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인력과 원심력(달과 지구가 회전운동할 때 생기는 것으로 지구로부터 달아나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발생함.
바닷물이 들어오는 밀물과 바닷물이 빠지는 썰물은 하루에 각각 두 번씩 찾아온다. 우리나라는 동해안보다 서해안에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크며, 그 크기는 최대 약 10m에 달한다.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인력과 원심력, 즉 달과 지구가 회전운동할 때 생기는 것으로 지구로부터 달아나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즉 달쪽을 향한 바닷물이 달의 끌어 당기는 힘에 의해 부풀어 오를 때 반대편 지구의 바닷물은 원심력에 의하여 부풀어 오른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바다가 밀물이 될 때 지구 반대편 우루과이의 바다 역시 밀물이 된다. 따라서 지구가 하루에 한 번 자전하는 동안 한 번은 인력에 의해서, 또 한 번은 원심력에 의해서 두 번의 밀물이 발생하게 된다. 태양도 밀물과 썰물에 영향을 미치나 달보다 아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달보다 작다. 달은 음력 한달을 주기로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보름과 그믐에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 위에 있게 되는데 이 때는 태양의 인력이 합쳐지면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가장 크게 되며 '사리'라고 한다. 한편 태양, 지구, 달이 직각으로 배열되는 상현과 하현에는 인력이 상쇄되어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작아지는데 이 때를 '조금'이라고 한다.
서해는 동해나 남해에 비하여 바다가 육지 깊숙히 들어와 막혀 있는 형태이므로 밀물이 들어올 때 출구가 막혀 넘치는 현상에 의해 물 높이가 더욱 높아지고, 썰물은 반대로 더욱 낮아지게 된다.
지구의 유일한 위성인 달이 범인입니다.
달은 지구와 매우 가까이 있어서 서로간에 인력이 작용합니다.
즉, 지구와 달이 서로 당기고 있지요.그러나, 달이 지구를 도는 원심력 때문에 인력이 작용하고 있어도 달이 지구로 추락하지는 않습니다. 인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지요.
밀물과 썰물은 달과 지구의 인력 때문에 생깁니다. 달이 태평양 상공 한가운데 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인력이 작용하므로 태평양의 바닷물은 달이 있는 곳으로 몰려 들게 되겠지요(밀물). 그럼 태평양 주변의 국가들은 반대로 바닷물이 줄어 들고요(썰물).
만약 달이 우리나라 상공에 떠 있다면 바닷물은 우리나라를 향해 모이게 되겠지요(밀물). 달이 멀리 달아나면 바닷물도 빠지게 됩니다(썰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