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수족구병?
작성자 박지현 등록일 18.08.23 조회수 113

□ 원인체

 ○ 주로 콕사키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71형 등 엔테로바이러스 그룹에 의하여 발병

□ 특징

 ○ 전염성이 매우 강함
    - 특히 발병 후 1주일간이 가장 전염성이 강함

 ○ 5월~8월에 주로 유행
 
 ○ 생후 6개월 ~ 5세 이하의 영유아에서 주로 발생

□ 전파경로

 ○ 직접접촉이나 비말을 통해 사람 간 전파
   - 감염자의 타액(침), 객담(가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
   - 감염자의 수포(물집)안의 진물
   - 감염자의 대변

 ○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에서도 전파 가능

 ○ 전파의 위험이 높은 장소
   - 가정(가족에 감염자가 있는 경우)
   - 보육시설
   - 놀이터
   - 병원
   - 여름캠프 등 많은 인원이 모이는 장소

□ 임상증상

 ○ 전신증상 : 발열, 두통

 ○ 위장증상 : 설사, 구토

 ○ 발진/수포(물집)
   - 입 : 혀와 구강 중앙, 잇몸, 입술에 수포가 발생하여 나중에 궤양 형성
   - 손/발 : 발진에서 수포 형성
   - 영유아의 경우 기저귀가 닿는 부위에 수포 형성
 
[손, 발, 입안의 수포성 발진 사례]

사진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59&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 경과

 ○ 잠복기는 3-6일 정도

 ○ 처음 2-3일 동안 증상이 심해지고 아이가 잘 먹지 못하며 열이 발생하고, 3-4일이 지나면 호전되기 시작하여 대부분 1주일 안에 회복

 ○ 수족구병을 앓았더라도 또 다시 재발 가능
□ 예방

 ○ 현재 백신은 개발되어 있지 않음

 ○ 수족구병 예방수칙 준수
   - 손 씻기의 생활화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청결(소독)히 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손, 발, 입안에 수포가 생기고 열이 나는 등 수족구병 유사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인근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가급적 타인과 접촉을 피하도록 자가격리 권고

□ 치료

 ○ 구체적인 치료법은 없으므로 진통해열제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 등 대증요법 사용

 ○ 다음과 같은 이유로 병·의원 진료는 반드시 받아야함
   - 입에 수포가 생기는 경우 물을 삼키거나 음식을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유아의 경우 쉽게 탈수가 올 수 있음
   - 신경계 합병증,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등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치명적일 수 있음

□ 합병증
 ○ 뇌간뇌염, 뇌수막염

 ○ 급성이완성마비

 ○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합병증 의심증상
 ○ 수족구병이 진단받은 영·유아가 
    - 38도 이상의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39도 이상의 고열이 있는 경우
    - 구토, 무기력증, 호흡곤란,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걸을 때 비틀거리는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이전글 수족구병 Q and A
다음글 유행성이하선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