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학교자율시간(지구인) 활동 - 2025. 하소천 답사 |
|||||
---|---|---|---|---|---|
작성자 | 박상선 | 등록일 | 25.03.21 | 조회수 | 29 |
첨부파일 | |||||
이번 주에는 4학년 교사들끼리 학교자율시간과 관련된 활동을 할 예정인 하소천을 점검해보았다. 먼저 하소천 답사를 하기 전 교사들끼리 자율 연수를 통하여 학생들이 어떤 관점으로 수업에 몰입할 것인지를 예상해보았다.
1. 환경결정론 (Environmental Determinism) - 이론: 환경적 요인이 인간의 행동과 사회 발전을 결정짓는다고 주장. 즉, 기후, 지형, 자원 등이 인간 문화와 생활 방식을 크게 좌우한다는 것. - 예시: 농업이 가능한 지역에서 농업 중심의 사회가 발전하는 경우.
2. 환경가능론 (Possibilism) - 이론: 인간은 환경의 제약을 받지만, 환경의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와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다고 봄. 인간의 창의성과 적응력이 강조. - 예시: 사막 지역에서도 수자원 개발이나 기술 혁신을 통해 농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
3. 문화결정론 (Cultural Determinism) - 이론: 인간의 행동과 사회 구조는 주로 문화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 환경은 영향을 미치지만, 문화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봄. - 예시: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도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4. 생태학적 입장 (Ecological Perspective) - 이론: 인간과 자연은 상호작용하는 생태계의 일부분으로, 인간 활동이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 지속 가능성과 생태적 균형을 중시. - 예시: 생태계 보호와 지속 가능한 개발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이루려는 노력.
학생들이 어떤 입장에서 접근하더라도 이해해주고 충분한 도움을 주기 위하여 간단하게 예상 관점들을 정리하고 이후 하소천을 답사하였다.
하소천 주변에는 쓰레기가 거의 없었고 다만 뱀이 나온다는 표지판이 보였다. 뱀도 놀라겠지만 사람도 놀라지 않을까.
하소천 답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1. 가뭄으로 인해 물이 얕은 상태고 바닥이 보이기는 하나 깨끗하다고 볼 수는 없는 것 같았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소천 산책로에는 쓰레기가 거의 없었고, 물고기는 볼 수 없었지만 오리가 사냥을 하는 걸로 봐서 생태계는 유지되고 있는 걸로 추측할 수 있다. 3. 좀 더 날이 풀리고 따뜻해지면 하소천에서 생태환경 수업 진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이며, 혹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확인과 대책을 고려해보았다. |
다음글 | 4학년 학교자율시간(지구인) 활동 - 2025. 4학년 대상 학교자율시간 개요 설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