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3반

'목표는 같지만 내용은 다르게' 개성을 존중하며 함께 걸어가는 우리 3학년 3반입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우리들
  • 선생님 : 오승교
  • 학생수 : 남 13명 / 여 12명

12월 17일 (목) 수업

이름 오승교 등록일 20.12.17 조회수 58

원격수업 10시에 시작합니다(미리 5분 전에 들어오세요).

아래의 파란색 영어 줄을 클릭하면 화상수업에 자동 참석됩니다.

https://us02web.zoom.us/j/7910275146?pwd=dTdhVURGSUZoL2ViT1BjcGJNdlhSUT09

1교시 과학

과학 104~105, 실험관찰 55

학습문제 : 소리가 나아가다가 물체에 부딪치면 어떻게 될까요?

1. 영상을 보면서 지난시간을 복습하고, 오늘 수업을 위한 준비를 합시다.

수업준비?

2. 텅 빈 체육관이나 동굴에서 소리를 들은 적이 있나요?

소리가 울리고, 또 다시 들리는 경험을 한 적이 있나요?

3. 과학 104~105쪽을 읽어보았지요?

이제 실험을 해보겠습니다. 실험관찰 55쪽을 펴세요.

내용이 간단하지요?

원격수업이기 때문에 영상으로 실험을 대체합니다.

영상이지만 흥미로운 내용이 많으니 집중해서 공부하세요.

여러 가지 물체를 이용해 스피커의 소리 듣기?

4. 여러분 휴대폰에서 음악을 틀 수 있죠?

그냥 음악을 듣는 것보다 좀 전에 실험한 것처럼, 컵 같은 것에

담으면 훨씬 더 크게 들린답니다^^

5. 과학 105쪽을 보세요. 글을 소리내어 읽어봅시다.

소리가 나아가다가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성질을

소리의 반사라고 합니다. (새로운 개념이네요~밑줄 쳐 볼까요?)

소리는 딱딱한 물체에서는 잘 반사되지만, 부드러운 물체에서는 잘 반사되지 않습니다.

소리의 반사에 대해 좀 더 알아봅시다.

소리의 반사?

6. 소리의 반사가 우리 생활의 굉장히 많은 곳에서 이용되고 있지요?

다음 시간에는 우리 주변의 소음에 대해 공부해봅시다.

2교시 수학

학습문제: 무게를 비교해 볼까요?(교과서 106-107)

1. 첫 번째 주사위 문제: 어느 것이 가장 무거운지 생각 나누기

- 집에 있는 과일이나 물건을 2-3개 찾아서 준비해 주세요.

- 양손에 과일(물건)을 하나씩 들고 무게를 비교해 보세요.

- 어느 과일(물건)이 가장 무겁나요?

2. 두 번째 주사위 무제: 무게를 재는 방법 알고 무게 비교하기

- 저울을 사용하여 물건의 무게 비교하기

저울을 사용하기 전 영점을 맞춰야 합니다.

- 저울에 과일(물건)을 올려놓고 무게 재기: 우리 집에 저울이 없지요? 영상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wXfHD_Kkq0

- 확인 영상: 양팔저울로 물건의 무게 재기

https://www.youtube.com/watch?v=0bDIoIBZuxQ

- 교과서에서처럼 윗 접시 저울을 이용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저울의 접시가 기울어진 정도를 통해 두 가지 이상의 물건의 무게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 윗 접시 저울의 불편한 점을 무엇일까요? (무게의 차이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얼마만큼 더 무거운지 알 수 없다.)

- 얼마만큼 더 무거운지 알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단위 무게를 재어 서로 비교하기, 눈금이 있는 측정 도구로 무게 재기)

3. 세 번째 주사위 문제: 여러 가지 단위로 무게 비교하기

- 바둑돌, 클립을 단위 무게로 하여 과일(물건)의 무게 비교하기

- 무게를 비교할 때 사용하는 단위가 다르면 어떤 점이 불편할까요? (같은 물건이라도 사용하는 단위에 따라 무게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비교하기 어렵다.)

- 같은 단위로 무게 재기

4. 네 번째 주사위 문제: 주변에 있는 물건의 무게 재기

- 주변에 있는 물건: 공책, 필통, 지우개, 물감 등

5. 수학익힘책 78-79쪽 문제 해결하기

3교시 체육

학습문제: 집에서 즐기는 온라인체육! 농구편 (1)

주의사항: 1) 층간소음, 안전을 위해 집에 있는 매트나 카펫을 활용할 수 있다면 더 좋아요. 집에 있는 비닐봉지, 풍선 등을 활용해도 좋습니다.

2) 동작을 정확히 따라 해야만 올바른 운동이 됩니다.

3) 장난치거나, 집중하지 않으면 물건을 깨뜨리거나 다칠 수도 있어

. 주변을 잘 정돈하고 동작을 따라 해 봅시다.

1. 체육수업 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준비운동 복습하기(국민체조)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a72NCO0OFXA

2. 농구에 대하여 알아본 후, 기본동작 연습을 따라해 봅시다.

(영상을 보며 천천히, 정확한 동작으로 1회 따라해 봅시다.)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XDCCKBbg_qE

4교시 국어

학습문제: 장소의 변화에 따라 글의 내용 간추리기 2 (254~255)

1. 2545번의 그림을 볼까요? 어떤 그림인가요?

