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성중학교 로고이미지

정혜원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생물의 진화 (과학)
작성자 정혜원 등록일 16.11.10 조회수 34

Ⅰ. 진화의 증거


1. 화석에서 찾을 수 있는 증거(화석상의 증거)

● 화석이 만들어질 당시에 살았던 생물의 종류나 자연환경 등을 알 수 있다.

● 생물의 진화과정을 추측할 수 있다.

ex) 고래의 화석 : 고래는 육상생활을 하던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말의 화석 : 말은 몸집이 점점 커지고, 발가락 수가 점점 줄어드는 방향으로 진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조새의 화석 : 시조새는 파충류와 조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 파충류에서 조류로 진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생물의 몸 구조를 비교하여 찾을 수 있는 증거(비교 해부학상의 증거)

생물의 해부학적 구조를 연구하면 생물이 환경에 적응하여 진화하면서 몸의 구조가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상동기관 : 겉모양과 기능은 다르지만 발생기원이 같아 기본 구조가 같은 기관

ex) 사람의 팔, 박쥐의 날개, 바다사자의 앞다리, 사자의 앞다리, 침팬지의 팔은 원래 같은 기관이었지만 환경에 따라 겉모양과 기능이 달라졌다.

상사기관 : 겉모양과 기능은 비슷하지만 발생 기원이 다른 기관

ex) 새의 날개와 곤충의 날개, 포도의 덩굴손과 완두의 덩굴손, 장미의 가시와 선인장의 가시

● 흔적기관 : 과거에는 기능이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퇴화하여 흔적만 남은 기관 ⇒ 환경이나 생활방식의 변화로 사용하지 않는 기관은 퇴화함을 알 수 있다.

ex) 사람의 꼬리뼈, 사람의 귀를 움직이는 근육(동이근), 뱀의 뒷다리 뼈

3. 생물의 지리적 분포를 통해 알 수 있는 증거(생물 지리적 분포상의 증거)

생물이 지리적으로 격리되면 각각의 환경에 적응하여 다른 지역의 생물과 다른 방향으로 진화함을 알 수 있다.

ex) 캥거루와 오리너구리(캥거루와 오리너구리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만 발견되고 다른 대륙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갈라파고스 군도의 핀치(각 섬의 먹이 종류에 따라 부리모양이 서로 다르게 진화함)



Ⅱ. 다윈의 진화설, 자연선택설


내용 : 다윈은 자연에서 생물은 적절한 수보다 많은 자손을 생산하고, 이 자손들에게는 기능이 조금씩 다른 여러 변이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때 '변이'란 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질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 자손들은 험난한 자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치열한 생존 경쟁을 하게 된다. 결국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은 자손들의 변이, 즉 자연에 의해 선택된 형질만 다음 자손들에게 전달된다. 다윈은, 이런 과정이 다음 자손에게도 계속 반복되고, 그래서 결국 새로운 종이 나타나게 된다고 생각한 것이다.

과정 : 자손의 과잉생산 → 개체 변이 → 생존 경쟁 → 적자 생존 → 자연 선택 → 진화

● 과잉생산 : 생물은 자연 상태에서 살아갈 수 있는 것 보다 더 많은 수의 자손을 낳는다.

● 개체 변이 : 개체들 사이에는 형태나 기능이 조금씩 다른 변이가 존재한다.

● 생존경쟁 : 개체들 사이에 먹이나 서식지를 두고 경쟁이 일어난다.

● 적자 생존 : 생존에 유리한 개체들이 살아남는다.

● 자연 선택: 살아남은 개체들이 자손을 많이 남겨 그 형질을 가진 개체들이 많아진다.

[답변] 전정국 2016.11.17 00:26
혜원 양 멋있어요! 필력이 좋네요
[답변] 서현서 2016.11.11 13:19
멋있어요!
이전글 황이에게
다음글 독서캠프가 끝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