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초등학교 로고이미지

학부모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창의력을 기르는 방법(옮겨온 글)
작성자 비상초 등록일 09.04.18 조회수 401
 

※ 독창성 기르기


♣ 아이들의 억지를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발전시켜준다.

아이가 논리에 맞지 않는 억지를 부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때 아이의 말을 무시하거나 강압적, 논리적으로 설득시키려 하면  아이들은 스스로의 독창적인 생각을 접게 된다.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억지를 아이디어로 다듬을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할 것이다.

♣ 엉뚱한 생각이 창의성임을 이해한다.

논리적으로 질서 정연함을 추구하다 보면 획일화된 사고를 도출할 수 있다. 남과 달리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하는 것이 엉뚱할 수 있지만 독특한 이이디어의 출발이다.


※ 유창성 기르기


♣ 정해진 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통해 스스로 해답을 찾도록 한다.

외국이나 낯선 곳에 가는 것만이 새로운 경험은 아니다. 생활 속에서 주어진 친숙한 것들을 접할 때 다양한 방법과 시도로써 만나는 것이 경험이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아이는 유창성과 민감성을 기르게 된다.

♣ 단순히 교훈을 얻기 위한 독서보다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독서태도를 지도한다.

책은 온갖 아이디어의 보고이다. 단지 책의 줄거리와 교훈만을 중요시하다보면 책 속의 아이디어들을 놓칠 수가 있다. 책 속의 아이디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여러 가지 해결방법들을 제시할 수 있다.


※ 융통성 기르기


♣ 아이들에게 “해라” “마라” 식으로 명령하기보다는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

아이들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할 때에는 가차없이 ‘~하지말라 ’고 경고를 준다. 이 때 자칫하면 아이들은 그 일의 배경을 생각치 않고 무조건 말을 따름으로써 융통성을 위협받는다. “

♣ ~하는 게 어떻겠니?” 라고 아이들에게 사고를 환기시켜야 한다.

♣ 수업시간이나 쉬는 시간에 게임을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아이들은 어려울 때 두뇌회전이 활발하다. 게임 시간을 통해 긴장감을 줌으로써 아이들의 융통성과 독창성을 자극시킨다.


※ 정교성 기르기


♣ 첨예한 논리의 대립인 아이들의 싸움을 무작정 말리지 말고 스스로 결론을 내도록 한다.

아이들의 말싸움은 논리의 대립에서 기인한다. 그들은 감정에서 싸움을 시작하나 이성으로 하는 싸움으로 나아간다. 이 때 아이들은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다듬으며 정교성을 기르기 때문에 결정이 날 때까지 개입하지 않는다.

♣ 아이들의 취미생활을 적극 존중해주고 장려해야 한다.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는 대단한 열정을 보인다. 취미에 쏟는 그 열정은 취미생활을 좀 더 재미있게, 좀 더 수준높게 하려는 마음과 이어진다. 자연히 아이들의 취미생활은 처음보다 시간이 지날수록 정교해지고, 더 능숙해지게 된다.


※ 민감성 기르기


♣ 아이가 스스로 물어오도록 호기심을 자극하는 발문을 구사한다.

아이들은 주입식 교육에 익숙하다. 그래서 문제가 주어졌을 때에만 거기에 관한 생각을 해본다. 따라서 아이들의 민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학습소재와 발문을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 사소한 것에 의문을 가지고 질문해오면 칭찬해 준다.

‘책상’하면 네모난 모양에다 오른편에 서너개의 서랍을 가지고 있는 모습이 떠오른다. 이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주어진 것에 ‘의문’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기인한다. 주위의 사소한 일이나 당연시되는 일에 대해서도 의문과 호기심을 갖는 태도, 즉 민감성이 창의성의 기초임을 인식해야 한다.


※ 상상력 기르기


♣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그림그리기나 글짓기를 유도한다.

아이들은 엉뚱하고 다양한 생각을 한다. 아이들의 이런 것들을 생각으로만 그칠 것이 아니라 표현해보게 함으로써 상상력을 자극시킬 수 있다.

♣ 거짓말을 인성의 측면에서 나무라지만 말고, 창의성의 측면으로 이해해준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을 때 심하게 야단만 친다면 아이의 사고는 정직이라는 한 쪽으로만 굳어지게 된다. 최대한의 상상력으로 만들어낸 거짓말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허탈감에 빠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들이 거짓말을 할 때, 거짓말을 떠올리는 기술은 칭찬하고 거짓말을 하는 마음은 꾸짖어야 한다. 옮겨온 글 입니다. 참고하세요

이전글 1학년 학습능력 키우는 7가지 습관(옮겨온 글,조선일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