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진(2학년)학생의 5분스피치(시민의 목소리) |
|||||
---|---|---|---|---|---|
작성자 | 김종석 | 등록일 | 17.09.11 | 조회수 | 508 |
첨부파일 |
|
||||
안녕하세요, 2학년 2반 권태진입니다. 프레젠테이션을 시작 하도록 하겠습니다. (슬라이드1) 여기 어느 설레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베일이 가려진 각각의 목소리에 모두의 시선과 추측이 오고가며 마침내 진정으로 찾던 목소리의 정체가 밝혀질 때 모두가 환호 또는 웃음을 자아내는 그곳. 음악 케이블 방송 Mnet의 예능프로그램, ‘너의 목소리가 보여’는 각각의 지원자들의 서로 다른 개성을 엿볼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속에서 진정한 실력자의 목소리를 찾아낼 수 있었기에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었던 듯합니다. (슬라이드2.3) 그리고 여기 또 다른 목소리가 있습니다. 그 어떤 진실도 기억나지 않는다던 답답함과 그 어떤 법의 평등도 지켜지지 않았던 모순에 반발하였고, 누군가와 다른 의견을 가졌다는 이유로 차별받고, 그 사이에 단 몇 사람만을 위해 운영되는 정부에 분노를 담은 목소리. 그 목소리는 하나 둘 우리 이웃을 깨어내었고, 그리고 어느새 커다란 시민의 바람을 일으켜냈습니다. 2016년 최순실-박근혜 게이트는 그렇게 세상에 퍼졌고, 그들은 법에 의한 처벌을 받았거나, 기다리고 있으며 여전히 도덕에 의한 죗값을 치르고 있습니다. (슬라이드4) 2017년 2월 저는 어느 친구와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고, 그 대화에서 그 친구는 불현 듯 두렵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5년 전 국민다수의 신뢰와 지지를 받아 국가 지도자가 된 사람을 쫓아낸다는 것이 정답인 일인지 불확실하다는 그 친구의 생각은 꽤 일리가 있는 말이었습니다. 분명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 절반 이상의 지지와 응원을 받은 사람이었습니다. 정답이 존재할 수 없는 이 복잡한 세상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을 두려움 또는 소모적 싸움의 시작으로 여겼던 듯합니다. (슬라이드5) 그러나 시민이란 이름 아래, 사회에 목소리를 내고, 때론 투쟁하는 것은 바로 그 자체로 우리가 지녀야 할 자세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나라 대한민국의 주권자는 바로 우리이며, 이 나라의 헌법이 규정하는 것은 다름 아닌 우리 시민의 권리와 의무이기에, 시민으로서의 목소리는 그 자체로 필수 불가결적인 존재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슬라이드6) 때문에 저는 오늘 이러한 우리 시민이 내야 할 목소리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적어도 사회 변화만큼은 전지전능한 하나님의 일이 아니라 시민 하나하나의 다양한 목소리에서 비롯되는 우리의 몫이기에 시민이 내야 할 그 소중한 목소리가 담아야 할 가치는 무엇일까에 대한 나름의 제 생각을 담아보았습니다. (슬라이드7) 제가 생각하는 가장 우선적인 목소리는 필요와 요구의 목소리입니다. 사회 개혁, 더 나은 사회를 위한 방안은 결코 전문가들의 사고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사회는 그 공간과 영향력이 매우 지대하며 때문에 어느 특정분야의 지식이나 관념만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일상 속 시민들이 느껴왔던 모순과 불편함, 그리고 각각의 시민이 생각하는 진솔한 여러 아이디어가 적극적으로 표출될 때, 그 제서야 전문가들은 더 넓은 시야에서 현실의 문제를 바라보고, 우리주변 사람들을 위한 현실적 해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슬라이드8) 또한 시민은 사회공직자들이 우리의 요구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 지켜보아야 합니다. 그들이 모범을 보인다면 우리는 때로 그들을 응원해야겠지만, 그들이 만약 부패해있다면 우리는 굵은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잘못된 행위를 널리 알려야 합니다. 그럴수록 이 사회의 행정은 보다 투명해질 것이고, 시민을 위한 공직자들의 노력과 정성 또한 더욱이 커질 것입니다. (슬라이드9) 더불어 시민 모두는 이러한 다양한 목소리들이 더욱 자유롭게 오고가고 현실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개방적 시스템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만약 앞에서 말한 시민의 목소리가 그저 허공에서 부딪쳐 맴도는 아우성에 그친다면 더 나은 사회를 꿈꾸는 사람들은 더욱 절망해야 할 것이고, 그 어떤 실질적 해법도 마련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목소리가 실질적인 정책구상이나 개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더 나은 제도를 요구해야 하고, 이러한 제도 속에서 우리는 더욱 활발한 목소리를 내 주어야 합니다. (슬라이드10) 그렇습니다. 변화는 어려운 일입니다. 미국 제 44대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2017 그의 마지막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두 발짝 앞으로 걸어갔을 때, 때로는 한 발짝 뒤로 물러서야 할 수도 있다.” 새로운 시도와 변화가 희망차 보였을지라도 그 어떤 시행착오 하나 없이 무언가를 이루겠다는 꿈은 어쩌면 허황된 것일지도 모릅니다. (슬라이드11)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불가능해보였던 그 변화를 이루며 살아왔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장하준 교수는 이렇게 말합니다. “200년 전 미국에서 노예 해방을 외쳤던 자들은 미치광이 취급을 당했고, 100년 전 여성 참정권 운동을 벌인 유럽인들은 감옥으로 가야했다.” 그렇습니다. 그 시도들은 터무니없는 발상이었고, 정말 불가능해보이던 일들이었습니다. 허나 세계 모든 시민사회는 그 변화를 이루어냈고, 우리는 지금 이곳에서 더욱 희망찰 미래를 꿈꾸고 있습니다. (슬라이드12) 때문에 사회변화란 지금 눈에 보이는 시간은 그저 제자리를 맴도는 듯한 허상에 불과할지 몰라도 조금씩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언젠가는 저 멀리 껑충 뛰어나갈 수 있음을 상상하는 용수철같은 것이 아닌가하는 물음을 던져봅니다. 이탈리아의 한 경제학자는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이성에 비관할지언정, 의지에 낙관을 품어라.” 우리 모두가 언젠가 우리 사는 세상 또한 용수철처럼 도약할 수 있을 것임을 함께 낙관한다면, 그래서 모두가 꿈을 꾸면서 살아갈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시민으로서의 한 걸음을 옮긴걸일지 모릅니다. (슬라이드13) 결국, 오늘의 제 발표는 1년 전 이곳에서 제가 했던 말로 돌아갑니다. 좋은 사회,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여러분, 함께 갑시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
이전글 | 박병건(2학년)학생의 5분스피치(빈체로이야기) |
---|---|
다음글 | 임승혁(2학년)학생의 5분스피치(언어 예절의 중요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