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독서마당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과학상식 100가지를 읽고...
작성자 박소연 등록일 10.04.29 조회수 161

날씨가 궁금해?

우리는 비가 오고 난 뒤에 하늘을 보면 아름다운 무지개가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물을 하늘 높이 뿜어 대는 분수대에도 무지개를 볼 수 있습니다 일곱빛깔로 아름답게 보이는 무지개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걸까요?  무지개는 빛이 프리즘을 지나면 일곱빛깔로 나뉘어져 생기며 그리고 햇빛이 물방울에 닿아 반사 굴절할때에 햇빛의 7가지 색이 각각 다른 비율로 반사 굴절하므로 생깁니다.   다시 말해서 무지개는 햇빛이 공붕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에 닿아 반사 굴절할때에 일곱빛깔로 갈라져 나오는 것이 무지개입니다.   햇무리도 무지개의 일종인대 태양의 둘에에 생기는 햇무리는 빛이 구름 속의 얼음 방울을 지나갈때 생깁니다.    흔히 비가오고 난 뒤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통 바깥쪽으로부터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 순으로 보이며 무지개는 햇빛과 반대방향에서 서는데 어떤 때에는 곱게 쌍무지개 뜨는 수도 있으며 이때의 무지개 색깔은 큰것, 작은것이 서로 반대 색깔로 보입나다.   사람들은 모두 이런 생각을 한번쯤은 해봤을 것입니다.   `저 무지개를 한번이라도 잡아 보았으면......' 하지만 모두 소용없는 일 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무지개를 잡을수 있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잡을수 없다는걸 모르고 있는것이겠지요.   이처럼 아이들은 희망을 가지고 창의적으로 생각을 합니다.   어른들과는 다르게 말입니다.   저는 이렇게 아이들처럼 생각을 하는게 진짜 과학이 아닌가 생각을 합니다.

이전글 키작은 나무
다음글 별이 빛나는 이유는 뭘까?를 읽고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