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중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RE:♥이월중학교2학년 과학질문♥(신승민)
작성자 이창규 등록일 14.07.18 조회수 13

질문No1.비가오면 왜 강의 물의 수면이 높아지나요?

질량과 부피는 비례하므로 빗물이 많이 모아졌기 때문입니다.

질문No2.고래도 아가미가 있나요?

고래는 아가미가 없고 허파호흡을 합니다.

질문No.사람은 누가 만들었나요?

창조는 아니고 진화가 된듯 합니다.

질문No.번개는 한번치는데 몇볼트가나오나요?

 

주로 적란운(積亂雲뇌운)과 함께 나타나지만 눈보라나 먼지보라가 불 때는 난층운(亂層雲)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때로는 화산폭발시 방출되는 먼지나 가스에서 발생되기도 한다. 뇌우 동안 번개의 섬광은 구름 내부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구름과 구름 사이, 구름과 대기 사이, 혹은 구름과 지면 사이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번개는 쌍극자 구조를 갖고 있는 구름 내부에서 전하가 분리되어 만들어진 순전하 영역에서 발생한다. 뇌운 내부의 전하분포를 살펴보면, 구름의 상단부에는 많은 양의 양전하가 있고, 하단부에는 많은 양의 음전하가 있으며, 최하단에는 적은 양의 양전하가 분포되어 있는 양상을 띠고 있다. 전하는 물방울이나 얼음 조각에 분포되어 있다. 만약 주변공기가 순전하를 띠고 있다면 구름으로부터 대기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

구름과 지면 사이의 번개 섬광은 구름 최하단에 있는 적은 양의 순양전하가 중성화되면서 처음 나오기 시작한다. 이 번개의 섬광은 적어도 2개의 낙뢰를 포함한다. 먼저 음전하를 띤 선구낙뢰가 구름에서 지면으로 떨어진다. 이 낙뢰는 아주 밝지는 않으며 단계적으로 떨어지는 특징을 보이고, 떨어지면서 낙뢰의 본줄기로부터 많은 가지가 뻗어나온다. 때때로 교회의 뾰족한 탑이나 건물, 혹은 키가 큰 나무와 같은 높은 구조물을 통해 지면에서 구름으로 전달된다. 이 낙뢰가 지면 근처로 다가갈 때 부딪힐 지점에서는 집중적으로 반대 전하가 유도되고, 지면에서부터 구름으로 양전하를 띤 귀환낙뢰가 이 경로를 통해서 생긴다. 일반적으로 두 낙뢰는 지상 약 50m 지점에서 만난다. 접합점에서 구름은 지면과 합선되고 높은 전류가 흐르며 상당히 밝은 귀환낙뢰가 번개 경로를 통해 구름으로 전달된다. 전형적인 번개의 경우 구름과 지면 사이의 전위차는 수억V이며 최고 2A(암페어)의 전류값을 갖는다. 번개가 떨어지는 경로의 온도는 약 3K이다. 이런 현상의 전체적인 과정은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 즉 선구낙뢰가 접합점이나 지면에 도달하는 데는 약 0.02초가 소요되며, 귀환낙뢰가 구름에 도달하는 데는 약 7×105 초가 소요된다.

 

질문No.달은 차가운가요?

밤과 낮의 온도차가 많이납니다.

200도정도 차이가 납니다.

 질문No.또다른지구가있다면 우리와똑같은 생물체와사람이있나요?

그것은 아무도 모릅니다.

안다고 한다해도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 너무 거리가 멀어서 오갈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전글 이월중학교1-1반이상훈과학질문
다음글 이월중학교2학년1반(박가연)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