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성폭력 예방법 |
|||||
---|---|---|---|---|---|
작성자 | 이은경 | 등록일 | 13.10.01 | 조회수 | 196 |
어린이 성폭력 예방법 1. 등하교길 안전 점검하기 ① 하교 후 학교에 남아 있거나 배회 하지 말고 곧장 집으로 갑니다. ② 인적이 드문 골목길 보다는 사람이 많이 다니는 큰 길을 이용해서 다닙니다. ③ 혼자 다니는 경우 범죄의 표적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둘 이상, 친구와 함께 다닙니다. ④ 안전한 등하교길 그려보기 - 우리 집으로 가는 길을 그려보세요.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곳을 친구들에게 서로 알려주고 피하도록 합니다. 2. 집에 혼자 있을 때는 ? ① 도와줄 수 있는 가까운 거리의 이웃집 전화번호를 알도록 합니다. ② 현관문, 창문 등은 반드시 잠가야 합니다. ③ 밤에는 여럿이 있는 것처럼 불을 켜야 합니다. ④ 문을 열기전 주변에 사람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⑤ 혼자 있을 때 누군가 찾아오면(예:택배왔다고 하거나 가스점검, 경비실 직원이라고 하면) ☞ 절대 대답을 하지 않고 아무도 없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아는 사람이 집에 찾아와도 절대 문을 열어 주어서는 안돼요!! ⑥ 이성 친구가 찾아오면 문을 열어두고 밤에는 불을 밝게 켜두도록 합니다. 3. 외출 시에는 ? ① 신발과 복장은 간편하게 합니다. ② 늦은 밤, 인적이 드문곳, 골목길은 피합니다. ③ 낯선 사람이 길을 물을 때 너무 차 가까이 가지 않으며 절대로 남의 차에 함부로 타지 않습니다. (팔이 닿지 않을 거리만큼 일정거리 유지) ④ 길을 묻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달라고 하거나, 잃어버린 강아지를 찾아 달라고 도움을 요청할 경우 “저는 아직 어려서요 다른 어른들게 부탁해 주세요!”"어른에게 도움을 구하세요" 라고 말하고 즉시 자리 를 떠나도록 합니다. ⑤ 낯선 사람이 어린이가 좋아하는 것들(컴퓨터,게임기,애완동물,연예인 등)을 이야기하며 같이 가자 고 할때는 절대로 따라가지 않습니다. “부모님 허락없이는 전 남의 집에 가지 않아요” “엄마에게 물어보고요” 4. 위험한 상황에서의 대처방법 ① 위험에 처하게 될 경우 무거운 짐이 있으면 버리고 신속하게 달아나도록 합니다. ② 큰소리를 쳐서 주위 사람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③ 골목길이라면 주변의 유리창을 깨거나 “불이야”라고 소리칩니다. ④ 아는 사람이라도 원치 않는 신체접촉은 “싫어요,“안돼요”라고 분명하게 말합니다. ⑤ 강제로 끌고 가려고 할 때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라고 하며 도망칩니다. 5. 인터넷 안전을 위해 부모가 알아야 하는 수칙 ① 자녀와 인터넷이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하여 열린 대화를 나눕니다. ② 대화를 통해 자녀의 패스워드를 공유합니다. ③ 자녀의 인터넷 사용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PC에 설치합니다. ④ 스마트폰, 아이팟 등 컴퓨터 이외의 인터넷 사용 수단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⑤ 자녀에게 휴대폰 번호, 주소, 학교명, 사진 등 개인정보를 함부로 유출하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⑥ 온라인상에서 알게 된 사람은 오프라인에서 만나서는 안 됨을 알려줍니다. ⑦ 부모님이나 보호자 이외에는 누구에게도 패스워드를 알려주어서는 안 된다고 알려줍니다. 6. 성폭력을 당했을 때 취해야 할 행동 ◉ 성폭력을 당했을 때에는 피해 사실을 숨기지 말고 부모님이나 선생님 등 믿을 만한 사람이나 전문상담기관에 알려 도움을 청하면 의외로 문제가 쉽게 해결될 수 있습니다. * 빨리 안전한 곳으로 피합니다. * 증거물을 씻거나 없애지 말고 종이 봉투에 넣어 잘 보관합니다. * 몸을 씻지 않은 채로 빨리 병원에 갑니다. ◉ 아이에게 성폭력 피해가 발생한 경우 다음의 사항을 유념해주세요. * 자녀에게 침착하고 흥분하지 않으며 안정되고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 여 주세요. * 아이를 비난하는 언행을 하면 안되며, 자녀의 말을 믿어주고 감싸주셔야 합니다. * 피해 사실에 대해 아이에게 추궁하듯 반복해서 묻거나 대답을 강요하지 않아야 합니다. * 기억이 사라지기 전에 상황을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기록해둡니다. * 부모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말고 전문기관를 통한 의료, 상담지원, 법률적 지원을 받도록 합니다. ***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 ● 여성 긴급전화 (☎ 국번 없이 1366) ● 청소년 긴급전화 (☎ 국번 없이 1388) ● 원터치 SOS 서비스 : 범죄 위기의 순간 신청자가 휴대폰 단축번호 (112)만 누르면 됨 ● 제천 성폭력 상담소 : ☎ 652-0049 |
이전글 | 제 171호 태극기 달아 나라사랑 실천 |
---|---|
다음글 | 제170호 이은경 어린이 성폭력 예방에 관한 안내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