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3반

'목표는 같지만 내용은 다르게' 개성을 존중하며 함께 걸어가는 우리 3학년 3반입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우리들
  • 선생님 : 오승교
  • 학생수 : 남 13명 / 여 12명

12월 9일 (수) 수업

이름 오승교 등록일 20.12.09 조회수 72

원격수업 10시에 시작합니다(미리 5분 전에 들어오면 좋겠어요).

아래의 파란색 영어 줄을 클릭하면 화상수업에 자동 참석됩니다.

https://us02web.zoom.us/j/7910275146?pwd=dTdhVURGSUZoL2ViT1BjcGJNdlhSUT09

1교시 창체

학습문제: 다양한 공기놀이 방법 알고 놀이하기

준비물: 공기돌

공기놀이 소개 (클릭)

1. 공기놀이를 해본 적이 있나요?

2. 생각나는 경험이 있으면 말해보세요.

3. 공기놀이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혼자서 즐길 수 있는 전통 놀이입니다.

4. 공기놀이의 방법과 규칙에 대해 알아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O2uGifIZEY (클릭)

5. 코로나19가 없어져서 친구와 팀을 이루어 공기놀이를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6. 친구가 실수를 했을 때 어떤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⓵⓶⓷중 선택)

진짜 못한다.”

실수했지만 괜찮아. 너 때문에 지면 되지 뭐.”

괜찮아. 실수 할 수도 있지. 다음 차례에 잘할 수 있어.”

7. 상대 팀이 우리 팀보다 앞설 때 어떤 태도로 게임에 임해야할까요? (⓵⓶⓷중 선택)

이길 수 있다는 마음을 갖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다.

팀원을 다그쳐서 더 잘할 수 있게 윽박지른다.

포기하고 게임을 대충대충 한다.

8. 만약 우리팀이 졌다면 상대방에게 또 내 팀원에게 어떤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⓵⓶⓷중 선택)

상대팀을 째려보며 단지 운이 좋았던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팀에게 다음부터 같이 공기놀이하지 말자고 한다.

상대팀에겐 격려를 우리팀에겐 위로를 해준다.

9. 정답이 뭔지는 당연히 알고 있겠죠? 공기놀이도 일종의 스포츠입니다. 모든 스포츠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하는 사람이 이기게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cuO7x0kjpo

과제: 죽지 않고 한 알 줍기, 두 알 줍기, 세 알 줍기, 네 알 줍기, 꺾기를 성공시켜보세요.

2교시 수학

학습문제: 들이를 비교해 볼까요? (교과서 98-99)

1. 첫 번째 주사위 문제

- 어느 병에 물이 가장 많이 들어갈까 생각해 보세요.

- 왜 그 병에 물이 가장 많이 들어간다고 생각하나요?

2. 두 번째 주사위 문제

- 우유병과 주스병에 물을 가득 채운 뒤 크기가 같은 수조 2개에 병에 담긴 물을 각각 부어 보겠습니다. 어느 병에 물이 더 많이 들어갈지 생각해 보세요.

- 주스병과 물병의 들이를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요?

) 주스병에 물을 가득 채운 뒤 물병에 옮겨 담았을 때 물이 다 들어가면 물병의 들이가 더 많고, 물이 다 들어가지 않으면 주스병의 들이가 더 많습니다.

) 주스병과 물병 모두 물을 가득 채운 뒤 크기가 같은 수조 2개에, 병에 담긴 물을 각각 부어 수조에 담긴 물의 양을 비교합니다.

- 이와 같은 방법으로 비교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 주스병에 물을 가득 채운 뒤 물병에 물을 옮겨 담아서 비교하면 다른 그릇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어 편합니다.

) 측정 도구가 없이도 간편하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이와 같은 방법으로 비교하면 어떤 점이 불편한가요?

) 입구가 작은 그릇은 부을 물이 쏟아져서 붓기가 힘듭니다.

