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3반

'목표는 같지만 내용은 다르게' 개성을 존중하며 함께 걸어가는 우리 3학년 3반입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우리들
  • 선생님 : 오승교
  • 학생수 : 남 13명 / 여 12명

10월 14일 (수) 수업

이름 오승교 등록일 20.10.14 조회수 178

1교시 수학

학습문제: (몇 십 몇)÷() 구하기 1 (교과서 38-39)

1. 음악 시간에 모둠 만들기

- 한 모둠이 몇 명씩 될지 어림해 보세요.

36명을 약 40명으로 어림하고, 3개 모둠으로 나누어야 하니까 한 모둠에 13명 정도 될 것 같아요.

- 어떻게 구하면 되는지 식으로 나타내어 보세요. (36÷3)

2. 수모형으로 알아보기

- (36÷3)을 수모형으로 계산하려고 해요. 수모형 몇 개를 놓아야 할까요? (십 모형 3, 일 모형 6개를 놓아야 해요.)

- 십 모형 3개와 일 모형 6개를 세 묶음으로 나누면 한 묶음에 각각 몇 개씩 있나요?(십 모형 1와 일 모형 2개씩 있어요.)

3. 36÷3의 계산 원리 알아보기

- 십 모형 3개를 3묶음으로 똑같이 나누면 한 묶음에 십 모형이 몇 개씩 있나요?

- 십 모형이 1개씩 있다면 몇 명이 있는 것을 의미하나요? (십 모형 1개가 일 모형 10)

- 일 모형 6개를 3묶음으로 똑같이 나누면 한 묶음에 일 모형이 몇 개씩 있나요?

- 수모형은 한 묶음에 몇 개씩 있나요?

- 한 묶음의 수모형은, 한 모둠의 학생이 12명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계산하기
- 십의 자리 수 3에는 31번 들어가므로 몫의 십의 자리에 1을 써야 합니다.

- 3 곱하기 26이므로 몫의 일의 자리에 2를 써야 합니다.

- 6 빼기 60이므로 십의 자리에 아무 것도 쓰지 않고, 일의 자리에는 0을 씁니다.

12

나누는 수

3

36

나누어지는 수

나눗셈을 세로로 어떻게 쓸까요? (미션: 내가 선생님이 되어 나눗셈을 세로로 쓰고 계산하는 방법을 친구들에게 설명하는 동영상을 촬영해 보세요. - 촬영한 동영상은 선생님께 전송해 주세요. 등교수업일에 친구들과 함께 설명 영상을 보도록 할게요. - 칭찬도장10)

4. 주사위 네 번째 문제와 다섯 번째 문제 해결하기

5. 수학익힘책 28-29쪽 하기

6. 오늘 배운 내용 정리하기: 나머지가 없는 (몇 십 몇)÷()

- https://www.youtube.com/watch?v=HGc9LNSqgLU

2교시 체육

학습문제: 건강을 위한 줄넘기 운동을 해봅시다.

주의사항: 1) 줄넘기를 하기 전, 자신의 건강을 먼저 확인합니다.

2) 안전한 곳에서 줄넘기를 합시다. 자동차가 없고 그늘진 곳이

좋으며, 주변 사람이 줄에 다치지 않도록 둘러 본 뒤 해 봅시다.

3) 호흡이 찰 수 있으니 중간중간 쉬어가며 해 봅시다.

4) 너무 어두운 곳이나 구석 진 곳은 위험하니 밝은 시간에 실시해 봅시다.

1. 체육수업 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준비운동 복습하기(국민체조)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a72NCO0OFXA

2. 줄넘기 교육영상을 보고, 줄넘기의 효과를 알아봅시다.

기본 자세와, 알맞은 줄의 길이를 확인한 후에 다양한 줄넘기를 해 봅시다.

(두 발 모아, 두 발 번갈아, 두 발 좌우 벌려 뛰기 세 가지에 도전해 봅시다.

어려운 친구들은 한 손으로 줄 돌리며 뛰기를 통해 리듬을 익혀 봅시다.)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n7zGbfoUm14

3. 다양한 줄넘기 중 두 발 모아 뛰기 자신의 최고기록을 세워 봅시다. 틈틈이

줄넘기를 하면 자신의 건강에 큰 도움이 되니, 어려워도 꾸준히 해 봅시다.

3교시 음악

학습문제: 소리의 어울림 생각하며 노래와 함께 리코더 연주하기

(교과서 62)

1. 노래에 맞춰 리코더 가락 연주하기

< 오늘의 수업 안내 클릭하세요. >

- 계이름 듣고, 책에 계이름 적어 놓기

- 계명창으로 3번 따라 부르기

https://www.youtube.com/watch?v=EkUsCfZRZ20

- 리코더로 음계 연습하기

- 두 마디씩 가락을 듣고 따라 연주하기: 혼자 5번 연습하기

- 리코더 아랫부분 듣고 따라 연주하기: 혼자 5번 연습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KnybBg2m4zs

리코더 연주의 바른 자세와 주법으로 연주하기

- 리코더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뒷부분을 받치고, 왼손으로 리코더 윗관을 잡는다.

