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유치원

안녕하세요~ 귀엽고 사랑스러운 친구들이 함께하는 무지개반 입니다.

우리 친구들이 행복하고 자신의 생각을 맘껏 표현하며 서로 배려하는 학급이 되겠습니다.

  • 선생님 : 김은희
  • 학생수 : 남 4명 / 여 2명

3월 가정통신문

이름 김은희 등록일 22.03.29 조회수 21

친구와의 다툼, 어떻게 도와줄까요?

하원 하는 아이의 표정은 그날 하루를 얘기해줍니다. 밝고 행복하게 뛰어나오는 날은 엄마의 마음도 함께 날아갈 것 같습니다. 그런데 가끔 아이가 꽤 심각하거나 속상한 얼굴로 나타납니다. 무슨 일이 있었을지 엄마의 마음도 덩달아 덜컹합니다. 상황을 물어봐도 도통 말을 하지 않을 때가 많지요. 친구와의 문제는 아이들의 하루 기분을 좌우합니다. 하루를 잘 보내도, 한 번의 다툼으로 금방 풀이 죽어버리기도 합니다. 특히 학기 초반은 유아들의 친구 관계가 형성되는 시기이며, 아이들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때입니다. 친구와 다툼이 있는 아이. 어떻게 도우면 좋을까요?

- 우선,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세요.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계속 물어보면, 아이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솔직히 털어놓을 수가 없습니다. 추궁을 당하는 기분이 들기도 하지요. “오늘 많이 기분이 안 좋아 보이는구나.” 하고 꼭 안아주세요. 아이가 얘기할 때까지 잠시 기다려주세요. 혹 아예 말을 안 하고도 금방 기분이 풀린다면, 그리 심각한 일은 아닐 것입니다.

- 아이가 말을 꺼낸다면 경청해주세요. 유아기 아이들의 자기중심적 특성을 기억하세요. 아이들은 철저히 자신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상황을 전달합니다. 앞뒤가 조금 안 맞거나 옳지 않은 행동이었더라도 일단은 다 들어주세요. 고개를 끄덕이거나 토닥이며 아이의 말을 경청한다는 것을 표현해주세요.

- 다툼의 전후 사정에 대해 조금 더 물어보세요. 아이의 기억은 완전하지 않지만, 시간에 따라 짚어가며 물어보다 보면, 대략적인 상황이 파악됩니다. 아이가 불완전하게 전달하는 경우 선생님께 연락하여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얻는 것도 좋습니다.

- 스스로 해결할 수 있음을 격려해주세요. 다툼을 해결하기 위해 아이가 했던 시도를 칭찬해주세요.

- 아이가 도움을 요청할 경우, 함께 방법을 고민해주세요. 충분한 공감과 격려의 시간을 보낸 후에는 아이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주는 것도 좋습니다. 어떻게 하면 놀잇감을 나눌 때 싸우지 않을지, 친구가 불편하게 할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친구와 다투고 해결해나가는 과정은 사회성과 의사소통능력을 배우는 소중한 기회의 장입니다. 아이가 마음을 추스르고 좋은 방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주세요

2022. 3. 24.

주덕초등학교병설유치원장

 

이전글 4월 가정통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