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등을 태우면 나오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피해는 얼마일까요? |
|||||
---|---|---|---|---|---|
작성자 | 강준길 | 등록일 | 11.12.16 | 조회수 | 115 |
질문방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대사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의 량과 종류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후 환경중으로 유해물질을 배출시키지 않고,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폐 플라스틱류를 소각처리 할 경우 폐플라스틱의기질 및 첨가제로 함유된 각종 유기물질과 중금속 및 염화수소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한 폐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매우크다. 특히 95년부터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된 후생활 폐기물의 량은 36% 정도 줄었고 재활용되는 것들도 늘었지만, 폐 플라스틱을 포함한가연성 폐기물의 노천 소각처리가 성행하고 있다.폐 플라스틱이 소각되는 과정은 플라스틱이 열분해되어 액/기화된 후 산소와 반응하여연소되며 여러 가지 연소생성물이 생성된다. 여러종류의 프라스틱이 같이 소각될때는 단독으로 소각될때보다 더욱 다양한 연소생성물이 생성된다. 특히 PVC와 같이 염소를 포함한 화합물과 함께 소각되면 유독한 새로운 염소화합물이 생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폐플라스틱의 연소 생성물에 관한 연구는 열분해와 연소과정이 복합된 연소로를 이용하여 수행했거나, 소각로 자체를 이용한 실험들로서 각단계에서 생성되는 화합물들을 구별하기 어려웠고, 전체 조작의 조건을 조절하기가 용이치 않아 미량으로 생성되는 독성 염소화합물의 연구에 부적합했다. 본 연구는 2개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1차년도에는 큐리포인트 유도화가열방법과 니크롬선을 이용한 열분해연소장치를 제작하였고, 이 장치에서 배출되는 연소생성물을 고체흡착제에 채취한후 열탈착과 저온농축과정을 거쳐 캐필러리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도입하여 질량분석기로 검출하는 연소생성물 분석 시스템 및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를이용하여 PS, PVC PE,의 연소율을 검토하였다. 2차년도에는 PVC와 PE 및 PS의 혼합연소 생성물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연소생성물중 클로로벤젠류, 클로로톨루엔 및 벤질클로라이드 등 염소화합물이 새로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금속염화물(염화구리, 염화철, 염화주석)이 플라스틱의 혼합연소시 클로로벤젠의 생성에 미치는 상승효과를 검토한 결과 염화구리에 의한 상승효과가 제일 높았다.이와 같이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폐 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유화 하거나 가스화 하여재활용하는 기술의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 플라스틱을 소각처리하는 소각장의 운영방법 및 지침으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
이전글 | 사람은 수면을 취하지 않고 며칠을 버틸 수 있을까요? |
---|---|
다음글 | 잠수병은 무엇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