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칭
: 가온누리 ('세상의 중심에 서다' 라는 뜻을 가진 순 우리말)
2. 목적
: 우리나라의 역사를 바로 알기위해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탐구한다.
3. 활동방향
① 역사탐방을 통한 역사의식 함양
② 역사와 관련된 자료를 통한 사고의 확대
③ 한국사 검정 능력시험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한 경험 습득
흥선대원군 정책 반대의견 |
|||||
---|---|---|---|---|---|
이름 | 이아현 | 등록일 | 14.12.14 | 조회수 | 163 |
저는 흥선대원군의 정책이 전반적으로 옳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흥선대원군은 왕권을 강화시키고, 행정권과 군사권을 분리시키는 등의 많은 업적을 남기기도 했지만, 통상수교 거부정책과 경복궁 중건같이 사람들의 원성을 듣는 정책도 많았기 때문입니다. 먼저 통상수교 거부정책은 다른 나라와의 통상 및 교역을 허용하지 않는 외교정책으로 많은 사람들이 비판하고 있는 정책 중 하나입니다. 통상수교 거부정책은 서양문물을 받아들일 시기를 놓치는 계기가 되어 우리의 기술발전 및 근대화를 지연시키는데 큰 걸림돌이 되었고, 다른 나라의 공격을 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당시상황에서는 일본처럼 다른 나라와의 강제조약을 맺는 일을 멀리할 수 있게 해준 국가안전을 위한 올바른 결정이었다는 말도 있지만, 그 당시 일본은 서양문물을 받아들임으로 기술력이 증가하고 무기들도 발전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기술과 군사력이 약해 식민 지배를 받는 입장에 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으므로 올바르지 못한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흥선 대원군이 천주교 금압령을 내려 프랑스 선교사와 일부 백성들에게 사형을 내렸고 이 사건이 병인양요의 계기가 되어 외규장각 도서 345권 등의 문화재를 잃게 하는 정책도 있었습니다. 그 외에도 명나라 왕을 모시던 유생들의 만동묘를 폐지해 원성을 듣기도 하였고, 불법적 관행제거라는 정치 목적에 맞지 않게 당시 불법이던 선정비를 세우고 그 것으로 아버지라는 지위로 권력을 이용했음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또한 흥선대원군은 독재적인 왕권을 고집하였습니다. 왕권 강화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독재도 필요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자신의 아들을 몰아내려 하고, 며느리인 명성황후를 제거하려 일본공사관에 청탁을 보내기까지 했으며, 민씨 척신가와 동맹을 맺기도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흥선대원군은 왕권 강화를 이유로 경복궁을 중건하는데 저는 이것이 가장 잘못된 정책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경복궁이 현재로써는 우리나라의 국민들이 많이 찾고, 자랑스러워하는 문화재이지만, 그 당시에는 수많은 백성들의 원성을 듣는 곳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정책들을 내세웠기 때문입니다. 흥선대원군은 돈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당백전이라는 고액화폐를 발행함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화폐가치가 떨어지게 되었고, 원납전이라는 제도로 수리경비를 충당하기위해 각계 층에 돈을 자진 납부하라는 명령을 내리고서는 실제로는 각 고을마다 일정한 세금을 강제로 내게 해 백성들을 힘들게 하기도 했습니다, 그 외에도 결두전이라는 임시세금을 징수하고, 경기도 인민을 징발해 강제노역을 시켰으며, 경복궁 중건중 화재가 발생했을 때도 공사를 독촉하고, 통행세를 받고, 나무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덤가에 나무를 마음대로 벌채해 사용하여 많은 백성은 물론 양반들과 그 외 많은 계층에게 비난을 듣습니다. 저는 이러한 점들을 이유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
이전글 | 흥선대원군 정책 찬성 의견 |
---|---|
다음글 | 남북통일 반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