) 큰 그릇을 준비하기 어렵습니다.

- 이와 같은 방법은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

) 측정 도구가 없을 때

) 다른 큰 그릇을 준비하기 어려울 때

) 입구가 작은 그릇은 옮겨 담기 불편하므로 큰 그릇을 준비하여 비교하면 편리합니다.

 

3. 세 번째 주사위 문제

- 종류가 다른 2개의 물병에 물을 가득 담은 뒤 종이컵에 옮겨 담아 종이컵에 몇 번을 채울 수 있는지 기록해 봅시다(종이컵이 없으면 집에서 물을 마시는 머그컵 1개로 실험을 해도 됩니다).

- 2개의 물병의 들이를 같은 단위로 비교하여 말해 봅시다.

(예시) 1번 물병은 2번 물병보다 종이컵 1개만큼 물어 더 많이 들어갑니다.

- 2개의 물병의 들이를 다른 단위를 사용하여 말해 봅시다.

(예시) 1번 물병은 종이컵으로 6개만큼, 2번 물병은 텀블러에 1개만큼 들어갑니다.

- 들이를 비교할 때 사용하는 단위가 다르면 어떤 점이 불편할까요?

4. 네 번째 주사위 문제

- 집에 있는 물건의 들이를 비교해 보고 어떻게 비교했는지 수학책 빈 곳에 써 봅시다.

5. 수학익힘책 70-71쪽 문제 해결하기

3교시 음악

교과서 88-89)

학습문제: 노랫말이 나타내는 장면 떠올리고 쉼표 부분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하며 노래 부르기

1. 경험 나누기

- 선생님이나 부모님, 할머니, 할아버지께 옛날이야기를 들은 경험 나누기(동화책으로 읽었던 옛날이야기를 떠올려도 좋고, 아래의 옛날이야기 영상을 봐도 좋아요.)

- 재미있는 옛날이야기: 주인을 구한 누렁이

https://www.youtube.com/watch?v=VCbTY-7gE9Y (6)

- 옛날이야기를 들었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나요?

2. 노랫말이 나타내는 장면 떠올리며 노래 부르기

- 노랫말을 큰 소리로 한 번 읽어 보세요.

- 노랫말에 대한 질문?

언제?

어디서?

누가?

노래에 담긴 이야기는?

- 노랫말에 나타난 분위기는 어떤가요?

- 노랫말의 장면을 떠올리며 노래 듣고 부르기: 3번 따라 부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jPpDaTPAr4U

 

3. 쉼표 부분에 신체 표현을 하며 노래 부르기

- 교과서 892번 그림을 보세요.

구분

(8분 쉼표)

(2분 쉼표)

(4분 쉼표)

교과서 동작 설명

하며 손가락으로 입을 가린다.

두 주먹끼리 위아래로 부딪치는 시늉을 한다.

박수 치는 시늉을 하며 양 손을 엇갈리게 한다.

내가 만든 동작?

 4. 쉼표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하며 노래 부르기

- 내가 만든 쉼표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하며 노래 부르기

https://www.youtube.com/watch?v=jPpDaTPAr4U

4교시 국어

학습문제: 독서 감상문으로 우리 반 꾸미기 1 (234~235)

1. 234쪽을 볼까요? 도현이네 반에서 독서 감상문으로 교실 꾸미기를 했네요. 친구들이 쓴 독서 감상문을 살펴봅시다.

- 234, 독서 감상문 읽어보기

2. 독서 감상문에 어떤 내용을 썼나요?

- 책 제목과 글쓴이를 쓴 다음, 책의 내용을 썼어요.

-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이나 느낌을 썼어요.

- 책을 읽고 새롭게 알게 된 점을 썼어요.

3. 독서 감상문을 쓰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 읽은 책의 내용을 더욱 잘 기억할 수 있어요.

- 읽은 내용을 정리하는 능력이 길러질 수 있어요.

