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1반

2017학년도 3학년 나눔반입니다.

우리반은 내가 먼저 배려하고 서로 존중하며

거짓말하지 않는 학급 약속을 실천하며

즐겁게 공부하려합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려요!

하나는 모두를 위해! 모두는 하나를 위해!
  • 선생님 : 천성훈
  • 학생수 : 남 8명 / 여 5명

우리나라의 전통음식 찾기(사회)

이름 조영은 등록일 17.09.21 조회수 9
첨부파일

1.김치

나는 김치가 매워서 많이 안 먹지만, 김치를 즐겨 먹는 사람이 많다.

그리 고 김치는 종류가 많고 다양하다.

이건 일반 김치다.

이건 깍두기라는 김치의 종류다.

이건 김치의 종류 총각김치다.

이건 김치 종류중에 내가 제일 좋아하는 갓 김치다.

이건 나도 처음보는 갈치젓 배추김치다.

 

 

 

2.떡갈비

 

 

 

3.삼계탕

만드는법,유레 덤으로더운여름날을잘보내기위해농민이들먹었다고

계삼탕이라고도 한다. 병아리보다 조금 큰 영계를 이용한 것은 영계백숙이라고 한다. 내장을 꺼낸 닭의 뱃속에 깨끗한 헝겊으로 싼 찹쌀·마늘·대추 등을 넣고, 물을 넉넉히 부은 냄비나 솥에 푹 삶아 고기가 충분히 익었을 때 건져낸다. 인삼을 헝겊에 싸서 국에 넣고 푹 고아 인삼의 성분이 우러나게 하여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국물만을 마시거나, 국물에 양념한 고기를 넣어 먹기도 한다. 그러나 인삼을 찹쌀 등과 함께 섞어서 닭 속에 넣어 고면 닭 뼈에 인삼의 영양분이 스며들어 인삼의 영양분이 감소된다.

4.갈비찜

만드는법,유레

돼지갈비를 이용하기도 하며, 갈비를 6∼7 cm 길이로 토막내어 기름기를 떼낸 후 고기가 두꺼운 부분에는 칼집을 깊게 내고, 안쪽 뼈에도 가로 ·세로로 칼집을 내어 먹기 좋게 한다. 간장 ·설탕 ·다진 파와 마늘 ·생강즙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을 섞어서 양념장을 만든다. 솥에 갈비가 잠길 만큼 물을 붓고 푹 끓여 건져낸 후, 국물에 뜬 기름기를 걷어낸다. 삶아낸 갈비에 양념장을 골고루 발라 찜그릇에 담고, 밤 ·당근 ·달걀 지단채 ·표고버섯 ·석이 등을 색스럽게 위에 얹어 약한 불에 뜸을 충분히 들인다. 밑에 괸 국물을 1~2차례 떠서 갈비에 끼얹는다. 

5.곰탕(곰국)

만드는법유래

육탕()이라고도 하며 보양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밥을 말면 곰탕이 되고, 사골·등뼈를 많이 넣어 끓이면 설렁탕이 된다. 옛날 궁중에서는 수라상팥수라와 짝이 되는 음식으로 올렸다.

양지머리·사태살 등 고기와 양(羘:소의 위)·곱창·부아 등 내장을 될수록 많이 넣고 오래 끓여야 감칠맛이 난다. 파·마늘·무를 함께 넣어 푹 무르게 끓이고 건더기는 건져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다진 파와 마늘·참기름·후춧가루·간장 등으로 양념을 하여 국에 넣어 한소끔 다시 끓인다. 

6.설렁탕

7.식혜

8.약밥

9.수정과

10.된장국

11.수란

12.사슬적

13.화전

14.녹두전

첨부 이미지 

 

 

이전글 우리나라 전통음식
다음글 전통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