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원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음식쓰레기 “지렁이한테 맡겨봐”
작성자 국원초 등록일 09.04.29 조회수 107
음식쓰레기 “지렁이한테 맡겨봐”
서울신문 2005-11-30


최근 음식물 쓰레기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음식물 쓰레기를 지렁이에게 먹여 처리하는 ‘지렁이 화분’을 소개한다.

●지렁이는 음식물처리 해결사

서울 YWCA가 지난 1일부터 22일까지 지렁이 화분 이용자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지렁이 화분을 이용해 음식물쓰레기를 줄였다는 응답자가 92%에 달했다. 특히 지렁이 화분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절반 이상 줄였다는 응답자는 22.2%나 됐다.

지렁이 화분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지렁이 배설물인 분변토를 퇴비로 쓰는 자원활용 34% ▲음식물을 남기지 않는 생활습관 26% ▲환경의 소중함을 깨달음 32% ▲가족간 늘어난 대화 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렁이 화분은 일주일에 100∼400g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며,4인가족의 경우 지렁이 화분 4개를 이용하면 남는 음식물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 단 음식물을 최대한 남기지 않는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지렁이 배설물은 양질의 퇴비

이처럼 지렁이 화분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올해부터 음식물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자 음식물 쓰레기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하루평균 음식물 쓰레기는 3·4분기 현재 3392t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2686t에 비해 26.2% 늘었다. 음식물 쓰레기는 1분기 2929t,2분기 3162t 등 꾸준히 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사료화(59.8%), 퇴비화(38.4%)되고 있지만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 김경호 환경과장은 “사료와 퇴비의 품질이 낮아 상품화가 되지 못하고 오히려 처리비를 주고 떠넘기는 실정”이라면서 “지렁이 화분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법은 통계에도 잡히지 않을만큼 미미한 수준이지만 친환경적인데다 양질의 퇴비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지렁이 화분 만들려면

지렁이 화분은 보통 2∼3단짜리로 맨 아래 화분의 흙에는 지렁이와 음식물쓰레기를 넣어두고, 뚜껑격인 맨 위의 화분에는 식물을 심는다. 지렁이가 음식물 쓰레기를 먹은 뒤 배설하는 ‘분변토’는 화초의 퇴비로 활용한다.

지렁이 화분은 에코붓다,YWCA, 정토회 등 시민·종교단체에서 부정기적으로 분양하지만 집에서 스스로 만들 수도 있다. 우선 높이 30㎝의 항아리형 토분 2개와 넓적한 토분 1개, 지렁이, 분변토를 준비한다.

두 개의 항아리형 화분에는 분변토와 지렁이를 넣고, 맨 위 화분에는 식물을 심어 올려둔다. 흙은 분변토와 일반 흙을 1대1 비율로 하면 된다. 흙과 지렁이의 비율은 2대1이나 3대1이 적당하다
이전글 브로콜리에 대하여
다음글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노하우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