- 독서 감상문을 써서 친구들과 이야기하면 정말 재밌어요.

- 친구들과 더 많이 이야기 할 수 있고, 이야기가 재미있다면 나도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이 들어요.

4. 우리 반도 독서 감상문으로 교실 꾸미기를 해 봅시다.

- 여러분은 책을 많이 읽었을 거예요. 기억에 남는 책의 체목을 2352(1)번에 써 봅시다.

- 읽은 책 중에서 독서 감상문을 쓰고 싶은 책을 정해 보세요.

5. 독서 감상문에 쓸 내용을 생각해 보세요. 여러분의 생각을 2352(2)번 말 주머니에 써 보세요.

- 이 책을 왜, 어떻게 읽게 되었는지 이유를 써도 좋겠지요?

- 책의 내용이 들어가야 되겠지요?

- 기억에 남는 부분과 그 까닭을 써도 되고요.

-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이나 느낌을 쓰면 좋겠어요.

6. 독서 감상문으로 교실을 어떻게 꾸미면 좋을지 생각해 봅시다. 어떤 방법으로 꾸밀까요?

- 나뭇잎 모양으로 책 나무 환경판 만들어 꾸미기

- 독서 감상문을 써 복도에 전시하기

* 점심을 먹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5교시 과학

과학 96~97, 실험관찰 51

학습문제 : 어떻게 하면 작은 소리나 큰 소리를 낼 수 있을까요?

1.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볼 때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았던

경험이 있나요?

보통 스피커의 소리가 작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소리가 잘 들릴까요?

, 스피커의 소리를 크게 해야 합니다.

오늘은 작은북으로 소리의 크고 작음에 대해 알아봅시다.

과학교과서 96쪽을 먼저 읽어보세요 (2)

2. 이제 실험관찰 51쪽을 펴고 영상을 보며 실험을 보고,

실험관찰 51쪽의 내용을 하나씩 정리해봅시다.

글을 적을 때 영상이 너무 빠르게 지나간다면, 잠깐 영상을

멈추고 써보세요.

작은북으로 소리의 크고 작음 알아보기?

3. 영상을 보며 실험관찰을 잘 정리해보았나요?

이제 과학 97쪽을 보세요.

97쪽의 글을 소리내어 읽어봅시다.

지난 시간에 소리의 떨림에 대해서 배웠어요. 기억나지요?

이처럼 물체가 떨리는 크기에 따라 소리의 크기는 달라지며,

소리의 크고 작은 정도를 소리의 세기라고 합니다.‘

이 부분에 예쁜색 볼펜이나 형광펜으로 밑줄 쳐볼까요?

물체가 크게 떨리면 큰 소리가 나고,

물체가 작게 떨리면 작은 소리가 납니다.

다음 시간에는 소리의 높고 낮음에 대해 배우겠습니다.

6교시 사회

학습문제: 단원 학습 내용 정리 및 사고력 학습 1 (132~133)

1. 사회 132쪽을 살펴보세요.

2. 사회 132쪽의 4번 문제는 코로나19로 면담 활동을 하지 않고 각자 개인의 생각을 토대로 적어보세요.

3. 사회 132쪽의 5피곳 가족 구성원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는 것이 좋을지 정리해봅시다.”를 작성해보세요.

4. 사회 133쪽을 살펴보세요.

5. 우리 가족의 구성원은 각각 어떠한 역할을 하고있는지 1번 문제에 적어보세요.

6. 사회 133쪽의 2, 역할 변화가 필요한 가족 구성원이 누구인지 생각해보고 그 사람에게 편지를 써 보세요.

7. 작성한 편지는 직접 그 사람에게 보여주세요.

(클릭) (모범)답안 또는 예시 확인 (130~133)

오늘의 수업을 마칩니다. 책상 위를 정리하고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이전글 12월 10일 (목) 수업
다음글 12월 4일 (금)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