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도가 높아지는 장마철 세균감염 기승, 평소 위생관리등 주의 필요
[쿠키 건강]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며,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온 여름손님 장마.
장마철에는 기승을 부리던 더위가 한풀 꺾이며, 일시적으로 기온이 내려가지만 반대로 습도가 높아지고 살균작용을 하는 햇볕이 부족해 음식이나 물을 매개로 한 전염병이 손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집중 호우로 하천 등이 범람하면 흙이나 주변 환경에 존재하던 식중독균이나 노로바이러스 등이 지하수로 침투하거나 채소류 등으로 옮겨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여름 장마철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일상생활 속 예방법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감염내과 박윤선 교수를 통해 알아보자.
대표적인 세균성 식중독으로는 포도알균(구 포도상구균) 식중독, 살모넬라 식중독, 세균성 이질,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패혈증비브리오균 감염, 대장균 등이 있다.
△포도알균(구 포도상구균) 식중독= 100℃로 30분간 끓여도 파괴되지 않는 장독소를 생산하여 질병을 유발하는데, 주로 감염된 손, 눈, 농양, 여드름, 비인두분비물, 정상피부 등에서 유래한다.잠복기는 2~4시간으로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한 후 수시간 내에 심한 구역·경련·구토·쇠약감을 동반한 증세를 갑자기 보이며, 1~2일간 지속된다.
△살모넬라 식중독= 살모넬라균은 대변 속에서는 수주일 살아 있으며, 특히 한랭에 대해 저항력이 강하므로 56℃에서는 1시간이면 완전히 사멸한다. 가축 및 야생동물과 환자나 보균자로부터 전염되는데 가능한 식품들은 깨진 날달걀과 달걀로 만든 식품, 날우유와 날우유 가공제품, 육류와 육류 가공식품 등이다. 잠복기는 12~36시간이며 대개 두통, 복통, 설사, 구역, 발열, 때로는 구토를 동반할 수 있다.
△세균성 이질= Shigella는 환자나 보균자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대변∼경구전파로 전염되며 매우 적은 양(10~100개)의 세균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잠복기는 보통 1~3일 이며, 고열과 구역질, 때로는 구토, 경련성 복통, 후중기-> 뒤무직(tenesmus)를 동반한 설사가 주요 증상이며, 전형적인 경우에는 대변에 혈액이나 고름이 섞여 나온다.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원인균Vibrio Cholerae)= 충분히 요리되지 않거나 날 해산물, 해산물을 다루는 사람의 손이나 용기에 의해 오염된 음식물 또는 오염된 해수로 씻은 날음식 등을 먹을 때 전파된다. 잠복기는 12~24시간이며, 복부경련과 물과 같은 설사를 하며 가끔은 구역, 구토, 두통 및 열을 동반한다. 대장염(조직이 침범되는 경우)이 생기면 변에 혈액과 점액이 나온다. 이런 증세는 2~10시간 계속되지만 일반적으로 1~7일정도 경과 후 회복된다.
△패혈증비브리오균 감염(원인균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바다에 살고 있으며 만성 간질환 등 저항력이 약한 허약자들이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해안지역에서 낚시 또는 어패류 손질시 균에 오염된 해수 및 갯벌 등에서 피부상처를 통해서도 감염된다.
잠복기는 1~2일 정도이며, 창상으로 해수에 있던 균이 침입했을 때 창상 부위에 수포성 괴사로 진행되는 피부형과 기존 간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오염된 해산물을 생식한 뒤 발생하는 원발성 패혈증으로 급작스런 발열, 오한, 전신쇠약감 등으로 시작하는 전신형이 있는데 후자의 경우 치명률이 40~50%로 매우 높다.
△대장균= 주로 오염된 식수나 음식을 통해서 감염되며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계절에 흔히 발생한다. 잠복기는 1~2일 정도이며, 증상은 일부환자는 혈액이나 점액이 섞여 나오고 대변에서 백혈구가 관찰되며 뒤무직 및 미열 등의 이질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대장균의 종류에 따라 7~10일간의 설사 후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도 있으나 출혈성 장염, 용혈요독증후군이 합병되는 경우까지 매우 다양한 경과를 보인다. 특히 대장균 O157:H7은 오염된 소고기로 만든 음식을 섭취한 후 발생하여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박윤선 교수는 “식중독을 의심하게 되는 경우는 식후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이고, 이때 같은 식사를 한 사람들이 같은 형태의 증상이 있으면 식중독일 확률이 매우 높다”며 식중독은 가벼운 증상으로 끝나는 것도 있지만 때로는 목숨과 관계되는 중한 증상을 일으키는 때도 있으며 특히 저항력이 없는 유아나 고령자의 탈수 증상이나 구토를 동반하는 식중독에는 기관지내에 구토 물이 막히는 일이 있으므로 충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