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내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실 이야기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울 학교에 유행성각결막염이 발생했어요 - 이렇게 관리해보아요
작성자 심주한 등록일 17.08.22 조회수 44
첨부파일

구분

유행성각결막염(EKC)*

급성출혈성결막염(AHC)**

병원체

아데노바이러스(주로 8, 19, 37)

엔테로바이러스 70
콕사키바이러스 A24 variant

전파

경로

직접 신체적 접촉: 눈 분비물 등

개인용품을 통한 간접 접촉: 수건, 침구물, 세면기구 등

수영장 등 물을 통한전파

발생

현황

산발성~유행성

늦여름~초가을에 주로 발생

5~10년 주기로 유행

늦여름~초가을에 주로 발생

주요

증상

잠복기: 5~7

눈곱, 이물감, 눈꺼풀 부종, 양안의 충혈, 동통, 눈물, 눈부심

결막하 출혈

귓바퀴 앞 림프절 종창

3~4주 지속됨

잠복기: 8시간~2

갑작스러운 이물감, 충혈, 눈부심, 눈물이 주 증상

안검부종, 결막부종, 결막여포, 상피결막염

결막하 출혈반이 70~90%에서 발생

결막하 출혈은 7~12일에 걸쳐 점차 흡수됨

귓바퀴 앞 림프절 종창이 있을 수 있음

전염력

발병 2주 정도까지 전염력이 있음

증상발생 후 적어도 4일간 전염력이 있음

합병증

각막상피하 혼탁이 남아 심해지는 경우 시력저하가 생길 수 있음

결막에 분비된 눈물보조세포나 점액분비세포가 바이러스나 염증에 손상을 입으면서 안구건조증 발생 가능(보통 6개월 지속)

그 외 영구적인 결막반흔, 눈꺼풀 처짐, 눈꺼풀과 결막의 유착 발생 가능

결막염을 앓은 수 주 후에 사지마비 또는 뇌신경마비가 드물게 일어날 수 있음

양상

   

   

   

치료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는 없음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필요 시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안약이나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균제 안약을 점안할 수 있음

손씻기 철저히합니다.

 

이전글 학생자살예방 자료- 자녀사랑 뉴스레터 4,5호
다음글 양성평등 디자인 공모대회 참가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