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윤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전통사랑마당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대취타 악기 소개(관악기)
작성자 부윤초 등록일 15.04.10 조회수 31

- 나각

나각은 관악기의 하나로 "나" 또는 "소라"라고도 한다.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는 고려 의종 때 각 종 위장이나 노부의 수레 뒤에 따르던 취라군이 이 악기를 불었다는 <고려사>의 기록이다. 만드 는 법은 바다에서 사는 큰소라를 잡아 살을 꺼내고, 꽁무니 뾰족한 끝부분을 갈아 취구를 만들어 끼운다. 일정한 크기는 없으며 소라의 원형 그대로 쓰기도 하고, 천으로 거죽을 씌우기도 하며 속 에 붉은 칠을 하여 모양을 내어 치레하기도 한다. 이 악기는 낮은 외마디 소리이지만 웅장하고 우렁찬 지속음을 낸다.

연주법은 나발과 같이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로 김을 불어

넣어 입술의 진동으로 "뿌우 - "하고 소리내는데, 음높이는 소라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궁중연례와 군악에 사용되었고, 종묘제례악 중 <정대업>의 일무에도 사용되었다. 지금은 장고,북,징,태평소,나발,자바라 등과 함께 대취타에 편성되어 연주되고 있 는데, 특히 나 발과는 엇갈리며 번갈아 연주된다.

나각의 음정은 소라 껍질의 크기에 따라 모두 다르며, 연주 방법에 의하여 하나의 나각에서 음 정이 다른 두세 가지의 소리를 낼 수 있다.

x6.gif

- 나발

나발은 관악기의 하나로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왔는지 그 연대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태평소,북,장고,징,나각,자바라 등과 함께 대취타 연주에 쓰인 것으로 보아 그 당시 다른 악기와 함께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나팔로 읽지 않고 나발이라고 하며 쇠붙이로 긴 대롱 같이 만들되 115cm 정도의 길이에 취구쪽은 가늘고, 끝부분으로 가면서 차차 굵어지며 맨 끝은 나팔꽃모양으로 퍼지게 만들었다.

두 도막 또는 세 도막으로 구분 된 관을 불지 않을 때에는 아래로 밀어넣어 짧게 꽂아두기도 한다. 지공이 없어 단음의 배음에 해당되는 간단한 몇가지 소리가 나기는 하지만, 보통 낮은 음 하나만을 길게 뻗어낸다. 금속성의 우렁차고 호쾌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악기로서 취구에 댄 입술로 음의 강약과 고저를 조절한다. 군중에서 신호하는 데 쓰였으며, 대취타와 농악 등에도 사용되는데, 특히 대취타에서 나각과는 엇갈리며 번갈아 연주된다.

나발은 관의 길이에 따라 음정이 모두 다르다. 연주법에 따라서는 한 악기로 4~5개의 음정이 다른 음을 연주할 수 있는데, 악기마다 그 음높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악보에 표기해서 연주를 요구할 수 없으며 고정된 나발의 음을 밝힐 수가 없다.

x16.gif

- 태평소

태평소는 호적(胡笛), 새납, 날라리 라고 한다. 호적이란 호인(胡人) 즉 몽고인들의 관악기라는 뜻이고 새납은 본래 중앙 아시아 지방(Muslim)의 쑤르나(Zurna 혹은 Zorna)에서 쏘나로 또 새납으로 된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날라리라는 이름은 악기 소리를 흉내낸 말이다. 태평소의 혀는 아주 작아 넓이가 5밀리, 길이가 2.5센티 정도밖에 안 되지만, 몸체는 나무로 만든 관이 점점 넓어지고 끝에는 서양의 나팔같이 벌어진 쇠붙이가 붙어 그 지름이 10센티 정도이다. 총 길이는 35센티, 그렇기 때문에 혀는 작지만 거기서 낸 소리는 관대를 지날 때 증폭되어 무척 큰 소리가 난다. 먼 동네서 농악을 할 때도 다른 소리는 안 들려도 태평소 소리는 들린다. 손가락으로 막는 구멍이나 부는 법 등은 향피리와 거의 같으나 음정이 좀 다를 뿐이다. 태평소는 고려시대 말부터 연주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군대나 공식 행렬 및 종묘제례악의 정대업 연주, 그리고 불교의식과 민간의 풍물패에서도 연주되었다. 현재는 구군악(舊軍樂), 농악, 종묘제례악 등에서 연주된다. 구군악곡 중 대취타에 연주되는 가락이 중요무형문화재 제 46호로 지정되었고 첫 번째 보유자 최인서에게 가락을 배운 정재국으로 그 전통이 이어졌다.

이전글 대취타 악기 소개(타악기)
다음글 대취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