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진천여중3327조주영 |
|||||
---|---|---|---|---|---|
작성자 | 최가희 | 등록일 | 14.09.25 | 조회수 | 14 |
외부 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이 낮아지죠. 그럼 낮은 온도에서 끓는다는 것이고요.
높은 산은 저기압입니다. 외부압력이 낮죠. 또한 끓는점도 낮아지겠죠. 원래 1기압에서 물은 100도씨에 끓잖아요? 쌀이 그때 익는거겠죠? (요리에 대해 잘 모릅니다ㅠㅠ) 그런데 높은 산에서는 끓는점이 낮으니 100도씨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죠. 그럼 쌀은 100도씨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익으려 되다 보니깐 설익게(충분치 않게 익게)됩니다.
뜨거운 물이 들어있는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찬물을 부으면 물이 끓기 시작한다. (그림판으로 급하게 그린 그림이라 이상한 점 양해 부탁드려요ㅠ) 위 그림은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거꾸로 해 논 것입니다.(실제 실험에서 거꾸로 합니다) 파란색 부분이 뜨거운 물이고요. 끓지 않고 있으니 온도는 100도씨보다 낮겠죠. 뜨거운 물의 윗부분의 공기에는 뭐가있을까요? (뜨거운)수증기가 있겠죠? (물론 다른 것도 있겠지만.) 이 때 이 수증기(공기)가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죠. 여기서 차가운 물을 붓게되면 수증기가 액화가 됩니다. (수증기→물로 바뀌어요) 그러면 공기가 줄어들게 되죠? 즉, 압력이 낮아집니다. 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도 낮아지므로 뜨거운 물이 100도씨가 아님에도 끓게 되는 겁니다. |
이전글 | 진천여중3328최가희 |
---|---|
다음글 | 진천여중3327조주영 |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