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중학교 로고이미지

진로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드림레터 제2017-8호(진로체험활동으로 진로탐색하기)
작성자 박영채 등록일 17.05.01 조회수 77

진로체험활동으로 진로탐색하기


중학생의 진로체험활동에 대해 알려드려요!

중학교 시기의 체험활동은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알아가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직업또는 학과등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가는 진로탐색에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중학교의 체험활동은 주로 현장견학, 직업모의체험, 진로캠프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자유학기를 이용해 학교에서 보다 다양한 진로체험을 합니다.

 은혜는 중학교 1학년 때, 자신이 무엇을 잘하고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찾지 못해 고민이 컸습니다. 하지만 2학기에 진행된 자유학기를 통해 여러 체험활동을 하게 되었고, 학교에서 진행된 진로심리검사와 진로캠프를 통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 가치관 등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은혜는 자신의 특성과 관련된 분야의 동아리활동에 참여하고, 모의체험관에서 관련 업무를 직접 체험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대학교의 여러 학과를 방문하여 견학도 하고 강의를 듣는 등 학과체험도 했습니다.

  그러자 희미하게만 느껴지던 진로의 방향이 서서히 잡혔습니다. 적성과 연관된 직업·학과 중에는 은혜의 생각과 다른 분야도 있었고 즐겁게 느껴지던 분야도 있었습니다.

  현재 은혜의 꿈은 항공기 승무원입니다. 은혜에게 자유학기는 자신도 몰랐던 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 매우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진로체험활동은 꼭 필요한 것일까요?

·고등학생 중에는 직업의 종류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하거나 자신에게 적합한 분야를 찾지 못해 진로탐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로체험활동은 현장 방문 및 직업인 강연 등 직간접적인 체험활동을 통해 다양한 직업 및 분야가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과 직업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막연하게 느껴지던 업무를 보다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어 자신의 성향에 적합한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진로체험활동

진로체험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양질의 체험처를 찾는 것입니다. 현재 중학교에서는 진로체험활동의 일환으로 자유학기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학교의 진로체험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지원청과 관할 지자체, 지역사회 유관기관 등이 협력하여 자유학기·진로체험지원단을 운영 중입니다.

지자체, 지역사회 유관기업 등은 주로 지역사회에서 체험 가능한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며, 자유학기제·진로체험지원센터는 지역에서 진로체험활동이 가능한 장소를 찾고 아이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제공합니다.

 

진로체험활동 전, 안전교육은 필수에요!

[안전교육 자료]

현장체험학습 안전 길라잡이와 안전한 진로체험 안내서

진로체험활동은 특성상 직업과 관련된 기구를 다루거나 야외활동이 많기 때문에 체험활동 전 안전교육은 필수입니다. 학부모님께서는 진로체험활동 전, 어떤 활동을 하게 되며 위험요소는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여 자녀가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미리 숙지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세요.

안전교육 자료로는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현장체험학습 안전 길라잡이와 커리어넷에서 제공하는 안전한 진로체험 안내서[커리어넷>진로교육자료>(좌측)‘안전한 진로체험 안내서검색]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드림 직업·학과 정보

「국제회의 관련 직업 및 학과를 소개합니다

 [직업 살펴보기 : 국제회의전문가]

 

직업 개요

-국제회의전문가는 국제회의, 행사 및 전시회를 기획하고 유치하여 진행시키는 총괄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직무입니다.

 

직무 내용

- 국제회의, 전시회 등의 행사를 기획하고 이를 주최하기 위해 관련 업체 및 후원자들을 만나 행사의 크기, 형식, 예산 등에 대해 논의합니다.

- 전반적인 기획을 한 후, 참가자 등록업무, 숙박, 행정, 관광, 전시회 등의 국제회의 관련 준비를 진행합니다.

- 행사를 국내외에 홍보하고, 원활한 진행을 위해 통역사 및 관련 종사자를 섭외합니다.

- 진행에 필요한 지원자들을 모집, 채용하여 교육시키고 지원자들의 활동을 지휘·감독합니다.

 

정규 교육과정 및 직업훈련

- 국제회의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경제·경영, 관광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대학 부설 직업훈련기관의 국제회의전문가, 컨벤션전문가 양성과정을 통해 국제회의전문가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흥미 및 적성

- 유창한 외국어 구사 능력은 필수이며, 원활한 회의 운영을 위한 계획력, 조직력 및 실행력이 요구됩니다.

-회의를 진행할 스태프들을 관리, 통솔할 수 있는 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과 여러 돌발 상황으로부터 유연히 대처할 수 있는 위기관리능력이 필요합니다.

- 국제 사회의 역사와 현 국제 상황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각국 대표의 이해관계 및 요구 사항을 조화롭고 융통성 있게 조율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 직업정보)

 [학과 살펴보기 : 컨벤션경영학과]

 

학과 특성

- 국가 경쟁력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회의나 행사가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 특히 세계적인 회의나 엑스포 등의 유치는 국가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함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전문팀을 구성하여 행사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컨벤션경영학과는 이렇듯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제회의, 전시 및 이벤트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컨벤션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학습합니다.

- 체계적인 현장실습을 통해 컨벤션 유치 및 운영실무 능력을 배양합니다.

 

주요 교과목

-전공 기초: 관광학개론, 문화관광영어, 경제학원론, CEO특강 등

- 전공 필수: 마케팅원론, 인적자원관리, 경영통계학, 재무관리, 회계원리 등

- 전공 선택: 컨벤션마케팅론, MICE경영정보기술활용, 국제회의영어, 컨벤션관광개발론, 해외전시마케팅론, 컨벤션유치협상론, 국제매너와 비교문화론, MICE관광지관리론, 전시컨벤션경영세미나, 캡스톤디자인(컨벤션경영)

 

졸업 후 진출 분야

- 기획사 관련: 국제회의기획사, 이벤트기획사, 전시기획사, 연회기획사, 컨벤션 뷰로

- 조명 및 음향 업체 관련: 이벤트 조명 전문업, 이벤트 음향 전문업

- 행사장 관련: 컨벤션센터, 전시센터

- 기타 기업 및 공공기관 관련: 호텔, 여행사, 공공기관, 협회, 외국인 기업체, 민간기업 등

(출처: K대학 컨벤션경영학과)

이전글 드림레터 제2017-9호(4차 산업혁명, 그것이 알고 싶다)
다음글 드림레터 제2017-7호(좌충우돌 부딪히다 다 내려놓으니 진로가 보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