모형, 인물이나 정물 등 그림의 대상

모델링(modeling) : 소조(뼈대에 살 붙임 하는 것)

모빌(mobile) : 미국의 calder가 창안한 움직이는 조각

모자이크(mosaic) : 여러 가지 색 조각을 붙여 만든 그림(비잔틴 시대의 성당 벽화에 많이 사용됨)

모티프(motif) : 동기, 화제

몰골법 : 선을 그리지 않고 한 붓에 먹의 농담을 나타내는 한국화의 표현 방법

몽타주(montage) : 여러 가지 사진을 오려붙여 만들어 낸 그림(=포토 몽타주)

무브먼트(movement) : 동세, 운동감

무채색 : 빛깔이 없는색 (흰색, 회색, 검정)

문화 포스터 : 전시회, 운동회, 음악회등 행사 안내 포스터

민방위의 색 : 노랑(경계) 파랑(공습) 녹색(해제 경보기)

바렌 : 죽순 껍질로 만든 판화에 쓰이는 문지르개

반신상 : 몸 절반을 만든 조소작품

배색 :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조화 있게 배열하는 것

배틱(batik) : 초나 크레용의 밑그림 위에 그림 물감을 칠한 배수성 그림

백 그라운드(back ground) : 그림의 배경

백묘법 : 선으로만 나타내는 한국화의 표현 기법

밸런스(balance) : 균형(중심이 잡힌 상태)

변재 : 통나무 껍질 쪽의 판자 (무늬결)

보색 : 반대색 (보색 관계의 두 색을 혼합하면 무채색이 됨)

볼륨(volume) : 양감(명암으로 표현되는 무게감)

부벽준 : 도끼로 찍은 자국 모양의 준법

부조 : 한 면만 떠오르게 만든 반 입체의 조소

브론즈(bronze) : 동상(청동을 녹여서 만든 소조 작품)

사군자 : 매화(봄),난초(여름),국화(가을),대나무(겨울)

산세리프체 : 가로, 세로획의 굵기가 같은 알파벳 흘림체

삼묵법 : 한 붓에 농묵, 중묵, 담묵을 표현하는 방법

색상 : 색 이름 (각기 다른 빛깔)

색상환 : 색상을 둥글게 배열한 것 (교육용 20색상환)

색의 대비 : 어떤 색이 주위의 색의 영향으로 달라져 보임

색입체 : 색의 3속성을 배열한 구조체

색조(tone) : 화면의 명도 단계나 색의 조화

색채조절 : 색을 일상 생활에 합리적, 기능적으로 사용

서각 : 전각, 도장을 새기는 것 (백문-성명, 주문-호인)

서정적 추상 : 뜨거운 추상 (칸딘스키, 플록)

선재 : 실, 철사, 성냥개비 등의 재료 (입체 구성재료)

선조 : 선으로 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조소

센스(sence) : 감각

수파눙(spanung) : 긴장감(두가지 이상의 대립으로 나타나는 느낌)

쉬르 리얼리즘(surrealism) : 초현실주의(작가 미로, 달리)

스케치(sketch) : 주로 채색화의 밑그림으로 쓰이는 소묘의 일종으로서 대상의 특징과 명암을 간결하게 표현함

스퀴지(squeegee) : 나무 끝에 고무판을 붙여서 만든 잉크 밀대로서 실크스크린에 쓰인다

스크레치(scratch) : 옅은 색 크레파스 위에 짙은 색 크레파스를 겹쳐 칠한 다음 칼끝으로 긁어낸 그림

테인드 글래스(stained glass) : 여러 가지 색유리를 납으로 붙여 만든 그림 창문(중세 고딕시대의 성당에 많음)

스텐실(stencil) : 화지에 구멍을 뚫거나 오려 파내고 그 속에 물감을 밀어 넣어 만든 공판화의 일종

페이스(space) : 공간감(화면에서 느껴지는 깊이)

크스크린(silk-screen) : 등사판을 이용한 공판화

심원법 : 높은 산 위에서 깊은 골짜기를 내려다보고 그리는 한국화의 원근법

심재 : 나이테 중심 부분의 판자 (곧은결. 단단함)

심조 : 평면에서 안으로 파 들어간 조소작품

아마추어(amateur) : 직업적이 아닌 취미 화가

아방가르드(avant-garde) : 전위 미술

아크릴(acryl)물감 :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만든 불투명의 수채물감으로서 유화 물감과 같은 느낌이 난다.

