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영수련활동, 체험학습시 지켜야 할 성희롱. 성폭력 예방 안내 |
|||||||||||
---|---|---|---|---|---|---|---|---|---|---|---|
작성자 | *** | 등록일 | 15.05.18 | 조회수 | 425 | ||||||
첨부파일 |
|
||||||||||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1학년 야영활동 및 2,3학년 현장 체험학습을 앞두고 본교에서는 성희롱 ․ 성폭력 피해예방과 흡연, 음주, 안전사고 예방과 건강관리를 위한 가정통신문을 배부하오니 안전하고 유익한 수련활동이 되도록 자녀의 지도에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성폭력이란? 상대방의 동의 없이 강제적으로 성적 행위를 하거나 성적 행위를 강요 또는 위협하는 모든 행동. 즉, 성폭행(강간), 성희롱, 성기노출, 강간미수, 강간, 성적 가혹행위, 음란물 보기, 윤락행위 강요, 인신매매 등 성적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모든 말과 행동이 성폭력에 속합니다.
⁃ 이성에 대한 관심의 표현은 언제나 바르고 진지하게 ⁃ 친구 간에 바른 언어를 사용하며 상대의 의견을 존중 ⁃ 다른 친구의 이성친구 관계 비난하지 않기 ⁃ 신체에 대해 놀리거나 싫어하는 별명 부르지 않기 재미삼아 상대방에게 성적인 농담, 몸매에 관한 농담을 했어도 상대가 불쾌감과 정신적인 피해를 입었다면 성희롱에 해당 ⁃ 성폭력 및 성희롱의 위험이 있는 장난은 피합니다. 게임의 규칙이었다 하더라도 나중에 성폭 력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2. 성폭력 예방 행동요령을 습관화 하자. ⁃ 선생님의 허락 없이 개인행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 상대방의 입장에서 보다 나의 안전을 먼저 생각한다. ⁃ 누군가 나의 몸을 만지거나 싫은 느낌이 들면 도망을 가거나 소리를 질러 도움을 청한다. 3. 피해를 당했을 때의 대처 방법 ☞ 반드시 명확한 거부의사를 표시하도록 한다. ⁃ 대부분 성희롱을 행한 사람들은 그러한 행위가 친밀감의 표시였다고 말함.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피해자가 아무런 거부 표시를 하지 않는 것은 동의하거나 함께 즐긴다고 생각하 게 된다. ⁃ 거부의사를 직접 표현하기가 어려울 경우(즉 잘 알고 있는 사람의 경우)소극적이긴 하지만 불쾌한 표정을 짓거나 친구들을 부른다. 혹은 그 자리를 피하도록 한다. ☞ 항의를 한다. ⁃ 대부분의 성희롱 피해자가 원하는 것은 성희롱을 중지하는 것이다. 성희롱 피해가 계속될 경우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문제의 행동이 본인을 얼마나 불편하게 하고 일에 방해가 되는지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밝힌다. ☞ 반드시 친구 3-4명과 짝지어서 다니도록 하며, 야간에는 어디든지 가지 않는다. ☞ 지정된 호실 외에 어른이 부른다고 그 호실을 방문하지 않도록 한다. ☞ 친구들이 자는 동안 몸에 함부로 낙서하거나, 옷을 벗기거나, 허락 없이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는 행위는 성추행에 해당하는 행위로써 타인에게 상처를 줄 뿐만 아니라 위법인 행동이므로 절대 금물 ☞ 만일의 경우 인솔 선생님이나 부모님, 여성위기전화(국번없이 ☎1366)로 빨리 도움을 요청한다. ☞ 휴대폰 소지와 긴급하게 연락할 수 있는 연락망을 알아둔다. ☞ 자신이 가는 곳을 주변(친구, 선생님)에 명확하게 알린다. ☞ 평소 성폭력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숙지해놓는다.
4. 성폭력 예방 행동요령 1) 위험은 예방이 최선이다 - 위험한 상황을 만들지 말라 2) 성폭력은 대부분 아는 사람에 의해 일어난다. 평상시에 자기주장을 분명히하고, 자신감있는 태도를 보여주면, 성범죄자들은 피해자가 ‘성폭력 상황이 되었을 때, 적극적인 대처능력을 가지고 신고를 하면서 상황을 해결하는 사 람’이라는 생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피해자가 신고를 할 것인지, 또는 하지 않을 것인지 하는 생각은 성범죄자가 대상자를 고를 때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다. 3) 밤에 좁은 골목길을 다니게 된다면 휴대전화 통화를 하면서 걷는다. 범법자들은 통화를 하 며 외부와 연결된 상대를 범행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범행상황이 전달돼 덜미가 잡힐 것을 염려하기 때문 4) 엘리베이터를 탈 때 남자와 단둘이 타지 않는다. 그래야 한다면 잠시 기다려서 다음번에 타도록 한다. 5)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 남자와 단둘이 있다면 문 앞쪽에 자리를 잡아 언제든지 문이 열리면 즉시 나갈 수 있게 준비하라. 6) 엘리베이터안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모든 층의 버튼을 누른다. 2015. 5.20 각리중학교장 |
이전글 | 2015 정보공시 3차(5월) 안내문 |
---|---|
다음글 | 2015. 세계 금연의 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