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촌중학교 로고이미지

7유동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초청강연
작성자 유동은 등록일 11.07.14 조회수 19

오늘 공주대학교 지리교수님(?)이신가.. 그분이 오셨다. 가장 기억에 남는 얘기가

2가지 인데, 하나는 독서에 관한 이야기다. 교수님이 다니시는 학교에 교수님의

딸이 집이 너무 멀어서 그 교수님이 퇴근하실때 같이 하교한다고 하는데, 집에

가면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분의 어머니가 주시는 책을 읽고 토론을

한다는 것이다. 그분의 어머니가 교과서를 읽고, 거기에서 나오는, 예를들어

"문익점"에 대한 내용이 나오면 그 책을 사서 준다고 한다. 그리고 그 책을 읽게

하고, 토론도 한다고 한다. 공부는 반에서 하위권에서 맴돌았다는데, 나중이 되니

빨리 읽히기도 하고, 이해력도 높아져서 상위권이 되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는 뭔가...' 라는 생각도 들었다. 솔직히 말해 예전이면 몰라도 지금은

판타지에 미친 폐인인것 같다. 고쳐지지도 않는데 나는 이러면 더 떨어지는 건

아닌가... 라는 생각도 들었다. 어쨌든 늘 들었지만 독서는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고, 두번째는 세종대왕님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느 광고가 있었다고 한다.

정확히는 기억이 나지 않는데 거의 이런내용이다.

[하늘이 노했다.   아니다.  세종대왕 일식을 예견하다.

노비에게 어찌 관직을...   아니다.   세종대왕 장영실에게 관직을 주어 과학발전

풍년과 흉년은 하늘의 뜻이다.   아니다.   농사직설 편찬

한문이 있는데 어찌 다른 글자를...   아니다.   훈민정음 재정]

아니다라는 말이 발전을 만들었었다고 하셨던것 같다.

독일에 있는 어느 아이가 있는데 13살이다. 그런데 그 아이가 NASA가 틀린

소행성 충돌 확률을 고쳤는데 NASA에서도 그걸 인정했다고 한다.

그리고 최소영이라는 화가가 있는데 그 사람은 보통 안료가 아니라 청바지로

작품을 완성했다고 한다.

위의 사람들 모두 당연한 일을 아니라고 생각하여 발전했다고.. 그렇다고 하신것

같다. 맞다. 그런것같다. 그래도 지금은... 이 말을 듣고 대단한 사람들이라고는

생각하지만... 지금, 아직은 잘 모르겠다. 조금 더 생각해 봐야지...

이전글 전쟁기념관과 현충원에 다녀와서…….
다음글 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