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보건교육은 주제가 성폭력 예방입니다. 기사내용 읽어 보시고 교실에서 ,가정에서, 적절하게 교육하시기 바랍니다. 이세상은 나쁜사람만 있는것은 아니지만 좋은사람만 있는것도 아닙니다. 나의 안전이 가장 우선입니다.
■ 아동 성폭력범 특징과 대처법
13세미만 아이에 성적 환상-집착 보여다른사람 알까봐 쉬쉬하다 피해 커져‘어른 호의 거절 실례 아니다’ 가르쳐야
“우리 아기 무척 예쁘게 생겼구나” “아저씨도 그네 타는 거 아주 좋아하는데 같이 탈까” “최신 게임기 하나 줄게, 아저씨 집에 같이 가자.” 아동 성폭력범들이 아이들을 유인할 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은 폭력이나 거짓말이 아니다. 아이에게 호감을 보이고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를 함께한다. 선물로 환심을 사기도 한다.
보건복지가족부가 2000∼2007년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 범죄사건 4737건 가운데 400건을 정밀 분석한 결과 범죄자 행동 유형은 ‘애착형’이 70.5%로 가장 많았다. 때리거나 억지로 끌고 가는 ‘폭력형’은 17%, “난 아빠 친구야” 같은 거짓말을 쓰는 ‘도구형’은 10.5%였다. 아동성폭력 범죄자들은 아이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면서 오히려 아이가 성적행위에 스스로 길들여지도록 만든다.
애착형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의 평균연령은 12세. 6∼10세 피해자가 25.7%로 10세 이하 아동이 피해를 보는 비율이 높았다. 나이가 어릴수록 감언이설로 다가오는 성폭력범의 손길에서 자유롭지 못한 셈이다.
● 정신적으로 문제 있는 경우 많아
대다수 아동성폭력범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아기호증’이다. 소아기호증이 있는 성폭력범은 13세 미만의 아이에게 성적 환상을 가진다. 13∼16세 청소년을 매력적이라고 생각해 과도하게 집착하는 사람들을 ‘히베필리아(hebephilia)’ 환자로 부르기도 한다.
소아기호증이 왜 일어나는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성과 애정관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거나, 우울증이 있거나, 알코올의존증인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 어린 시절에 성폭행을 당한 기억이 잘못된 가치관을 줘 자신이 가해자로 변한 경우도 있다. 2004년 서울 서남부 부녀자 연쇄살인범은 “초등학생 때 성인 남성에게 성폭행을 당한 뒤 성에 대해 왜곡된 생각을 갖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
● 아는 사람이나 친족한테 당한 경우가 80∼90%
여성부가 지원하는 아동성폭력 피해전담기관인 해바라기아동센터에 따르면 아는 사람한테 성폭행을 당한 경우가 60∼70%, 친족한테 당한 경우가 20%에 달했다. 친족 중에는 친부가 가해자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사촌형제, 삼촌, 친오빠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친부는 지나칠 정도로 가부장적이고 애정결핍인 경우가 많다. 강은영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원은 “부부 사이가 좋지 않거나, 실직 등으로 개인적인 감정을 억누르지 못할 경우 가장 쉽게 통제할 수 있고, 쉽게 정복할 수 있는 대상에게 손을 뻗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서적인 욕구를 성행위로 풀려는 남성일 경우 더 심해진다. 어머니가 집을 비우거나 아이에게 관심이 없는 경우, 성폭행을 당한 것을 알면서도 다른 사람이 알까봐 ‘쉬쉬’ 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피해가 발생한다.
○ 아이가 악몽 꾸거나 성행위 질문 많을때 의심
아동 성폭력범들은 잡히고 난 뒤 “아이도 좋아했다”며 범행을 부인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 피해 아동들은 성과 관련해 명확한 개념이 서있지 않아 성추행을 ‘놀이’나 ‘애정표현’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가해자들이 처음에는 뽀뽀나 가벼운 애무를 할 때 마치 놀이를 하는 것처럼 친근하게 접근하기 때문이다.
아이가 악몽을 꾸거나 밤에 오줌을 싸는 경우, 갑자기 부모와 떨어질 때 불안해하거나 자위행위를 자주 할 때, 짜증이 많아지거나 성행위에 대한 질문이 많아질 때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대소변을 볼 때 아파하거나 생식기관에서 분비물이 나올 경우도 주의해야 한다. 배승민 인천 해바라기아동센터 소장(가천의과대 길병원 정신과 교수)은 “아이가 폭행을 당한 날에 바로 부모에게 이야기하는 비율은 3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며 “아이와 평소 대화를 많이 나눠 심리상태와 몸에 별다른 이상이 없는지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성폭행을 당해 해바라기아동센터를 찾는 아이 중 상당수는 ‘외상 후 스트레스증후군’에 시달린다. 처음에는 자기 몸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잘 모르고 평소처럼 지내는 듯하던 아이도 시일이 흐른 뒤 갑자기 기억이 떠올라 괴로워하는 경우도 있다.
배 소장은 “어른이 차를 태워준다던가 따라오라고 하거나, 혼자 있을 때 문을 열어 달라고 하는 상황에서 ‘싫다’고 말하는 것이 실례가 아니라고 아이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신체를 함부로 남에게 보이지 말 것을 미리 교육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일시적인 어른의 호의에 의지하지 않도록 부모와 든든한 애착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노지현 기자 isityou@dong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