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안보중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수업 여행
작성자 수안보중 등록일 19.09.05 조회수 15

image_377725371542090090971
 

 

 

1. 수업시작 오프닝 효과
- 래포형성, 긴장감 해소, 동기유발, 자존감 및 성취감 높이기, 호기심 유발, 학습 분위기 조성, 친밀감 형성, 긍정적 마인드 형성, 진단평가, 신뢰도 향상
     
2. 생동감 있는 수업 시작 방법
  가. 퀴즈, 게임 등 활용한 오프닝 사례
    1) TOP 10 만들기: 세계 경제순위 1~10위 등 모둠별, 보상(함성 박수 등)
    2) 진진가(하얀거지말) 활용 사례
     - 진진가를 이용한 자기소개하기, 진진가를 이용한 학습 내용 활용하기
     - 진짜3개, 거짓2개 내용등으로 구성
  나. 학습목표 스스로 세우기: 칠판에 기록하게함
  다. 기타 오프닝 사례
    - 모둠 구성하기, 모둠의 공통점 찾기, 교과서 목차로 마인드맵 만들기, 이름 기억하기, 학기초에 수학(00)과 친해지기

3.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오프닝 사례
  가. 복습의 중요성
   1)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 20분후에 48% 망각, 1일후에 70% 망각
   2) 5~6번 정보 복습해야 90% 이상을 기억함
   3) 모둠별로 켄트지에 전시간에 배운내용 기록하기(5분 미만)
나.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 기록하기
   1) 연상해서 기록하기
   2) 포스트잇이나 수첩에 배운 내용 기록하기
   3) 빈칸 맞추기
   4) 교사가 정리해서 주는 것은  효과가 미미함
    
4. 수업에서 산만한 분위기를 학습에 집중하게 할 수 있는 오프닝 사례
  명상, 다양한 침묵 신호(박수 2번 시작), 재미있는 동영상 및 이미지 보여주기, 이야기 들려주기
, 좋은 음악 감상, 자기암시하기

5. 수업에서 침체된 분위기 생동감 있게하기 사례
  인기있는 TV프로그램 활용, 다양한 박수 치기, 쥐잡기 게임, 아래로 꽝 게임, 땅! 따당 게임
특정담어 나오면 박수 치기, 청개구리(교사와 반대로 행동)

6. 밥파이크 C-P-R 법칙
Content(내용)-Participation(참여)-Review(복습)
. 집중력과 기억: 앞, 뒤를 잘 기억함, 1시간을 나누었을때 잘 기억함(15분 마다 수업 나누기, 5분 마다 학습자 참여 시키기), 집중의 한계 20분을 넘지 못함

7. 수업 마무리 사례
  시장에 가면, 10초 퍼즐, 자음 퍼즐 게임

8. 단원 마무리 사례
  자음 마무리, 마인드맵, 모둠 골든벨 게임, 빙고 게임

9. 복습 사례
  생각-짝-나누기 방법(짝과 모둠원끼리 기록한 것을 서로 나눔), 번개 토론(수업 마무리에 핵심부분이나 시험에 나올만한 한 문장 찾기,신속한 방법으로 수업 내용 확인할때), 공을 던지면서 복습하기(공 받은학생이 핵심 내용 발표), 암호를 사용한 퀴즈, 이구동성 게임, 뜨거운 감자, 스무고개 게임(두사람씩 짝을 지어 문제 출제 20번 돌려가며 출제자와 답변자로 나눔), 눈치 게임, 스팟 게임, 젠가 게임

10. 토론 수업
   가. 정의: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에 정보나 아이디어, 의견등을 나누기 위해 서로 이야기 하거나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탐구과정
  나. 토론식 교수과정: 개별 발제=> 논점 제시=>모둠 토론=>공동토론=>개별적 내면화

11. 수업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토론 기법
  브레인스토밍(질 좋은 아이디어 낼수 있는 자유토론방식), 벌집토론(어떤 주제를 제시하고 메모후 토론), 두 마음 토론(찬,반입장 토론)

12. 학습 내용에 이야기 넣기(스토리텔링)
  컴퓨터 재귀함수의 예: 호랑이와 떡장수 할머니 이야기 아이무셔워라...
내일 또...어제+엊그제 준 떡의 합한 갯수만큼 받치면 안잡아먹지.
즉 a=(n-1)+(n-2) 를 피보나치 수열이라합니다. 1 1 2 3 5 8 13....
자연속에서 피보나치 수열식물을 찾아보세용.  해바라기 ?  ㅎㅎ 컴에서 는 재귀함수라해요.

