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학중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샤를의 법칙
좋아요:0
작성자 송학중 등록일 14.05.18 조회수 102
첨부파일

민희양 반갑습니다.

샤를의 법칙에서 온도가 0도씨 이하로 내려갈 때 그래프가 왜 점선인지를

질문했네요.

 

수업시간에 잠시 설명을 했었는데요.

일단 아래 그래프를 봅시다.

 

 

 

위 그래프가 바로 샤를의 법칙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인데요.

그래프에서 보면 0도씨 이하 몇도 부터는 그래프 선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일단 민희양.

우리 수업시간에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 배웠죠?

보일과 샤를의 법칙은 모두 기체의 부피에 대한 법칙입니다.

 

보일은 압력과 부피를,  샤를은 온도와 부피에 관한 법칙이죠.

 

모두 기체의 부피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내고 있는데요.

고체나 액체의 경우는 해당되지 않아요.

왜냐하면 고체나 액체는 부피가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보일의 법칙이나, 샤를의 법칙은

기체의 경우에만 쓸 수 있지 고체나, 액체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다시 위의 그래프로 돌아가서

그래프에서 0도씨 이하에는 그래프가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실제 기체를 가지고 0도씨 이하로 온도를 낮추다 보면

어느 정도까지는 샤를의 법칙에 따라가지만 어느 온도보다 더 낮아지면

기체가 액체로 상태변화해 버립니다.

액화되어 버리는거죠. 보통 응결된다고 표현을 하는데

 

낮은 온도에서는 기체가 액체로 응결되어 버리니까

더이상 기체가 아니게 되고

기체가 아닌 액체이므로 더이상 부피가 변하지 않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그 때 부터는 샤를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거죠.

 

그래서 점선으로 표시하는 것이고요.

그 점선은 기체라 가정을 하고 이론적으로 선을 이어놓은 것입니다.

그 이론적인 선이 x축과 만나서 만든 점이 -273도씨가 되는 겁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이전글 질문이여~(주민재) (1)
다음글 비밀글 질문 (1)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