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덕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환경 호르몬을 아시나요?
작성자 박은숙 등록일 10.04.20 조회수 232

환경호르몬 (내분비 교란물질)

인위적으로 만들어져 환경중에 배출, 음식이나 호흡을 통해 우리 몸 안으로 들어와 마치 진짜 호르몬처럼 작용하며 신체기능을 교란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생태계 먹이사슬의 상위로 올라갈수록 독성이 최고 몇 만배 이상으로 농축된다.

반드시 피해야 할 환경호르몬

*다이옥신 펄프, 종이를 표백하거나 살충제를 만들때, PVC염화비닐께 물질을 만들거나 태울 때 발생, 청산가리보다 1,000배나 강한 독성을 가지며 체지방 속에 저장됐다가 이후 지방이 분해되면서 심한 피부발진, 미각, 후각상실, 우울증, 걷잡을 수 없는 분노의 폭발, 유전자변화, 간손상, 면역과 신경계통 기능저하 야기 함

*DES(디에틸스틸베스트롤) 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호르몬 처럼 작용해 임신중 DES에 노출되면 수컷 새끼쥐가 여성화, 현재 의료용으로 사용 금지되고 있지만 가축의 성장촉진제로 계속 사용중 (특히 미국)

*프탈레이트류   어린이 장난감 등 플라스틱을 말랑말랑하게 하기 위해 사용, 생태계를 오염시키는 인공 화학물질 중 가장 많은 양 차지

*비스페놀A  에스트로겐과 매우 비슷한 구조, 미 조사결과 전체 통조림의 약 70%에서 비스페놀 A검출.   암세포를 분열시키고 성호르몬 교란함

환경호르몬에 의한 세계 곳곳의 이상 현상들

1940년 이후 50년동안 남성 전자수 45%, 정액 약 25% 감소 , 정소암 4배증가

1945년~1980년 사이 유방암 50% 증가

국내 청소년 중 30% , 미국 여성 8명중, 1명에 자궁내막증 발생

최근 10년 사이 국내 요도하열 발생비율 2배 증가 (남성의 여성화 가속)

흰돌고래, 수컷 악어에 성호르몬 이상 발견

최근 급증하고 있는 아동의 성조숙증 (월경등 2차 성징이 10세미난에서 나타남)

성조숙증 아동에게서 정상치의 최고 10배에 달아는 프탈레이트(환경호르몬)검출

**생활 곳곳의 환경호르몬 ***

세제, 농약, 식품첨가물, 플라스틱 식기 등 우리의 일상 생활은 어느새 수 많은 화학물질로 넘쳐나고 있습니다. 그 종류가 무려 1,800만개에 이르는데, 그 중 환경호르몬 작용이 의심되는 화학물질은 약 150종류입니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단지 67종류만을 환경호르몬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생활속 환경호르몬)

부엌용합성세제(합성계면활성제), 렙. 지퍼백(염화비닐), 세탁제(합성계면활성제),방취제(파라디타로르벤젠), 각종 세면, 목욕세제(합성게면활성제), 피임기구(노닐페놀), 화장품(BHA 프탈산에스테르), 진드기제거제(유기염소제), 살충스프레이(페르메트린), 애완용강아지 목걸이(페르메트린), 컵라면( 프탈산에스테르), 1회용 컵.도시락 (스틸렌) ,수입농산물(수확후 처리농약), 통조림켄 안쪽의 코팅(비스페놀A), 플라스틱젓가락과젖병( 비스페놀A) 등.

 

****환경호르몬의 위협에서 벗어나는 길 *****

 

 

- 제철에 나는 농산물, 유기농산을 먹는다.

- 지방 섭취를 줄인다. ----다이옥신이나 기타의 유해물질은 지방에 축적, 특히 유지방은 지방분이 높고 다이옥신이 머무르기 쉬움.

-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인다----가공식품에 들어가는 많은 식품첨가물 중 산화방지제와 보존제, 유화제, 일부 식용색소 등이 환경호르몬 물질로 의심.

- 전자레인지 사용을 줄인다. --- 플라스틱 제조과정에 들어간 프탈레이트 등은 온도가 높으면 더 많이 방출한다.

- 통조림식품은 될 수 있는 대로 먹지 않는다. ----켄 원료인 주석이 녹아나오지 않도록 안쪽 코팅처리, 코팅재료에서 비스페놀 A가 녹아나올 위험이 높다.

- 랩이나 알루미늄 호일의 사용을 자제한다. --- 염화비닐계 랩은 소각할 때 다이옥신발생, 제조과정에 안정제, 난연제 등 여러가지 첨가물 사용. 또 알루미늄 호일은 고온이나 지방과 닿을 시 산화알루미늄이라는 독성 물질발생.

- 녹색채소, 새우, 현미 등을 많이 먹는다 ---- 엽록소는 우리 몸을 청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새우, 현미등에는 수은을 비롯한 여러가지 중금속, 배출과 비타민 E 1,000배 이상의 황산화력을 가지 셀레늄을 밚이 함유하고 있다.

- 가급적 외식을 삼가한다 --- 오염된 식재료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이전글 2010년 학생 신체발달사항 측정
다음글 아직도 몸안에 화학물질을 쌓아 두십니까-식품첨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