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성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식생활관 이야기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10월 31일 맛있는 덕성급식
작성자 김영희 등록일 14.11.03 조회수 119
첨부파일

영 양 교 육

영양만점 덕성급식 배추김치의 영양

1. 배추김치의 영양

김치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부식의 하나이다.

예부터 채소류가 나지 않는 겨울철에 주로 많이 담근 저장 식품이지만 지금은 냉장고 등 저장 시설이 보편화되면서 일년내내 섭취하는 식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 정장작용 : 채소에 풍부한 섬유소를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하고 장염, 결장염 등의 질병을 억제한다.

- 소화촉진 : 채소류의 즙과 소금 등의 복합작용으로 장을 깨끗하게 해준다. 위장 내의 단백질 분해효소인 펙틴(pectin) 분비를 촉진시킨다. 소화, 흡수를 돕고 장내 미생물 분포를 정상화 시킨다.

- 항균작용 : 익어감에 따라 나오는 젖산균은 해로운 세균을 억제하여 새콤한 맛을 낼 뿐 아니라 창자 속의 다른 균을 억제하여 이상 발효를 막아 주고, 병원균을 억제한다.

- 식욕증진 : 익은 김치는 유기산, 알코올, 에스텔을 생산하여 유산균 발효 식품으로 식욕을 증진시킨다.

- 약리작용 : 재료의 대부분이 마늘, 고추, 생강 등 약용 식물이다.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 , 고추, , 마늘 등에는 많은 양의 다양한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김치에는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또한 김치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지방 같은 열량이 많은 영양소의 함량이 적은데 비해 칼슘과 무기질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김치를 많이 먹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산균 발효유를 마시지 않더라도 김치를 통해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다.

                                      

 

2. 오늘의 식단 안내( 1031)

김치덮밥, 계란파국, 흰색단무지, 개피떡, 우유

 

원산지 : (친환경오창쌀), 전남 친환경 찹쌀, 국산 개피떡, 창녕 마늘

씨푸드 날치알, 국산 다시마, 국산 단무지, 국산 무항생제 달걀,

강원 당근, 국산 멸치, 부여 양송이, 창녕 양파, 국산 옥수수,예산 쪽파

조치원 대파, 전남 피망, 국산 돈육

이전글 5학년 7반 전통조리실습(경단, 오미자차)
다음글 10월 30일 맛있는 덕성급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