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중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RE:1일과학체험- 성암초 6학년 송만규
작성자 허정민 등록일 13.02.04 조회수 5

을 내는 이유는 최근에 들어서야 겨우 알아낸 비밀중에 하나입니다.

 

가장 최근에 들어서야 은 핵융합을 하면서 을 낸다는게 밝혀졌죠.

 

핵융합을 한다고 알기 전까지는 이 커졌다 작아졌다하면서 을 낸다고 알고 있었죠.

 

핵융합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플라즈마수소원자 4개가 서로 원소반응을 일으키는게 먼저입니다.

수소의 경우는 '원자의불 '이라고 합니다.  1천만도의 온도가 되어야지만 이런 반응이 가능

해지게 됩니다.

 

그리고 합쳐진 원소가 헬륨이 되는 과정에서 질량손실 이 일어납니다.

손실된 질량은 에너지로 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핵찌꺼기인 헬륨을 만들어내는 것이죠.

 

이게 바로 현재 인류의 미래가 걸린 대체에너지중에 하나인 핵융합입니다.

 

그리고 은 이런 수소핵융합에 사용할 수소가 다 떨어져도 을 내는게 가능합니다.

핵융합찌꺼기인 헬륨으로 헬륨핵융합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정리

-> 핵융합으로 을내며 최소 태양의 1/10정도의 질량을 가져야 내부압과 중력의 균형을

맞추어 중심온도를 1천만도를 만드는게 가능합니다. 이렇게 중심온도가 1천만도가 되지

못하면 이 될수 없는 것이죠. 끝까지 적외선 로 남아있다 서서히 식거나 터져 버리죠.

이 될려다 실패한 들은 말입니다.

이전글 덕산중 1학년1반 서승엽 ㅡㅡ ㅡㅡㅡㅡㅡㅡㅡ
다음글 덕산중학교 1학년 2반 박효민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