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유치원

안녕하세요~ 귀엽고 사랑스러운 친구들이 함께하는 무지개반 입니다.

우리 친구들이 행복하고 자신의 생각을 맘껏 표현하며 서로 배려하는 학급이 되겠습니다.

  • 선생님 : 김은희
  • 학생수 : 남 4명 / 여 2명

6월 가정통신문

이름 김은희 등록일 22.07.08 조회수 10

 

                                            

                                            모든 문제의 출발, 자존감

 

 

자신에 대한 존중과 믿음은 세상을 살아가는 원동력이 됩니다. 인간관계, 학습 능력, 정서적 안정감 등 전인적 발달에 바탕이 되기 때문이지요.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타인에 대한 신뢰감을 쉽게 형성하며, 모르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합니다. 정서적으로도 편안하고 포용력도 높습니다. 영유아기는 자아존중감의 형성에 있어 중요한 시기입니다. 특히, 부모와의 관계는 건강한 자존감을 형성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자율성과 주도성이 형성되는 시기의 영유아들은 끊임없이 움직이며 세상을 탐색합니다. 이때 부모가 어떠한 피드백을 주는지에 따라 아이는 자신에 대한 인식을 정립합니다.

내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에게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기다리는 것입니다. 아이가 끊임없이 시행착오를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주세요. 문제를 성급히 해결해 줄 때, 아이는 스스로 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갖게 됩니다.

- 아이의 내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주세요. 주변의 아이들과 우리 아이를 비교하지 마세요. 유아기는 각 영역별 발달 속도의 개인차가 매우 큽니다. 어떤 아이는 언어적으로 일찍 성숙하고, 또 어떤 아이는 대소근육이 빠르게 발달합니다. 또 어떤 경우 유아기 전반에 걸쳐 느리게 발달하다가, 아동기에 접어들면서 급속도로 발달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 친밀한 신체 접촉은 필수적입니다. 직접 안아 주고, 토닥여 주는 것 뿐 아니라, 따뜻한 시선으로 아이를 바라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아이에게 충분한 자율권을 주되, 명확한 훈육 지침을 전달하세요. 모든 것을 아이의 뜻대로 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아이의 자존감 형성에 해가 될 수 있습니다. 자기를 조절할 줄 아는 것도 자존감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방법은 아이에 대한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합니다. 아이들은 미숙한 존재이지만,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존재이기도 합니다. 시행착오를 통해 아이들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세요. 그리고 그 눈부신 성장을 바라보는 기쁨을 누리세요!

2022. 6. 24.

주덕초등학교병설유치원장

 

이전글 7월 가정통신문
다음글 5월 가정통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