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1반

안녕하세요. 우리는 심천초 5학년 나래반입니다^^

단우와 명화의 꿈을 펼치는 공간입니다.

단우와 명화의 나래반
  • 선생님 : 정재원
  • 학생수 : 남 1명 / 여 1명

RE: 사회 퀴즈

이름 김단우 등록일 16.06.07 조회수 7

배산임수의 ‘배산()’은 뒤로 산을 등지고 있다는 뜻이고, ‘임수()’는 앞으로 강, 시냇물, 연못 따위의 물을 내려다보거나 물에 닿았다는 뜻이다. 배산면수()·배산임소()·배산면락()·배산임락()·배산임계() 등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며, 배산면양()으로도 표현된다. 산을 음()으로 보는 것에 대해, 물을 양()으로 보기 때문이다. 배산임수한 터는 또한 산하금대()·산수회포()·산수환포() 등과 같은 뜻으로 형국의 크기, 지형 조건에 따라 달리 표현된다.

한국의 마을이나 건축 조영물은 일반적으로 산의 경사가 완만하게 아래로 내려오다가 시냇물을 끼고 들판으로 바뀌는 산기슭에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지형을 이룬 터를 배산임수하고 있다고 말한다. 산이 많은 지형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은 예로부터 마을이나 건축 조영물이 배산임수한 지형에 자리 잡고 있으면 그 터는 풍수가 좋다고 여겨왔다. 이러한 터는 농경생활을 하기에 적합하면서 생태적이고 친환경적인 특성을 지닌다.

배산임수한 지형은 이미 조선시대에 사람이 살기에 이상적인 터라고 언급되었다. 이산해(, 1539∼1609)는 『아계유고(稿)』에서 팔선대() 인근 서촌(西)의 “민가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데 모두 배산임수하고 있으며 샘이 달고 땅이 기름지고 수목이 울창하고 곡식이 무성하여 매우 좋다( ).”고 하였다. 홍만선(, 1643∼1715)이 『산림경제()』에서 “치생을 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먼저 지리를 가려야 한다. 지리는 물과 땅이 아울러 통하는 곳을 최고로 삼는다. 그러므로 뒤에 산이 있고 앞에 물이 있으면 곧 훌륭한 곳이 된다( )”라며 배산면호()한 터를 말한 것이나, 정조()가 『홍재전서()』에서 “옛말에 일백 가구의 마을과 열 집의 저자라도 반드시 산을 의지하고 시내를 끼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라고 하며 의산대계()한 터를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배산임수한 터는 풍수와 깊은 관계가 있다. 풍수에서 말하는 좋은 터는 뒷산에서 흘러들어온 기()가 모인 곳이다. 기는 물을 만나면 움직이는 것을 멈추고 한 곳으로 모이는데, 이를 두고 중국 동진()의 곽박(, 276∼324)이 찬하였다고 하는 『장서()』에 “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을 경계로 하면 멈춘다. 옛 사람이 기를 모아 흩어지지 않게 하고, 기가 다니게 하다가 멈추고자 하여 이를 풍수라 불렀다.( 使 使 )”라고 설명하였다. 배산임수한 터는 이러한 지세를 한 곳이다.

배산임수한 터에 건물을 앉힐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건물의 좌향() 잡기와 안대()의 선택이다. 좌향 잡기는 터에 건물을 어떻게 앉힐 것인가를 살펴 결정하는 일을 말한다. 좌향의 ‘좌’는 터에 건물이 앉는 방위를 말하고, ‘향’은 건물이 앞을 내다보는 방향을 이른다. 건물이 잘 앉혀지면 그 터는 거기에 사는 사람들에게 편안하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향은 집 앞으로 바라보이는 산인 안대와 관계된다. 건물의 향을 정할 때는 안대의 선택을 우선으로 한다. 같은 마을에 있는 집들이라도, 안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집들은 향을 달리 한다. 안대의 형상은 바로 그 집에 사는 사람들의 심상을 좌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배산임수한 국면을 경관과 외부공간을 구성하는 관점에서 보면, 터 뒤를 받치는 주산(), 소조산(), 조산()은 산 뒤에 산이 있는 형상을 이루며 겹겹으로 터를 둘러쌈으로써 터를 받치는 경관이 깊이감이 있도록 한다. 터 앞으로 흐르는 시내 건너 평활하게 트인 전경()은 그 방향의 안산(), 조산()이 터의 대경(), 차경()이 되도록 해서 터 앞으로 멀리 내다보는 원경의 중심을 형성하도록 한다.

배산임수한다는 것은 마을이나 건물이 들어선 터가 그러하다는 뜻이지만, 그러한 터에 살거나 생활하는 사람도 배산임수하게 된다. 터와 사람이 함께 산을 등지고 물을 내려다보며 밖을 내다보는 것이다. 사람이 거주하는 장소는 터와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묶여 있음을 뜻한다.

이전글 방학숙제 내가 좋아하는 식물 5개이상
다음글 퀴즈! 방샘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