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중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RE:건전지는 무엇으로 만들어지나여?
작성자 강준길 등록일 12.11.07 조회수 156

* 건전지의 원리는?

건전지의 구조는 (+)극은 탄소 막대, (-)극은 아연통을 사용하며, 그 둘레에 염화암모늄과 흑연, 이산화망간을 넣고 종이나 헝겊으로 감았다.일반적인 작용은 음극인 아연(Zn)은 염화암모늄(NH4C1) 수용액에서 아연 이온이 되어 전자 2개를 아연판에 남겨주고, 아연 이온(Zn2+)은 염화암모늄과 화합하여 수소 이온(H+)을 만든다. 따라서 아연판은 전자가 모여서 (-)극이 되고, 이온 반응식은 (-)극 아연판에서는 Zn→Zn2++2e로 된다. 탄소막대는 (+)극이 되고 2H++2(-)반응이 일어난다.이때 수소 기체가 (+)극에 달라붙어서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데 소극제인 이산화망간을 이용하여 제거해준다.

 

*건전지의 구성요소

모든 전지는 양극(cathode or positive electrode) 과 음극(anode or negative electrode)이라는 활물질 들을 가지고 있고, 분리막(separator) 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으며 또한 두 전극사이의 이온 전달을 가능케 하는 전해질(electrolyte)에 담겨져 있다. 전등, 기계, 기구 등을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지의 두 전극 사이에 충분한 전압과 전류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전극물질과 전해질이 선정되어 특별한 구조로 배열되어져야 한다. 전지의 4대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다.

 

양극(cathode) 외부 도선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양극 활물질이 환원되는 전극.

 

음극(anode)음극 활물질이 산화되면서 도선으로 전자를 방출하는 전극.

 

전해질(electrolyte)양극의 환원 반응, 음극의 산화반응이 화학적 조화를 이루도록 물질이동이 일어

 

나는 매체.

 

분리막(separator)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 방지를 위한 격리막.

 

전지의 음극은 기본적으로 전자를 내어주고 자신은 산화되는 물질이며, 양극은 전자를 받아(양이온과 함께) 자신은 환원되는 물질로서, 전지가 외부 load (전등, 기구)와 연결되어 작동할 때,

즉 전지의 방전 반응이 진행할 때 두 전극은 각각 전기화학적으로 다른 상태로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때 음극의 산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는 외부 load를 경유하여 양극으로 이동하고 양극에 이르러 양극 물질과 환원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전해질 내에서 음극과 양극 방향으로의 anion negative ion)과 cation (positive ion) 의 물질이동에 의해 전하가 흐르는 작업이 완성된다.

이렇게 전해질 내부에서는 외부도선에서 계속해서 전하가 흐르도록 반응을 일으키고, 이에 힘입어 외부도선에서는 흐르는 전하로 전기적인 일을 하게 되는 것이 전지의 작동 원리이다. 이 과정을 전지로 볼때는 '방전'이라고 한다. 따라서 계속하여 전지가 전기적인 일을 하게 되면, 전지의 전압은 계속 낮아지고 결국 외부에서 전하를 이동시킬 수 없을 때까지 이르게 된다. 이때 폐기하게 되는 전지를 1차 전지라고 하고, 거꾸로 전하를 흘려주는 작업, 즉 다시 전지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2차 전지라 한다. 충전 시에는 방전반응과는 반대의 반응이 진행되어 전지 본래의 화학적 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전글 골끼퍼는 어떻게해서 몸을날리나요?
다음글 대근이는 왜 키가 작을까요?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