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토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유치원교육과정편성·운영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 · 운영

   본 교육과정은 교육이념(교육기본법 제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2-162012.7.10.), 충청북도교육과정총론(충청북도교육청 고시 2018-17)에 근거하여 지역의 특수성 및 유치원의 제반 실태와 요구에 알맞게 작성한 유치원 교육과정(유아교육법 제13조 제2)을 운영한다.

 

. 성 격

    1) 본 교육과정은 201931일 신입생부터 시행해야 할 유치원의 제반 교육활동과 그 기준을 제시한 구체적인 실행 교육과정이다.

    2) 본 교육과정은 본원의 유아, 학부모, 교사의 희망 및 요구, 지역실태, 유치원의 제반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여 편성하였다.

    3) 본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제시된 기준 이외에 더 필요한 교육 운영의 세부 시행 내용은 원장이 지역의 특수성이나 유치원의 실정, 유아의 실태에 알맞게 정하여 시행한다.

 

. 편성 방향

    1) 교원의 조직, 유아의 실태, 학부모 및 지역 사회의 요구, 유치원의 시설.설비 여건 등 실태분석을 통해 나타난 시사점을 교육과정 편성에 반영한다.

    2) 유치원 특성이 드러나고 학습자 중심의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교육과정을 실현한다.

    3) 유치원 교육내용과 방법을 선택하고 이를 상세화하여 체계적으로 편성하는데 교원, 학부모등이 함께 참여한다.

    4) 충청북도교육청과 제천교육지원청에서 제시한 시책을 교육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화하여 편성한다.

    5)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생활습관교육 및 자기 주도적 학습을 전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재와 필요한 자료를 추가.보완한다.

    6) 연간교육일수와 교육시간은 충청북도교육청 지침, 유아의 연령 및 발달수준, 계절, 학부모의 요구, 유치원의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편성하고, 유치원 행사가 특정 요일에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

 

. 운영 방침

    1) 유치원 실정에 맞는 각 연령별 연간교육계획안을 수립하여 지도한다.

    2) 각 연령별 교육과정 지도 중점과 학급경영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한다.

    3) 기본생활습관교육 및 인성.창의성 교육, 안전교육, 전통.다문화 이해 교육 등은 생활주제와 관련하여 전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운영한다.

    4) 유아의 일상생활과 놀이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통합적하여 운영한다.

    5) 활동내용은 유아의 직접적인 체험활동(발표, 수집, 토의 관찰, 실험, 조사, 현장학습 등)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학습의 개별화에 노력한다.

    6) 교육활동이 충실히 이루어지도록 실내.외 교육환경은 다양한 흥미영역으로 구성하고 생활주제, 유아의 흥미와 요구 등에 맞는 교재교구를 제공한다.

    7) 교육활동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영도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 및 특별실과 운동장, 야외학습장을 융통성 있게 활용한다.

    8) 매주 주간교육계획안을 배부하여 유치원과 가정과의 연계교육에 힘쓴다.

    9) 연간 부모교육(독서교육, 전통문화교육, 인성교육, 안전교육 등)은 가정통신문을 활용하여 부모의 올바른 유아교육 풍토를 조성한다.

    10) 지역 사회의 실정과 특수성을 반영하여 운영한다.

 

. 평 가

    1) 교육과정 운영 평가는 학기말에 실시하여 그 결과를 다음 학년도의 교육과정 편성 . 운영에 반영하며, 유치원교육과정 편성 시 평가 계획을 함께 수립한다.

    2) 유아 평가는 교육과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아의 발달 특성과 변화정도를 평가한다.

    3) 교사 평가는 교수.학습 방법 개선(전문성 신장) 및 자기 연찬 활동 내용을 평가한다.

    4) 교육 환경(인적.물적 환경, 교육 활동 자료)은 활용 및 개선 내용을 평가를 한다.

    5) 평가 방법은 관찰, 활동결과물 분석, 면담, 자체 제작 평가지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다.

    6) 평가 결과는 유아지도, 부모면담, 생활기록부 작성, 교수학습 활동의 개선, 향후 교육활동에 대한 기초 자료 등으로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