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3반

 

  • 선생님 :
  • 학생수 : 남 10명 / 여 11명

윤섭 장현 해커톤 대사

이름 최장현 등록일 16.11.20 조회수 19

신발을 찾는 사소한 문제부터 어려운 점이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또한 청각장애인은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 소리를 듣지 못하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에서 대처하기가 어렵다는 것도 느꼈습니다.그래서 저희는 장면 3개를 설정하고, 각각의 상황에서 메이키 보드를 활용하여 장애인을 돕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습니다.장면 1은 시각장애인이 버스를 타는 상황입니다. 이 때 장애인은 버스가 도착하기까지 몇분이나 남았는지 시각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버스 안내기에 메이키 보드를 설치하여 몇번의 터치 만으로 원하는 버스가 언제 오는지 확인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보았습니다. 버스 안내기에 내장된 메이키 보드는 장애인이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서 버스 번호를 인식합니다. 그리고 인식한 번호 버스가 몇 분 후에 도착하는지 안내합니다. 여기에서 사용한 코드는 신호주기와 신호받기 입니다.
메이키보드가 내장된 부분을 터치하여 전기가 통하게 되면 신호가 주어지고 버스 안내기는 신호를 받고 해당 버스의 시각을 안내합니다. 이러한 장치를 개발하면 비싼 음성인식안내가 터치스크린 장비 없이 저렴하게 장애인이 대중교통 이용을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다음은 장면2입니다 장면2의 문제 상황 시각 장애인이 다른 동네 맛집에서 밥을 먹고 신발을 찾는 것인데 맛집에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니까 신발도 많을 수 밖에요. 저희가 체험을 해보니  시각장애인이 많은 신발들 속에서 자신의 신발 찾기는 많이 어렵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저희는 신발뒤에 전도체을 달아 자신의 신발을 만지면 소리가 나서 자신의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메이키 보드를 구성하였습니다.



마지막장면 3입니다 장면3의 문제상황은 청각 장애인이 버스을 타는 모습입니다 청각장애인은 소리가 나도 귀가 잘안들리기 떄문에 무슨일이 있는지 반응이 느림니다 그래서 오토바이나 자동차로 부터 안전할려면 자주 뒤를 뒤돌아 봐야 합니다 그래서 안경의 일정 부분에  하프미러 글라스를 설치하여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안경에 전류를 통하게 하여 안경유리의 부분이 거울로 변하여 항시 뒤를 볼 수 있게 합니다. 하프미러 글라스는 흔이 반투명 거울이라고 합니다. 예로 영화에서 전기를 통하게 하면 불투명이 됬다 투명이되는 유리창은 하프미러 글라스라는 유리입니다. 안경에 하프미러 글라스를 이용해서 필요할때마다 전기를 흘려보네서 거울로 만들어 뒤를 보는것 입니다




이상으로 발표를 맞치겠습니다



이전글 진짜 (1)
다음글 저희팀은 시각창애인과 청각장애인이 다른 동네의 맛집을 방문하는 상황을 설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