13. 교사가 갖추야 할 핵심 요소 3가지
  전문지식, 교수법, 소통과 관계

14. 밥 파이크(Bob Pike | Robert William Pike)
- 미국, 밥파이크 그룹 회장, 창의적 교수법
. 밥 파이크의 다섯가지 법칙
  1) 1법칙 : 어른은 몸집이 큰 어린아이이다.
  2) 2법칙 : 사람들은 자신의 정보와 의견에 대해서는 논쟁하지 않는다.
  3) 3법칙 : 학습은 재미와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4) 4법칙 : 행동이 바뀔때에만 학습이 이루어진 것이다.
  5) 5법칙 : 父有母有子不有(엄마나 아빠가 안다해도 아이도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15. 교육 코칭 3가지 철학
모든 사람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그 사람에게 필요한 해답은 모두 그 사람 내부에 있다.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파트너가 필요하다.

16. 효과적인 질문법
온전히 함께하여 좋은 래포 형성, 넓은 범주에서 좁은 범주로 질문, 미래 가능성을 열어가는 질문, 긍정적 질문, 강점과 호기심 질문, 답변과 질문사이의 침묵 활용
좋은 질문이라? 문제해결 중심 질문이 아니라 사람중심 질문을 해야한다.
발문법: 정답을 알고 있는 사람(교사)의 질문으로 사고를 확장시키지 못한다. 창의적 사고 불가

17. 까다로운 학생중 교사가 유의해야 할 사항들
화를 자제함, 논쟁을 피함, 분노의 원인은 내면에 있음
학교부적응 행동 원인의 1순위는 교우관계에 있다.

18. KellerARCS 모형과 학슴 동기 유발 기법
. 주의력(Attention) 신장 기법
교수자료 제시 기법 다양화, 구체적인 예 활용, 특이한 상황이나 문제사태의 제시, 익숙한 경험과 생소한 경험을 동시에 제공함, 경험요소들을 비유적 방법으로 제시함

. 적절성(Relevance)의 유지 기법
새로운 학습자를 친숙하게 만들기, 흥미와 관심사에 기초한 실제 경험 자료 활용, 학습 내용의 미래지향적 가치에 관해 알려주기, 수월성의 표준을 성취하는 기회 제공

. 자신감(Confidence)형성의 기법
명료한 학습 목표를 알려줌, 곤란도의 수준에 따라 학습과제를 계열화함, 개인적인 학습조절전략 또는 학습자 통제전략을 이용하게함

. 만족감(Satisfaction)부여의 기법
수행결과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 제공, 학습한 내용을 일반화 하여 적용함, 내제적 보상 제공

19. 학습한 후의 기억
미국안전협회커뮤니케이션(시카고, 1975) 자료

말하고 행동한것(90%) >말한것 (70%) >보고 들은것(50%) >본것(30%) >들은것(20%) >읽은것(10%)

" 들은 것은 잊고, 본 것은 기억하고, 이해한 것은 행한다"

20. 감동의 수업 요소
발표를 통한 칭찬과 인정, 학생들과 소통, 협력, 협동과 발표 수업, 놀이 수업

21. 과제분담학습(Jigsaw)모형 수업 절차 3단계
모집단 활동(home team), 전문가 활동(expert team), 모집단의 재소집(home team reconvene)

22. 잘 짜인 이야기에 대한 5가지 요소
열정(), 영웅, 악당, 깨달음의 순간, 변화

23. 인간의 핵심능력(사고력) 기르는 독서
聞一知十 => 貫珠爲寶 => 一筆揮之
* 聞一知十: 하나를 듣고 열을 아는 기술, 수집한 정보를 구성
* 貫珠爲寶: 꽬관, 구슬주, 할위, 보배보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담으로,
  아무리 좋은 재주, 학식, 보물을 가지고 있어도 그걸 적절하게 활용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뜻.
  어디선가 얻은 정보를 질서있게 정리(코스모스, 우주질서)하여 패턴을 찾아내는것
* 一筆揮之: 막힘없이 쓰고 말하는 기술

24. 독서를 해야하는 이유? 사람은 곧 그가 읽은 책이다.

25. 좋은 목소리 3요소: 호흡, 발성, 발음
머라이언의 법칙: 메시지 전달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내용이 아니라 목소리이다.

26. 스피치의 기본 원리
천천히 => 크게 => 또박또박 => 자연스럽게

27.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
독일의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는 16년간 연구결과, 인간은 들었던 내용은 10분 후부터 서서히 잊기 시작하며, 20분뒤 48%, 1시간 뒤에는 50%, 하루 뒤에는 70%, 한 달 뒤에는 80%의 들은 내용을 잊게 된다고 하였다. 복습의 중요성을 발견하였고, 10 후에 복습하면 하루를 기억하고, 다시 하루 후에 복습하면 1주일 동안, 1주일 후에 복습하며 1달 동안, 1 후에 복습하면 6개월 이상 기억할 수 있는 장기 기억 상태가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전글 논어(論語)에서 유래된 나이를 표현하는 단어
다음글 학생들이 원하는 교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