- 허리를 펴고 몸의 중심선에서 악기가 45도 정도가 되게 들어 올린다.

- “두두두(또는 투투투)” 주법으로 텅잉하며 연주한다.

- 음정을 고르게 내기 위해 고른 호흡으로 연주한다.

2. 반주에 맞추어 리코더 연주하기

< 반주 음악 https://www.youtube.com/watch?v=ukZQcTMzHwE >

- 리코더를 연주하는 소리를 휴대전화, 녹음기 등을 이용하여 녹음한 다음, 내 연주 소리 들어보기

- 소리의 어울림에 대해 생각해 보고, 어떻게 하면 더 아름다운 소리가 날지, 곡의 분위기가 부드러워 질지 등에 대해 내 생각을 한 가지 적어봅시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댓글 등록해 주세요.(확인번호는 3131입니다. 칭찬도장 3)

소리의 어울림 이야기하기 (클릭하세요.)

4교시 국어

학습문제: 알고 싶은 내용이 담긴 글 읽고 간추려 발표하기 2 (92~95)

1. 922번을 보세요. 각 문단의 중심문장을 정리해 (1)에 써 보세요.

- 아래의 답은 여러분이 다 하고난 후에 봅니다.

문단

중심문장

2

옛날에는 신분에 따라 옷차림이 달랐지만, 오늘날에는 직업이나 유행에 때라 다른 경우가 많다.

3

옛날에는 사람들이 성별에 따라 다른 옷을 입었지만, 오늘날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옷을 입는다.

4

옛날에는 자연에서 얻은 실로 짠 옷감으로 옷을 만들었지만, 오늘날에는 합성 섬유로 옷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2. 93(2)를 보세요.

- 글쓴이는 왜 제목을 옷차림이 바뀌었어요라고 했을까요?

- 제목에서 옛날과 오늘날 사람들의 옷차림에 차이가 많다는 것을 말하려고 하는 글쓴이의 생각을 알 수 있어요.

3. 글에 있는 그림을 보고 알 수 있는 글쓴이의 생각을 93(3)번에 써 봅시다.

- 90쪽의 그림: 옛날에는 한복을 입었는데, 오늘날에는 편한 옷을 입는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 91쪽 그림: 옛날에는 신분에 따라 또 남녀에 따라 옷차림이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4. 이 글의 중심문장을 한 문장으로 써 보세요.

-

5. 933. ‘옷차림이 바뀌었어요에는 많다라는 낱말이 여러 번 나옵니다. 여기서 쓰인 많다와 뜻이 비슷한 말을 찾아 표 해 보세요.

- ‘많다와 뜻이 비슷한 말: 풍족하다, 무진장하다, 어마어마하다

6. 944. 더 알고 싶은 내용을 (1)에 써 보세요.

- () 알록달록 예쁜 색깔의 한복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알고 싶어요 (옷감 염색 방법).

- 한복을 더욱 화려하게 하는 장신구에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알고 싶어요 등.

7. 더 알고 싶은 내용을 조사해서 (2)에 써 보세요.

8. 95쪽 되돌아보기. 글을 읽고 중심 생각을 간추리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에 색칠해 보세요.

- 제목 살펴보기, 사진이나 그림 살펴보기, 각 문단의 중심문장 찾기가 있겠지요?

* 점심을 먹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5교시 과학

학습문제 : 우리 생활에서 동물의 특징을 어떻게 활용할까요?

과학 36~37, 실험관찰 19

1. 일상 생활에서 동물의 특징을 활용한 것을 본 적이 있나요?

영상을 보면서 우리 주변에서 활용되고 있는 동물의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 생활 속에 활용된 동물의 특징?

2. 신기하지요?

이번에는 우리 생활에서 동물의 특징을 활용한 예를 조사해봅시다.

교과서 36쪽을 보세요. 우리 생활에서 동물의 특징을 사용한 예가 나와있습니다.

- 문어 다리의 빨판을 이용한 칫솔걸이가 있네요.

아마 집의 화장실 거울에 하나씩 다 붙어있을 거예요~

- 또 두 번째는 오리발의 특징을 이용한 물갈퀴가 있네요.

그냥 수영할 때보다 이 물갈퀴를 사용하면 훨씬 더 멀리 나갈 수 있답니다.

- 수리 발의 특징을 이용한 집게차도 있어요. 집게차에 있는 집게는 수리 발가락과 비슷하게 생겨서 물건을 잘 놓치지 않아요.

이어서 37쪽을 보세요.

동물의 특징을 활용해 만든 로봇도 있네요.

바다거북은 다리가 위, 아래, 옆으로 움직여서 물 속에서 헤엄을 칠 수가 있어요.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서 물 속을 탐사하는 로봇을 만들었어요.

또 뱀은 좁은 공간을 기어서 이동할 수 있어요.

이 특징을 활용하여 건물이 무너지거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좁은 공간을 살피고 이동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었어요.

이제 실험관찰 19쪽을 펴보세요.

1번의 동물의 특징을 활용한 예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영상을 보면서 내가 쓰고 싶은 예를 2가지 찾아서 써보세요.

