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감기약을 먹으면 왜 졸릴까요?? |
|||||
---|---|---|---|---|---|
작성자 | 정지영 | 등록일 | 12.01.04 | 조회수 | 105 |
뇌는 잠자는 시간과 깨어있는 시간을 조절하는 생체시계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 같은 기능은 눈 뒤쪽 뇌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시신경교차상핵(SCN)
이라는 곳에서 담당합니다. 빛에 반응해 뇌신경호르몬의 분비, 체온, 렘수면 상태의 길이 등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생체시계를 관장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변화시켜 수면을 조절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콧물감기에 걸려 약을 먹으면 대책 없이 졸음이 온다. 이처럼 생체시계가 어긋나는 이유는 뭘까요. 자지 않는 동안에는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히스타민성 신경이 활성화돼 뇌가 깨어있는 각성상태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비렘수면 동안에는 히스타민성 신경의 활성이 줄어들고, 렘수면 동안에는 활성이 더욱 줄어듭니다. 콧물감기약에 들어있는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성 신경을 억제해 뇌가 각성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졸음이 오는 것입니다. |
이전글 | 사람의 팔은 왜 한쪽으로는 접히지만 반대쪽으로는 접히지 않을까요?? |
---|---|
다음글 | 하품은 전염이 되나요?? |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