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고등학교 로고이미지

진로·진학자료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3수능 최종마무리] '당일 시뮬레이션' 해 봐야

고1. 학생부 전형 대비 전략
작성자 정승섭 등록일 18.04.04 조회수 75
학생부 종합 전형, 나의 길을 가자!

학생부 종합 전형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학생부 종합 전형이 확대되고 있다. 학생부 종합 전형이 확대되고 그 중요성이 강조될수록 학생과 학부모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도대체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준비해야하지 ?

오랜 시간동안 학생들의 입시 지도를 하면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은 학생부 종합 전형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학생부 종합 전형에 대한 오해는 여전하다는 점이다. 역시나 가장 큰 오해는 ‘비교과 활동’에 대한 것이다.
쉽게 생각해보자. 가장 근본적인 질문이기도 하다. 대학은 왜 다양한 전형들을 통해 학생들을 “선발”하려고 할까? 여기에 학생부 종합 전형의 핵심이 있다. 대학은 당연히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를 원한다. 결국 학생부 종합 전형도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방법인 셈이다. 그럼 다음 질문은 당연히 “우수함의 기준이 무엇인가?” 이다.

여러 대학들이 다양한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학·인·전·발”이다. 이 글을 읽는 모든 학생들이 반드시 알았으면 좋겠다. 이 개념을 이해하면 내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선명하게 보일 것이다. 학업역량, 인성, 전공 적합성, 발전 가능성이 그것이다.

학생부 종합 전형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이제 막 기대와 설렘을 가지고 고등학교 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생도, 그리고 1년의 고교 생활을 마무리하고 새 학년으로 진급하는 2학년들도, 그리고 입시라고 하는 엄청난 부담을 가지고 학생부 종합 전형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하는 3학년들도 이 글을 읽고 나면 해야 할 일이 선명하게 보일 것이다. 우리의 목표는 대학이 우리의 학생부를 보면서, 우리의 자기소개서를 보면서, 우리에 대한 추천서를 보면서 우리의 “우수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필자는 이것을 “trinity story” 라는 표현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후에 이어지는 칼럼에서 진행하도록 하겠다.)

자, 그럼 ‘학·인·전·발’을 통해 우리의 우수함을 어떤 방법을 통해 증명해야 하는지를 이해했다면 진짜 무엇해야 하지? 이 질문을 가진다면 당신은 이제 학생부 종합 전형을 준비할 자세가 된 것이다.
학생부 종합 전형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만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궁금함”이다. 뜬금없는 궁금함이라는 단어가 이상한가? 그럼 보다 수준 높은 용어로 표현해보자. 바로 “지적 호기심”이다. 대학은 결국 지적 호기심을 가진 학생을 필요로 한다. 자기를 둘러싼 삶의 공간들에서 느끼는 궁금함과 불편함에 의문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학생을 원한다는 말이다. 그럼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더욱 선명해진다. 우리는 궁금증을 가진 학생이 되어야 한다. 보다 업그레이드 된 표현으로 “지적 호기심을 가진 학생”이 되어야 한다.

지적 호기심이라고 해서 좀 거창해보일지 모르겠지만 그냥 궁금함이다. 질문이 없는 세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가장 어려운 점이긴 하지만 우리는 궁금함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해야 한다. 그 궁금함을 해결하기 위해 수업을 듣고, 독서를 하고, 동아리 활동을 하고, 봉사 활동을 하는 것이다. 물론 반대로 얼마든지 가능하다. 수업을 듣다가, 동아리 활동을 하다가, 봉사 활동을 하다가, 책을 읽다가 생긴 궁금함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중요한 것은 그 노력한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다.)

조금 더 냉정하게 대학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고등학교에서 특정 활동을 한 것이 대학 교수의 입장에서, 혹은 입학 사정관의 입장에서 의미가 있을 만큼 대단한 활동일까? 예를 들어 대학 교수의 입장에서 고등학생이 소논문을 쓰고, 교내 수상을 하고, 수학 동아리 활동을 한 것이 엄청나게 가치 있는 활동이 될까? 당연히 아니다. 중요한 것은 똑같은 논문을 쓰더라도 “왜?” 그 논문을 쓰게 되었는지, 혹은 무엇이 알고 싶어서 연구를 했는지, 혹은 그 논문을 통해 어떤 성장과 발전을 했느냐이다. 그래서 “과정”을 평가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결국 그 논문이, 그 수상이, 그 동아리 활동이 어떤 “맥락” 속에서 나오게 되었는지가 중요한 셈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 “맥락”을 만들어야 한다. 당연히 그 맥락의 출발점은 “바로 당신의 궁금함”이 된다.

자, 그럼 이제 학년별로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 할 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_ 새롭게 고등학생이 된 1학년들.

모든 것이 낯설고 어색하기만 한데, 심지어 “고등학생”이란다. 게다가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엄청 많은 부담감도 있다. 절대평가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있고, 도대체 무엇을 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 중학교에 비해 증가하는 학습량, 부모와 가족의 부담스러운 기대, 믿기지 않을 만큼 오래도록 앉아있어야 하는 시간까지, 마음은 여전히 중학생인데......

고등학교 1학년은 “탐색의 시간”이다. 넓게 보고, 길게 보고, 많은 것들을 경험해보는 것이 학생부 종합 전형을 준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중학교에서는 쳐다본 적도 없는 제법 두꺼운 책을 꺼내들자! 많이 알고, 많이 접할수록 더 많은 궁금함이 생기게 된다. 진로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그러니 부담 갖지 말고, 마음껏 궁금함을 발산하자. (오해마시라. 열심히 놀자가 아니다.) 많은 궁금함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보고, 그 중에 특히 관심이 가는 하나의 주제를 깊게, 아주 깊게 파고들어 보자. 그 주제가 고등학교 1학년 때의 진로 희망이 되면 가장 좋다. 주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선생님들을 최대한 활용해서 최대한 깊게 자신의 궁금증의 끝을 확인해보자. 그리고 친절하게 그 내용을 기록해주실 선생님을 내 편(?)으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사실 지금 당장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학교에서 배부하는 ‘학교교육계획서’를 꼼꼼히 살펴보는 일이다.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이 잘 안하는 행동이긴 하지만, 자신이 다니는 학교에 있는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학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우선순위까지 파악한다면 금상첨화이다. 자신이 가진 궁금증들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풀어내는 과정이 바로 학생부 종합 전형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절대 잊지 말아야 할 철칙!!
학생부의 기록 주체는 “학교 선생님”이라는 것.

1학년들을 위한 마지막 조언

자신의 활동과 활동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은 시간이 지나면 잊게 된다. 그러니 시작부터 ‘기록’하자. 자신의 활동 동기와 내역, 배우고 느낀 점, 성장하고 발전한 것들을 포트폴리오로 만들면 그것이 학생부 종합 전형을 위한 최선의 준비가 될 것이다.

EBSI(윤윤구선생님)
이전글 고2,3. 학생부 전형 대비 전략
다음글 학생부종합전형 서류·면접 준비는 이렇게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