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극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아동 성폭력 예방 안내
작성자 이성순 등록일 12.09.10 조회수 209
 

 아동 성폭력 예방

 작년에는 일명 ‘도가니 사건’으로 불리 우는 장애아동 성폭력 사건이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더니, 요즘 들어 아동성폭력을 비롯한 성인성폭력 사건들이 연일 보도되고 있어 자녀를 둔 부모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아동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이 보다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아동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부모의 자세가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우리아이를 이해하고 보호하기 위한 도움 자료이니 참고 하십시오. 

  

������ 아동 성폭력 특성 ������

첫째, 아동 성폭력은 폭행이나 협박에 의해서 발생하기 보다는 주로 유인해 의해 발생합니다.

- 최근 10년간 일어난 아동 약취 유인 범 250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장난감이나 놀이를 통한 호기심 유발형이 35%로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물리적 강제력 동원이 25%로 나타났습니다(KBS 추적60분, 2009)

둘째, 아동은 성폭력과 친밀감을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 가해자는 보통 아동에게 신체적 힘을 가하지 않고 놀이, 속임수, 위협 등의 형태로 강요하면서 아동을 침묵하게 만듭니다. 특히 가해자들은 길들이기 과정(grooming)을 통해 아동이 성폭력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아동은 더욱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 피해가 반복적으로 일어납니다.

- 아동의 특성 상 피해를 입어도 성폭력에 대한인지가 부족하고 가해자의 협박이나 길들이기 과정에 의해 성폭력 피해 사실을 쉽게 표현하지 못하므로 피해가 지속되고 반복적으로 발생합니다.

넷째, 주로 아는 사람에 의해 피해가 발생합니다.

- 2009년 여성가족부 상담통계를 보면 가족, 친척, 이웃, 동료 등 아는 사람에 의한 피해가 65,2%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가족 · 친족에 의한 피해가 15.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심각성을 보여줍니다.


������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징후는? ������

  일반적인 징후로는, 악몽 · 잠투정 · 어둠에 대한 두려움 등 수면장애, 우울 · 화 등 심한 감정 기복, 특정 장소나 사람 · 물건에 대한 두려움, 부적절한 성적 행동, 대인 관계의 어려움 등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징후가 보이면 아동에게 “너 어디 아프니?”, “힘든 일 있니?”, “엄마한테 하고 싶은 말 있어?”등으로  말 할 기회를 만들어 주면 좋습니다.

 

 1) 아이가 안전해야 하는 것은 어른들의 몫입니다.

- 어른들은 아이에게 가스 불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독성세제를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둡니다. 아이의 안전벨트 착용을 돕고, 혼잡한 거리에서는 횡단보도를 잘 건널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아이 스스로 자신의 안전을 책임지게 하지 않지요. 성폭력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어른들이 도와주어야 합니다.

2) 아이는 ‘NO’ 라고 말하기 힘듭니다.

 - 아이들은 자신을 보호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가까운 사람에게 ‘NO’라고 말 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친밀한 사람에 의해 성폭력이 발생한 경우 아이들은 성폭력을 사랑과 관심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아이가 가해자에게 ‘NO’라고 말하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지워서는 안 됩니다.

3) 아이의 안전은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 대부분의 아동성폭력은 아동의집, 학교 등 아동과 근접해 있는 곳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가정, 학교 등 일상생활에서부터 예방이 이루어져야합니다 .

4) 좋은 접촉과 나쁜 접촉 알게 하기

- 좋은 접촉은 기분이 좋아지는 접촉으로 부모나 교사가 칭찬해주시면서 머리를 쓰다듬어주거나 어깨를 두드리면서 격려해줄 때, 친한 친구와 손을 잡고 학교 갈 때 등이며, 나쁜 접촉은 어른 또는 친구가 나의 가슴이나 생식기를 만지거나 보여줄 때, 성적인 농담이나 욕설을 할 때, 벗은 몸 사진이나 그림을 보여줄 때 등임을 알게 해주세요.

  그 누구도(의학적인 목적을 제외하고) 자신의 수영복으로 가린 부위를 만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게 하고, 나쁜 접촉으로 인한 나쁜 느낌이 들거나 또는 어떠한 느낌인지 잘 모를 애매한 경우에도 부모나 교사 등 에게 꼭 이야기 하도록 가르쳐야 주세요.

5) 좋은 비밀(surprise)과 나쁜 비밀(secret) 구분하기

- 비밀이 드러났을 때 또는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를 하게 될 때 기분이 좋아지는 것은 좋은 비밀이며, 부모 등 가족에게 말하지 말아야 하거나 말하지 말라고 강요를 받은 비밀은 나쁜 비밀임을 구분하고, 나쁜 비밀은 꼭 부모, 교사 등에게 말해야 함을 가르쳐주세요.

 


  ❖ 여성 · 학교폭력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 - 청주의료원 043-272-7117,274-7117

     ο 주요기능 : 24시간지원, 종합병원 내 설치되어 있어 24시간 의료지원 가능, 경찰이 상주하여 신고 접수 및 피해자 진술 가능,

 ❖ 해바라기 아동센터 - 충주시 교현동 616-2 043-857-1375

     ο 주요기능 : 상담, 의료, 법률, 수사, 심리치료 지원, 13세미만 성폭력 피해 아동,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인에 대한 의학적 진단과 평가 및 치료 (2012년부터는 19세까지 지원)

     ❖ 긴급전화 1366  청주시 상당구 목련동 27 043-1366(043-220-6452)

     ο 주요기능 : 365일 상담, 현장상담원 파견, 전문기관 연계, 예방을 위한 홍보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발간 매뉴얼 참고>

무극초등학교 보건실 제공

이전글 개사곡 부르기 대회 안내 및 신청서 양식입니다..^^
다음글 3.4학년 성폭력 예방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