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여자중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학생 생명존중ㆍ자살예방 교육
작성자 류은숙 등록일 14.07.14 조회수 507


최근 우리나라의 자살 증가율이 OECD 국가 중 1위에 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충동적이고 판단력이 아직 미흡한 청소년들의 경우 ‘사고’에 이어 2번째 사망원인에 대두될 만큼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에 가정에서 부모님의 사랑과 관심으로 자녀와 많은 대화의 시간을 가져주시길 부탁드리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자살 예고 징후

  자살징후는 언어적, 행동적, 상징적 표현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여러 가지 단서에 대해 미리 알고 이를 세심하게 관찰하여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자살하겠다고 위협하거나 혹은 자살을 기도한 일이 있었던 경우
2. 일기장이나 친구에게 죽음에 관한 내용을 암시
3. 자살에 관한 책을 읽거나 자살 관련 사이트에 가입ㆍ활동하거나 글을 쓰는 경우
4. 평상시 해오던 일상 활동을 거부하고 학업 성적이 계속 떨어지거나, 장기결석, 가출 등을      보일 때
5. 갖고 있던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 줄 때
6. 유언장을 쓰는 경우
7. 자살에 대해 말하거나 농담하는 일이 많아질 때
8. “더 이상은 못 하겠어”, “끝내버리고 싶어”와 같은 말을 하는 경우
9. 식사량의 변화 (너무 적게 먹거나 또는 너무 많이 먹는 경우)
10. 자살하려는 구체적인 계획을 갖고 있을 때
11. 침울하거나 괴로워하던 표정을 짓던 사람이 갑자기 평온한 상태를 보이는 경우

 

가정에서 대처방법


1. 자살 예고 징후를 무시하지 않는다.
2. 만약 자살을 주제로 이야기하기를 원한다면 피하지 말고 조용히 들어준다.
3. 놀라거나 비난하거나 혐오스러운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4. “다 잘 될 거야”와 같이 무책임한 확신을 준다든가, “매사에 감사할 줄 알아야지”라는 진부한 소리를 늘어놓지 않는다.
5. 자살 예고 징후를 보인 사람을 혼자 내버려 두지 말고, 즉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다.
6. 자녀와의 충분한 열린 대화 시간확보를 통한 정서의 변화를 파악한다.
7. 부모의 모범적인 생활을 통한 모델링을 제시한다.
8. 자녀의 장점과 자존감을 높여준다.
9. 가족 구성원간의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

 

자살에 대한 진실과 오해


 실제로 자살을 행하는 청소년은 자살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 X )
  자살하는 사람 10명 중 8명은 자살하려는 의도를 명확하게 말한다.
 자살은 아무런 단서나 경고신호 없이 일어난다.  ( X )
  자살하려는 사람은 주변사람들에게 여러 단서와 경고를 준다.
 자살하려는 청소년은 정말로 죽고 싶어 한다.  ( X )
  자살하려는 사람은 대부분 삶과 죽음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이다.
 자살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자살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자살을 부추기는 행위이다.  ( X )
  자살생각이 있는 사람에게 “자살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라고 묻는 것은 오히려 자살위험을 줄인다. 왜냐하면 질문에 대답하면서 자신의 자살충동이나 위기상태에 대해 표출할 기회를 얻게 되고, 긴장감도 해소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를 듣는 사람도 자살하려는 사람의 현재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개입할 수 있다.
자살이 유일한 해결방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위험하다.  ( O )
  자살하려는 사람들은 ‘완전한 해결, 아니면 자살!’이라는 흑백논리에 사로잡혀 있다. 다른 해결책이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자살 충동자 구조 요청 전화 및 우울증 상담소 안내


♥ 생명의 전화 (1588-9191 : www.lifeline.or.kr)
♥ 사랑의 전화 (1566-2525 :
www.counsel24.com)
♥ 한국청소년 상담원 (02-730-2000 :
www.kyci.or.kr)
♥ 한국 자살예방 협회 (413-0892~3 :
www.suicideprevention.or.kr)
♥ 사이버상담실 (
www.councelling.or.kr)♥ 헬프콜 청소년전화 (1388 : www.1388.or.kr)
♥ 학교폭력신고전화 :(117 또는 1588-7179)
♥ 옥천군 Wee센터(730-4389)
♥ 옥천군 정신보건센터(730-2921)
 

이전글 창의적 인재를 키우기 위해 필요한 것은 선행학습이 아닌 자기 주도적 학습이다.
다음글 비 만 예 방 방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