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복어, 홍합의 독소, 끓여도 없어지지 않아요.
작성자 한정연 등록일 10.05.07 조회수 227

식중독을 유발하는 세균, 바이러스 등 미생물은 대부분 열에 약하다.

식중독, 전염병이 유행할 때는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고 물을 끓여 마시라고 당부하는 것은

이래서다.

이와는 달리 독(독소)은 열에 강한것(내열성 독성)이 많다.

예를 들어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세균자체는 열에 약하다.

하지만 이 세균이 내는 독소(장 독소)는 열에 잘 견딘다.

그래서 음식을 가열 조리해 먹더라도 포도상구균 식중독에 걸릴수 있다.

복어독과 마비성 패류 독소도 열에 강한 독소에 속한다.

복어를 120도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해도 복어 독이 파괴되지 않는다.

홍합 등에 든 마비성 패류 독소도 내열성 독소다.

암을 일으키는 곰팡이 독인 아플라톡신도 300도 가량의 열을 가해야 제거된다.

일상적인 조리를 통해선 독소를 없앨 수 없다.

따라서 복매운탕, 복지리, 홍합구이 등 가열 요리만으론 중독을 예방할 수 없다.

해독을 돕는다는 미나리를 듬뿍 넣어 조리한다고 해서 복어 중독을 피해갈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복어 중독을 피하려면 반드시 복어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가가 취급한 음식만

섭취해야 한다.

마비성 패류 독소의 독성은 복어 독만큼 강하지는 않다.

그러나 이 독소로 인해 국내에서 사람이 숨진 사례도 있다.

마비성 패류 독소의 농도가 기준치를 넘은 해역에서 잡은 패류는 먹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5월께 수온이 18도이상 올라가면 조개들이 먹던 독성 플랑크톤들(마비성 패류 독소의 원

인)이 포자를 형성해 바다 밑으로 가라않는다.

이때까지는 독소가 허용치를 초과한 해역에서 채취한 자연산 패류를 임의로 섭취해서는

안된다.

 

이전글 손은 과자에 , 눈은 TV에 가 있는 부모- 아이가 배웁니다.
다음글 키위, 살구, 블루베리 " 영양만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