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덕산중학교 1학년 1반 이민지 |
|||||
---|---|---|---|---|---|
작성자 | 어윤재 | 등록일 | 13.02.06 | 조회수 | 8 |
복잡한 계산을 빨리 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내는 것은 인류가 가지고 있던 아주 오래된 꿈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주판, 손가락 셈, 아리비아 숫자, 연산법칙 등도 계산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세기에 들어서 문명과 과학의 발전으로 계산기를 만들어내었던 파스칼(B.Pascal)은 그런 꿈을 최초로 실현시킨 사람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의 컴퓨터란 이러한 꿈의 단어인 'compute' 즉 '계산하다'에서 파생된 것입니다. 즉, 컴퓨터는 빠르고,정확한 수치계산과 연산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컴퓨터를 정의할때 항상 언급되는 말을 살펴보면 ⓐ전자식이다. ⓑ정보처리를 목적으로 한다. ⓒ2진법 원리에 의한 디지탈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에 의해 움직인다. ⓔ기억을 할 수 있는 매체를 가지고 있다 등인데 이 단어들이 컴퓨터의 특성을 잘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세상에서 컴퓨터와 가장 유사한 것은 바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컴퓨터나 사람은 둘다 종합적 정보처리 시스템으로 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면, 먼저 사람은 눈, 귀, 피부 등의 감각기관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정보를 받아 들이며, 손, 발, 입 등의 기관을 통해서 정보를 외부에 전달합니다. 컴퓨터는 이와 비슷하게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받아들이고, 모니터, 프린터, 모뎀 등의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의 신체중에서 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해서 우리가 뇌의 능력 정도에 따라서 IQ, EQ, CQ 등의 구체적 지수로 나타내어, 대략적으로 머리가 좋다, 신동이다, 멍청하다. 모자란다 등의 말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컴퓨터에서 뇌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CPU, 즉 중앙처리장치인데 286, 386, 486, 펜티엄, 펜티엄 II 라고 지칭하는 것이 바로 컴퓨터의 처리속도에 따라 그 능력을 구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지 컴퓨터가 할 수 없는 일이 있다면 그것은 생식과 물리적 이동 그리고 창의적 사고의 문제가 있는데 이것은 현재까지는 인간 고유의 권한이지만 계속되는 연구개발을 통해 더욱 인간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간단하게 컴퓨터의 발전 역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822년에 찰스 바베지(Charls Babbage)는 직조기기의 천공기술을 이용한 수치해석의 이론을 만들었는데, 그 이론위서에 1940년대에 노버트 와너(Nobert Waner)가 소형 계산기의 구상을 만들었습니다. 이 구상에서 IBM과 하버드 대학이 공동으로 만든 것이 바로 'MARK I'입니다. 그 후 2차 세계 대전이 지속되는 동안 탄도계산 등의 군사적 목적으로 컴퓨터의 연구가 진행되어, 펜실베니아대학의 엑카드와 모그리 박사 연구진은 진공관을 1만 8천여개, 콘덴서 1만개, 릴레이 7천 5백개를 사용하여 세계 최초의 컴퓨터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에니악(ENIAC)은 무게가 30톤이나 되며, 104KW전력을 사용하였으나, 30분이상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컴퓨터의 제 2세대는 트랜지스터의 시대로 접어 들었습니다. 트랜지스터는 음극선을 이용하던 진공관에 비해 속도의 개선에 있어서 매우 탁월하였으며, 1958년에 발표된 UNIVAC이 최초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제 3세대 - IBM 360 시리즈( 1965년부터 1975년까지) IBM은 1965년에 '360시리즈'를 발표합니다. 360이라는 말은 기존의 컴퓨터를 360도 뒤집는 신개념의 컴퓨터를 출시하겠다는 IBM의 굳은 의지를 반영입니다. 이 시기에 다른 컴퓨터 회사들 DEC, GE, RCA, XEROX 등에서는 미니컴, 오피스컴, 프라컴, SBC(Small Business Computer)등의 이름으로 컴퓨터 사무용으로 상용화되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71년 일본은 미국의 인텔사에 연산, 제어, 기억 장치의 프로그램이 한개의 칩안에 집적될 수 있는 신소자의 제조를 부탁합니다. 인텔은 개발에 성공하게 되고, 이러한 칩은 4비트로 처리되었으며 사무실용으로 사용되고 있던 이전의 3세대를 추월하는데 이것이 바로 8004입니다. 이 마이컴은 조립시에 납땜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많이 거쳤는데 이때 스티브 잡스는 애플사를, 휴렛과 패커드는 휴렛팻커드 등의 굴지 회사가 탄생하게 됩니다. 현재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컴퓨터는 인텔의 CPU를 탑재하고 있는데 CPU의 개발 속도에 따라서 마이컴, PC의 성능은 급속도로 발전하였습니다.
지금의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단점중에 하나는 1940년대의 폰 노이만 방식에 기초한 설계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폰 노이만 방식이란 컴퓨터가 한번에 한가지만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유로운 조작을 위해서는 휴먼 인터페이스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점도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초고속 집적회로를 개발해 내고 인공지능을 부여하기 위한 컴퓨터개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이전글 | 광혜원중 1528 신동혁 |
---|---|
다음글 | 덕산중학교 1학년1반 조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