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4반

안녕하세요. 여러분! 배려하고 사랑하는 우리반이 되도록 해요!!
리딩(Reading)으로 리드(Lead)하라....
  • 선생님 : 홍현호
  • 학생수 : 남 12명 / 여 12명

대리사회 (별점3개:★★★☆☆)

이름 홍현호 등록일 17.12.09 조회수 22
첨부파일

1. 제목: 대리사회

2. 저자. 김민섭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로 유명해진 작가)

3. 내용

저자는 우리가 아는 "시간강사" 로 일하다가 그 유명한 지방시를 쓰고 학자의 길에서 나와 노동의 세계로 들어간다. 대학의 구조적 모순을 잘 모르는 분이면 꼭 그 글을 찾아서 읽어보기를 바란다.


저자는 아이가 태어나자 더이상 양가부모와 와이프에게 짐이 되기 싫어서 해보지도 않은 맥도날드 아르바이트, 택배 아르바이트를 하여 국민건강보험의 혜택을 받게 된다. 시간강사는 대학에서 을중의 을... 근로자로 대접받지도 못하고, 번지르르한 겉모습에 화려하게 보이기는 하지만 노동의 본질과는 떨어진 도제식 직업이라고 할수 있다. 노동의 본질은 사용자가 모든 물품을 제공하고 노동자가 노동을 제공하여 수익을 내면 노동자가 급여를 받는 것이라고 할수있다.

저자는 상조회사에서 정장을 근로자가 구매해야하고 또 일부 대리기사가 폰이나 앱등 장비나 가입비 유니폼값을 선불로 내야한다는 어색한 개념을 견디지 못하고 다른 직업을 찾다가 우연히 합리적인? 카카오대리에 면접을 보고 합격하여 이 일을 사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하루에서 10번가까이 험난한 대리기사를 하며 일년을 넘게  소소한 이야기들 노동의 왜곡 진정한 일의 의미 등등을 대리운전을 하며 만난 일상의 여러사람을 통해 노동과 행복의 의미를 찾아나간다.


저자는 유명한 바버라 애런라이크의 노동의 배신이란 책의 예를 들며 자신의 책이 그녀의 책과 비슷한 분위기가 난다고 말하지만 다른점은 그녀는 잠시 노동의 체험을 하러 그곳으로 들어왔다면 저자는 자신은 밀려나서 거기로 들어갈수 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그는  정말로 퇴로가 없이 대학이라는 지성의 공간에서 나왔고, 교수님의 책망과 무시는 예상했지만. 같은처지인 격려받아야할 시간강사 동료들에게 무시당하면서 외롭게 내몰리게 되었다. 현재까지 그는 대리운전이라는 직업을 선택하여 동시에 좋아하는 글을 쓰는 ? 두가지 일을 병행하는 쪽으로 방향이 잡고 있는 듯하다.


제목이 대리사회이다. 시간강사의 처절한 희생속에 대학교수가 편히 쉽게 누리듯이  우리사회에는 빛없이 주체를 상실한 대리 인생들이 참 많다. 같은 기사인 택시기사는 자기의 차에서 손님에게 말을 거는 주체적인 직업이다. 반면 대리운전기사는 대리입니다. 한마디로 목적지 조차도 카카오대리가 안내해주는 대로만 가는 주인에게 창문좀 올리고 내린다는 말을 하기도 어려운 객체적인 직업 즉 대리적 직업인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 될수록 주체적 직업과 대리적 직업의 차이(양극화)가 심해진다. 저자는 그들을 요정이라고 한다. 외국인이 볼때 한국에는 요정이 많다는 것이다. 팅커벨...

버스가 끊기면 뒷골목의 청소부 대리기사 미화원 등은 도시를 다시 되살린다. 물론 존재를 들켜서는 서로 불편하다. 저자는 완곡하게 대리사회의 구성원들이 코뮌을 조직해 불합리와 부조리에 저항해야한다고 암시한다. 이대로는 희망이 없으니까말이다.


한국사회의 슬픈 요정들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이 책은 누구나 읽기도 쉽고 재미있어 중학교 이상이면 꼭한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이전글 사라지는 미래 (별점2개:★★☆☆☆)
다음글 센트럴파크 (별점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