2. ‘동물원에서를 듣고 묻고 답하기 놀이를 해봅시다. 잘 들어보세요.

https://youtu.be/RpMkpHiOY38

3. 질문할 내용을 물음칸에 써 보세요.

- 집에서 공부하는 경우에 질문에 대한 답도 스스로 써 봅니다.

4. ‘동물원에서를 다시 듣고 장소 변화에 따라 무엇을 관찰했는지 간추려 써 봅시다. 2556번에 쓰세요.

https://youtu.be/RpMkpHiOY38

- 야행관: 수리부엉이는 몸길이가 70센티미터나 될 정도로 큰 새이다. 논이 붉고 목이 앞뒤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명종 위기 동물이다.

- 열대조류관: 왕관앵무, 장미앵무, 회색앵무와 같이 색과 크기도 다양한 앵무새를 관찰했다.

- 큰물새장: 머리가 붉은 색이고 목과 다리가 까만색인 새가 두루미, 다리가 붉은 색인 새가 황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5. 2557, 글의 흐름에 따라 내용을 간추리는 방법을 잘 읽어 보세요.

- 장소가 바뀌면서 사건이 변하는 글은 어떻게 정리하면 될까요? (이동한 장소와 각 장소에서 한 일을 중심으로 간추립니다.)

* 점심을 먹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5교시 국어

학습문제: 글의 내용에 따라 내용 간추려 쓰기 1 (256~258)

1. 256쪽을 볼까요? 이번 시간에는 직업체험관에 다녀와서 쓴 글을 읽겠습니다. 시간의 흐름과 장소의 변화를 생각하며 즐거운 직업 체험을 읽어 봅시다.

2. 256쪽부터 257쪽 네 번째 줄까지 읽어 보세요. 다 읽고 아래의 물음에 답해 보세요.

- 직업 체험관에 몇 시에 도착하였나요? 10

- 우리 모둠은 몇 명인가요? 4

- 우리 모둠은 직업 체험관의 어디를 가장 먼저 갔나요? 소품 설계관

- 디자이너 체험을 끝내자 거의 몇 시였나요? 11

- 다음으로 간 곳은 어디인가요? 제빵 학원

3. 257쪽 다섯 번째 줄부터 258쪽 끝까지 읽어보세요.

- 제빵사 체험을 마치고 나오니 거의 몇 시였나요? 12

- 점심시간에 친구들과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나요? 체험활동 이야기

- 점심시간이 끝난 오후 1, 어디에서 어떤 체험활동을 하였나요? 소방서에서 소방관 체험

- 버스를 타기로 약속한 시간은 몇 시 몇 분인가요? 2시 반(230)

- 돌아오는 버스에서 선생님의 말씀을 들은 후, 나는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앞으로도 직업의 세계에 관심을 두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4.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소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생각해보며 글을 잘 읽어 보았지요? 그럼 2582번의 (1), (2), (3)번을 해 보세요.

- (1)번의 답은 256쪽 일곱 번째 줄에 나와 있어요.

- (2)번의 답은 257쪽 열세 번 째 줄에 나와 있습니다.

- (3)번의 답은 258쪽 여섯 번 째 줄에 있습니다.

5. 2583, ‘즐거운 직업 체험에서 파란색으로 쓰인 부분처럼 글의 흐름을 알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써 봅시다.

- 시간 흐름을 알 수 있는 부분: 열 시, 열한 시, 열두 시, 한 시, 두 시

- 장소 변화를 알 수 있는 부분: 학교, 직업 체험관, 소품 설계관, 제빵 학원, 중앙 광장, 소방서

6교시 음악

학습문제: 찾아가는 음악 선물 실천하기(교과서 90-91)

1. 찾아가는 음악 선물 사전 준비하기

- 연주에 참여하는 바른 태도 알아보기

연주 시작과 끝에 인사와 함께 전하고 싶은 말을 예의바르게 전한다.

조금 실수가 있더라도 끝까지 최선을 다한다.

연주가 끝나고 상대방의 소감을 경청한다.

- 필요한 준비물: 악기, 악보 등

2. 찾아가는 음악 선물하기

- 만날 수 있는 사람의 경우: 약속한 시간과 장소에서 연주를 위한 준비가 다 되었는지 미리 확인한다.

- 만날 수 없는 사람의 경우: 연주, 영상편지 등을 동영상으로 찍어서 휴대전화(메시지, 카톡 등)로 전송한다.

- 마음을 담아 상대방을 위하여 최선을 다해 연주한다.

- 찾아가는 음악 선물을 받은 분과 서로 소감을 나눈다.

3. 추운 겨울, 여러분께 드리는 따뜻한 음악 선물

- 비발디의 사계 중 겨울 2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PNS2z79gkXc&list=PL4hJIKThNLolGIMA2o0NHOe2OOnQj0Fsb&index=4 (2)

3. 찾아가는 음악 선물 결과 보고하기

-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어떻게 음악을 선물했는지 빈 공책에 간단하게 적고 소감을 이야기해 보세요.

오늘의 수업을 마칩니다. 책상 위를 정리하고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이전글 12월 18일 (금) 수업
다음글 12월 16일 (수)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