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물이 정수기에서 정화되는 이유 |
|||||
---|---|---|---|---|---|
작성자 | 강준길 | 등록일 | 12.09.14 | 조회수 | 136 |
질문방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수기의 원리 요즘 가장 많이 쓰이는 기공크기에 따른 처리방식을 살펴보면, 여기에는 세라믹필터, 한외여과막(일명 중공사막), 역삼투압(일명 멤브레인) 등이 속한다. 한외여과막
, 일명 중공사막
은 기공의 크기가 일반 세균이나 대장균까지 걸러낼 수 있을 정도로 조밀해 유기물질이나 각종 미생물 대부분을 걸러낼 수 있다. 그러나 이온성 물질(중금속 및 각종 화학물질)은 제거되지 않으며, 실타래 모양의 구조가 연약하여 쉽게 막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허용온도를 넘어서 정수를 하게되면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입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역삼투압 방식의 경우 몸에 이로운 각종 미네랄 성분까지 여과되는 것을 문제삼기도 하나, 전문가들은 물을 통해 섭취할 수 있는 미네랄은 이미 다른 식품류를 통해 충분히 보충되고 있어 문제될 것이 없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또한 역삼투압 방식의 산성도에 대해 논란이 많았으나, 이미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연구소에서는 역삼투압 정수기로 거른 물은 pH 6.4 안팎으로 정부의 먹는 물 수질기준(pH 5.8∼8.5)에 적합하며, "단순히 pH 수치만 가지고 물의 유해성을 논하기는 어려우며 그보다는 마시는 물의 기준인 45개 항목에 적합한지를 종합적으로 따져야 할 것이다"라고 밝힌 바 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 | 총을맞으면 어떤느낌? |
---|---|
다음글 | 음식물이 썩는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