우리 생활 속 동물의 특징을 이용한 예

3. 실험관찰 19쪽의 [더 생각해 볼까요?]를 보세요.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동물의 특징을 활용해 내가 만들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봅시다.

생체 모방 기술?

다음 시간에는 동물의 특징을 활용한 로봇을 설계해봅시다.

6교시 사회

학습문제: 농사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 알아보기(60~62)

1. 사회 60~62쪽을 살펴보세요.

2. 농사를 짓기 전에는 어떻게 먹을거리를 구했을까요?

- (ㄷㅁ)을 사냥하거나 (ㅇㅁ)를 따 먹었다.

3. 콩을 심은 곳에서 콩이 나는 것을 발견한 사람들은 무엇을 했을까요?

- (ㄴㅅ)를 지어 먹을거리를 얻었다.

4. 농사를 지을 때는 어떤 도구가 필요할까요?

- ()을 가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 곡식을 (ㅅㅎ)하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5. 어떤 재료로 농사 도구를 만들 수 있을까요?

- , (ㄴㅁ)와 같은 자연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 철과 같은 (ㄱㅅ)으로 만들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hvgt1dcGdY&feature=emb_logo

6. 사회 60~62쪽을 보고, 땅을 갈 때 사용하는 농사 도구가 발달해온 과정을 살펴보세요.

7. 땅을 가는 도구는 어떤 과정으로 발달했나요?

[()괭이]

- 나무 막대기 끝에 뾰족한 ()을 묶어 도구를 만들었다.

[()로 만든 괭이]

- 단단한 ()을 이용해 도구를 만들었다.

[쟁기]

- ()를 이용한 농사 도구를 만들었다.

[트랙터]

- 넓은 면적의 땅을 쉽게 가는 (ㄴㄱㄱ)를 만들었다.

7. 사회 60~62쪽을 보고, 곡식을 수확할 때 사용하는 농사 도구가 발달해온 과정을 살펴보세요.

8. 곡식을 수확하는 도구는 어떤 과정으로 발달했나요?

[(ㅂㄷㄷㅋ)]

- 돌을 갈아 곡식을 자르는 도구를 만들었다.

[()로 만든 낫]

- 날카로운 ()로 곡식을 베는 도구를 만들었다.

[(ㅌㄱㄱ)]

- 곡식의 낟알을 쉽게 분리하는 도구를 만들었다.

[(ㅋㅂㅇ) - 수확기]

- 곡식을 베고 분리하는 농기계를 만들었다.

9. 다음 노래를 따라 불러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3OrwT6kZXqU&feature=emb_logo

10. 농사도구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생각해봅시다.

11. 농사도구는 어떻게 변화했나요?

- 농사 도구를 만드는 재료가 ()에서 ()로 바뀌었다.

- ()를 이용한 농사 도구를 만들었다.

- 오늘날에는 다양한 (ㄴㄱㄱ)를 사용한다.

12. 농사 도구가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 한사람이 농사지을 수 있는 땅이 넓어졌고, 수확하는 곡식의 ()이 늘어났다.

- ()을 덜 들이고도 쉽고 편리하게 논이나 밭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 다양한 곡식과 (ㅊㅅ), 과일을 얻게 되었다.

정리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MI6EySNd_MI&feature=emb_logo

빈칸에 대한 답

7교시 국어 보충(어제 성교육 시간때문에 국어를 못해서 이번에 1시간 보충수업을 합니다.)

학습문제: 기억에 남는 일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96~101)

1. 97쪽 그림을 볼까요? 무엇을 하고 있는 그림인가요?

2. 96쪽의 글을 읽어 봅시다.

3. 어떤 내용인가요?

4. 이 단원에서는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글로 표현하는 공부를 하겠습니다.

5. 98쪽을 봅시다. 어떤 사진들이 있나요?

6. 여러분이 경험한 일 중에서 기억에 남는 경험을 떠올려 봅시다.

- ) 바닷가에 간 경험, 축구를 한 경험, 맛있는 음식을 먹으러 간 경험 등

7. 어떤 경험이었는지 말해보세요.

8. 100쪽을 볼까요? 여러분이 경험한 일을 3번의 보기처럼 언제, 어디에서, 있었던 일, 생각이나 느낌 순으로 글로 정리해 봅시다.

- ) 기억에 남는 일: 학습발표회

- 언제: 10

- 어디에서: 강당

- 있었던 일: 수화와 부채춤 공연을 하였다.

- 생각이나 느낌: 부모님께 그동안 열심히 준비한 공연을 보여드릴 수 있어서 뿌듯하고 기뻤다.

9. 기억에 남는 일을 이렇게 정리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 1014번에 써볼까요?

- 경험한 일을 쉽게 떠올릴 수 있어요.

- 경험한 일을 자세히 떠올릴 수 있어요.

- 정리한 내용으로 쉽게 말하고 글로 쓸 수도 있어요.

- 자신이 한 일을 꼼꼼히 되돌아 볼 수 있어요.

오늘의 수업을 마칩니다. 책상 위를 정리하고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이전글 10월 15일 (목) 10시 화상수업 초대
다음글 10월 14일 (수) 10시 화상수업 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