아트리에(atelier) : 화실(화가의 작업실)

앙데팡당(independants) : 프랑스의 무심사 전람회

앙포르멜(informel) : 비정형, 무형상의 그림

애쿼틴트 : 오목판화의 일종

양재 : 찰흙, 돌, 나무토막 등의 덩어리 재료

어해화 : 물고기 그림

에칭(etching) : 동판화(부식제를 사용한 오목판화)

엑스포(EXPO) : 4년마다 열리는 국제 박람회

엔바이런먼트(environment-art) : 환경미술

연변대비 : 두 색의 경계선 부분이 뚜렷하게 보이는 현상

영모화 : 한국화에서 새나 짐승 등을 그린 것

영상 디자인 : 영화, TV를 통한 디자인

오브제(objet) : 물질, 물체

와상 : 누워 있는 모습의 조소작품

우점준 : 한국화의 표현기법 중 빗방울 모양의 준법

운염법 : 붓에 물기를 많게 하여 번지게 하거나 농담을 표현

유채색 : 무채색을 제외한 모든 색 (순색, 청색, 탁색)

이미지 구성 : 생각이나 느낌을 형체와 색채로 꾸미는 것

이미지(image) : 상상, 영상

인그레이빙 : 오목판화의 일종

인상의 색 : 빛의 영향에 의해 변해 보이는 색

임프레셔니즘(impressionism) : 인상주의

입상 : 서 있는 자세의 조소 작품(그림은 입상화)

입체 디자인 : 쇼윈도, 무대, 광고탑, 네온사인 등

자각상 : 자기 모습을 만든 조각 작품

자소상 : 자기 모습을 만든 소조 작품

자연미 : 자연의 아름다움 (동식물, 자연경치)

자화상 : 자기의 모습을 거울을 보고 그린 것

재질감(texture) : 재료의 질감

전신상 : 몸 전체를 만든 것

점증(graduation) : 형, 색, 명암, 크기 등이 점차로 커지거나 짙어져 변해가는것

조금 : 장식품의 표면 장식방법

조형미 : 회화, 조소, 디자인, 건축 등 인공적인 아름다움

좌상 : 앉아 있는 자세의 조소작품

주금 : 쇠를 녹여서 틀에 부어 만드는 법

주목성 : 자극성이 강해서 눈에 잘 띄는 색(주황,빨강)

준법 : 바위나 산의 주름을 표현하는 방법

중간혼합 : 두 색을 혼합하면 두 색의 평균 명도가 됨 (병치혼합-옷감, 회전혼합-색팽이)

진채화(농채화) : 색을 짙게 칠한 그림

진출색 : 앞으로 나와 보이는 색 (밝은 색 계통)

착시 : 시각적 착각 현상으로 실제와 달라져 보이는 것

채도 : 색의 맑고 깨끗한 정도 (14단계까지 있음)

초상화 : 특정 인물을 닮게 그린 것

초충도 : 풀벌레를 그린 것

추상형 : 자연을 떠나 순수한 조형요소만으로 된 형(기하형,서정적 추상형)

카빙(carving) : 조각

칼러 컨디셔닝(color conditioning) : 색채 조절

칼러(color) : 색, 색채, 안료

캔버스(canvas) : 유화를 그리는 화판

코스튬(costume) : 옷을 입은 상태의 인물 작품

콜라주(collage) : 털실, 색지, 잡지, 헝겊 등을 모아 붙인 그림(입체파 화가들이 많이

콜로그래프 : 평판화의 일종

콩테(conte) : 소묘의 재료로서 연필보다 무르고 진하며 명암을 나타내기 좋으나 지우개를 사용할 수 없음

큐비즘(cubism) : 입체파(자연을 분해, 재구성하여 그림)

