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1반

언제나 배려하고 모두를 사랑하고 뭐든지 노력하는 배사노 5기 여러분 환영해요^^

언제나 행복한 배사노 5기♡
  • 선생님 : 정택규
  • 학생수 : 남 14명 / 여 12명

고구려,신라,백제 건국 신화이야기 조사 과제 제출

이름 오효영 등록일 15.12.17 조회수 17

                                네이버 캐스트

박혁거세는 기원전 69년에 태어났다. 동해안의 한 바닷가에서 어진 사제 의선의 지도를 받아 성장한 혁거세는 우리나라 고대왕권국가의 문을 여는 신라를 세웠다. 고구려의 동명왕보다 20년 먼저, 백제의 온조왕보다 40년이 앞선 시점이었다. 그는 어진 왕이었으며 지혜로운 왕이었다.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 만인 서기 3년, 혁거세는 하늘로 올라가고 7일 뒤에 몸만 땅으로 흩어 떨어졌다.

                               한국  문학

나라를 세우게 된 앞뒤 내력을 말하거나 국가적인 범위에서 신성성이 인정되는 국가창건의 군주에 관한 이야기를 건국신화라고 한다. 건국신화는 왕가의 시조에 관한 것이므로 시조신화()를 겸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의 건국신화라는 범주에 들 수 있는 신화로는 고조선의 단군신화, 부여의 해모수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백제의 온조, 비류신화, 신라의 박혁거세신화, 석탈해신화, 김알지신화, 가락국의 김수로왕신화가 있다. 그밖에 고려왕조와 후백제, 조선왕조의 시조들에 관한 이야기는 창업과 건국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미 신화시대를 훨씬 벗어난 단계에서 정책적이고 인위적으로 이야기가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역사적 전설의 성격이 강하다. 건국신화가 동시에 성씨시조신화인 경우도 있는데, 김알지, 석탈해왕 및 신라 육촌장 이야기를 보기로 들 수 있다.

                             인물 한국사

37년 고구려를 세웠다. 천제 해모수와 하백의 딸 유화를 부모로 두고 태어나 부여의 금와왕에게 붙어살았지만, 주몽은 자신이 천제의 아들임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부여를 떠나 고구려를 세울 때에도, 주변 나라를 하나하나 복속하며 국력을 키워 갈 때에도, 이 자긍심은 변함이 없었다. 이는 그 후손에게 고스란히 전해져, 고구려는 전성기에 한반도 북부에서 만주 일대를 다스리는 대국으로 컸다. 비록 40세의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대국의 주춧돌을 놓은 주몽의 일생은 결코 짧지 않다.

이전글 사회숙제
다음글 5학년 1반 사회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