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성암초등학교 6학년 1반 조용성 (질문5) |
|||||
---|---|---|---|---|---|
작성자 | 신한결 | 등록일 | 13.02.04 | 조회수 | 8 |
척추동물에서는 어류에 있으며 양서류에서는 그 유생(올챙이)과 일부 성체가 새역(
보통은 새역에 늘어서 있는 몇 쌍의 아가미
구멍에 의하여 외계에 열려 있는 점막의 주름이다. 이 주름을 새판(
무척추동물에서도 여러 가지 형태의 아가미
를 가진 것이 있다. 두색류(頭
索
類
:창고기)는 새열(
곤충의 수생유충에도 여러 가지 아가미
가 있다. 즉, 표피가 돌출하여 실 모양 ·잎 모양 ·주머니 모양으로 되고, 그 속에 기관의 소지(小
枝
)가 분기한 기관새(氣
管
연체동물의 아가미
는 그 기본이 되는 본새(本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아가미 의 구조가 독특합니다. 즉 물과 닿은 면적(표면적이라 합니다.)이 넓어야만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쉽게 일어납니다.
그래서 표면적을 넓게하기 위하여 아가미 구조가 깃털과 같은 구조 로 되어 있어서 그 사이로 물이 지나가게 되면 체내에 있던 이산화탄소와 물에 풍부한 산소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교환되게 됩니다.
기체 교환의 원리는 저 위에서 설명된 '확산'현상에 의한답니다. 즉, 농도가 높은 곳에서 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인데요, 산소는 흡수되고 이산화탄소는 방출됩니다
물고기는
호흡을 머리의 양옆에 있는 아가미로
하고 있다. 각 아가미
는 뼈나 물렁뼈로 된
가는 아가미 판에 의해 튼튼하게 받쳐져 있으며, 수많은 염분 배출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물고기는 입을 열고 산소가 들어 있는 물을 빨아들이고, 그 물은 아가미 를 지나서 아가미 뚜껑 뒤에 있는 작은 방에까지 끌어 올려진다. 아가미 안의 가는 모세혈관을 흐르는 피는 쓸모 없는 이산화탄소로 가득 차 있으며, 산소가 거의 없다. 그때 산소가 모자라는 피와 산소가 가득한 깨끗한 물 사이에서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친 아가미 의 피는 산소가 많아져 다시 깨끗하게 되고, 이산화탄소로 가득 찬 물은 물고기 의 입이 닫힐 때, 아가미 뚜껑 뒤에 있는 구멍을 통해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
이전글 | 덕산중 1학년1반 서승엽 ㅡㅡ ㅡㅡㅡㅡㅡㅡㅡ |
---|---|
다음글 | 덕산중학교 1학년 2반 박효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