크로키(croquis) : 움직이는 대상(동물, 인물)의 특징을 잡아 3-5분 사이에 재빨리 그리는 속사화

클래식(classic) : 고전적(그리스의 미술 양식의 구분)

타피스트리(tapestry) : 장식용 벽걸이

테라코타(terra-cotta) :찰흙으로 빚어서 불에 초벌구이 한 소조 작품

템페라(tempera) : 안료를 달걀 노른자에 섞어서 그리는 벽화의 일종(중세의 벽화에 쓰인 재료)

토르소(torso) : 머리, 팔, 다리가 없이 몸통(동체)만을 만든 조소 작품

토운(tone) : 색조, 명암이나 색의 농담에 의하여 나타나는 화면 전체의 조화

투시도법 : 멀어질수록 크기가 작아짐(소실점)

투조 : 여백을 뚫어 파 낸 작품

파라핀 염(납염) : 천에 파라핀으로 그림을 그리고 염색한 후에 다리미로 파라핀을 빼낸다.

파묵법 : 옅은 먹선위에 짙은 먹으로 겹쳐 그림

파피에 콜레(papier colle) : 색지나 신문지 등을 오려 붙인 그림

판금 : 얇은 판들을 용접하여 만든 금속공예

판본체 : 고체 판에 새긴 훈민정음 글씨체

팝 아트(pop-art) : 대중적 선전 미술(작가 앤디 워흘, 올덴버그)

팽창색 : 늘어나 보이는 색 (밝은 색 계통)

펜쥬럼(pendulum) : 작은 광원의 움직임을 카메라로 연속 촬영하는 디자인의 표현 방법

평면 디자인 : 문자, 마크, 포스터, 표지, 포장지 등

평원법 : 눈 높이의 경치를 그리는 한국화의 원근법

포름(form) : 형체

포비즘(fauvism) : 야수파(강열한 색채와 대담한 변형으로 개성적인 표현을 함 - 마티스, 루오)

포우즈(pose) : 모델의 자세

포토 몽타주(photo-montage) : 여러 가지 사진을 오려 붙여서 꾸민 그림

포토그램(photogram) : 사진 감광지 위에 물체를 놓고 빛을 비춰서 만든 그림

프레스(press) : 압축기(동판화를 찍어내는 인쇄기)

프레스코(fresco) : 안료를 석회에 섞어 그리는 벽화의 기법(중세의 벽화에 쓰인 재료)

프로타주(frottage) : 물체표면의 무늬를 종이에 베껴낸 그림

프로포션(proportion) : 비례(황금비례=1:1.618)

프로필(profile) : 윤곽, 옆 얼굴

피마준 : 삼나무 껍질을 펼쳐 놓은 듯한 준법

픽사티프(fixatif) : 정착제(목탄으로 그린 그림이 지워지지 않게 뿌리는 스프레이로서 송진에 알콜을 섞어 만든 재료

핑커 페인팅(finger painting) : 손가락 그림, 풀 그림

하모니(harmoney) : 조화

하엽준 : 연잎의 잎맥과 같은 모양의 준법

하이라이트(high-light) : 가장 밝은 부분

홀치기염 : 실로 천에 매듭을 홀쳐서 염색

화조화 : 꽃과 새를 그린 것

화훼화 : 꽃만을 주로 그린 그림

환경 디자인 : 공공 시설물을 주변 자연 환경과 조화되게 설치한 것 (어린이 놀이터, 공원, 전화박스 등)

환조 :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만등 완전 입체의 조소

흉상 : 가슴 위 부분을 만든 조소작품

이전글 2009년 학력신장 평가문제 및 정답
다음글 영양소와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