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0. 9월 보건 소식
작성자 하정민 등록일 20.09.01 조회수 426
첨부파일

  

2020 - 116

9월 보건소식지

2020. 09. 01.()

대소초등학교

발행인

교장 이 상 국

담당자

교사 하 정 민

http://school.cbe.go.kr/daeso-e

꿈심(S·H·I·M) 키우는 다올찬 대소 교육

연락처

881-7009

 

<마스크 착용에 따른 코로나19 전파>

부정확한 마스크 착용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코와 입 전체를 반드시 가려주세요.

아래 마스크 착용에 따른 코로나19 감염률을 확인해주세요.

20200901_162022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행동수칙>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기침,인후통 등) 등 몸이 아프면 외출, 출근, 등교하지 않기

의료기관 방문, 생필품 구매, 출퇴근 외에 불요불급한 외출, 모임, 외식, 행사, 여행 등은 연기하거나 취소하기

  ⚬식사: 음식점, 카페에서 식사하기보다는 포장, 배달

  ⚬운동: 체육시설에 가기보다는 집에서 홈트레이닝

  ⚬모임: 직접 만나기보다는 각자 집에서 비대면 모임(PC, 폰 활용)

  ⚬쇼핑: 매장에 방문하는 것보다는 온라인

외출 시,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수칙을 준수,

환기 안 되고 사람 많은 밀폐,밀집,밀접(3)된 곳 가지 않기

 

<코로나19 관련 다음 상황이 발생했다면>

다음에 해당되는 경우 학교 또는 담임선생님께 꼭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보건당국으로부터 밀접접촉 등으로 코로나19 검사 대상자가 되거나 자가격리 통지를 받은 경우

 ☞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

 ☞ 가족 중 자가격리 대상자가 발생한 경우

 ☞ 해외여행, 입국으로 자가격리 대상자로 통지받은 경우

 ☞ 코로나19 의심증상이 나타나서 진단검사를 받은 경우

 

<가을철 주의해야 할 감염병>

종류

쯔쯔가무시증

유행성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숙주

야생동물

들쥐, 집쥐

들쥐, 집쥐, 족제비, 여우

경로

들쥐에 기생하는 털 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 생긴 상처를 통해 전염

들쥐 소변 등에 있는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호흡기로 전염

감염된 동물의 소변으로 배출된 균이 상처를 통해 전염

증상

두통, 발진, 결막충혈

고열, 두통, 복통

고열, 두통, 오한, 눈의 충혈, 객혈, 근육통, 복통

시기

9~11

10~12

9~11

예방법

1. 산과 들에서는 긴 옷을 입는다.

2. 위에는 돗자리를 깔고 앉으며, 위에 옷을 말 리지 않는다.

3. 야외에서 집으로 돌아오면 옷을 털고 목욕을 한.

4. 집 주위에 들쥐, 집쥐의 서식지를 없앤다.

5. 야외활동 후 갑작스런 고열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병 원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다.

 

  <또래 간 성폭력 예방>       

장난처럼 여겨지는 행동들, 누군가는 당혹감과 성적 굴욕감을 느끼는 폭력행위입니다.

집단 가해나 특히 또래 간 여럿이 함께 폭력을 저지를 땐 자신의 행동이 범죄라는 것을 인식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피해자는 자존감 저하, 수치심 경험하고 가해자는 도덕적 불감, 죄의식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누군가에게 상처가 되는 순간 말 그대로 장난이 아닌폭력입니다.

                또래 간 성폭력의 유형

 image01

<흡연과 코로나19>

   

 흡연을 하면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흡연은 코로나19의 감염 가능성과 환자의 중증도·사망 위험을 높인다고 전했다.
흡연을 하면 담배와 손가락에 입이 닿게 되므로 바이러스가 흡연자의 입과 호흡기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지며, 흡연으로 흡입하는 독성물질은 심혈관, , 면역 기능을 손상시켜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흡연은 심혈관 질환, , 호흡기 질환, 당뇨병과 같은 질병을 야기하고 이러한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은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 병세가 더욱 악화되고 사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이 내용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유럽 생화학학회지 등에 실렸다.

 

<감염병으로 인한 스트레스 줄이기> 

   

1) 흔하게 찾아오는 스트레스 신호

에너지와 활동이 떨어지거나 변합니다.

지나치게 걱정을 합니다.

화가 폭발하거나 자주 말싸움을 합니다.

대부분 시간을 혼자 있고 싶어 합니다.

잠이 오지 않거나 휴식을 갖는 것이 어렵습니다.

모든 일에 대해 다른 사람을 탓하게 됩니다.

자주 울음이 터집니다.

대화하기 어렵거나 집중을 못합니다.

2)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일을 할 때 시간을 잘 배분합니다. 감염성 질환에 대 한 뉴스와 소식에 얼마나 시간을 쓸지 정합니다. 소식 과 걱정에서 벗어나서 여러분이 조절하고 할 수 있는 일 들을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 니다.

객관적인 사실을 얻습니다. 정확한 건강 정보를 얻 을 수 있는 교사나 의료인에게 건강을 지킬 수 있 는 방법과 대처법을 배웁니다.

건강한 생활을 합니다. 건강한 음식을 먹고 규칙적 인 운동을 합니다. 충분한 잠을 자고 휴식을 취합니 다.

긴장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미 알고 있는 복식호흡, 스트레칭, 명상 등을 규칙적으로 하거나 손과 얼굴을 씻어 기분전환 하거나 재미있는 취미 활동을 하면서 몸과 마음의 긴장을 낮춥니다.

 

여러분의 감정과 생각을 친구나 가족, 그리고 믿 을만한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나누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감정이 어떠한지 이야기를 하고, 객관적인 건강 정보도 같이 이야기해보세요. 그리고 사건과 관련 없는 즐거운 대화를 하면서 여러분의 인생에 서 중요하고 소중한 많은 것들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세요.

 

   

     

이전글 인플루엔자 독감 무료 예방접종 안내
다음글 2020. 학교폭력 실태조사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