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7,8월 보건소식(복약법 포함)
작성자 김옥금 등록일 22.07.19 조회수 315
첨부파일

 기온이 점점 올라가면서 유행성각결막염(눈병), 수족구병, 일본뇌염 등 각종 감염병 발생률이 높아지는 시기입니다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해 손 씻기, 음식물 익혀서 먹기, 규칙적인 생활하기 등 건강생활수칙을 실천하도록 합시다.

 온열질환이란?  

여름철 감염병 예방

청소년 시절의 좋은 건강습관이란?

학부모와 함께하는 양성 평등교육

에너지 음료의 부작용

학부모와 함께하는 흡연예방교육 등

*자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급약사용법< 출처 : 온라인싸이트 전문악사 >

증 상

성 인

주의점

비 고

소화불량, 과식, 식체

·속청 이나 베나치오액 1,

·베아제 1

*베아제 : 위와 장 작용하는 효과 빠른 소화제, 식후복용

-다른 약 복용 시 의사와 상의

*베나치오 : 도파민수용체 차단 위 기능 강화

-속청, 베아제 1-2

(심하면 같이 복용)

-처방받은 형제의 약을 증상이 같다고 복용하지 말 것(약마다 기전이 다르기 때문이며 이약 저약 혼용 사용은 약품의 잘못된 사용법임)

묽은변, 복부팽만감,

배탈, 설사

·스타빅 스틱 1,

정로환()

·제이부틴()

*식후 30분 복용

*제이부틴() : 과민성대장염증후군

열이 나거나 두통, 치통, 생리통이 있을 때

·타이레놀500mg,

·이지엔6, 타이레놀W 1

*식후 30분 복용

*타이레놀(해열진통제)500mg-체온 37.8도 이상일 때 복용

-타이레놀(타세놀)500g1~2: 간독성(간대사 100%)많은 편으로 장기복용은 간손상 유발할 수 있다.

, 이지엔6(그날엔)1~2

감기증상 (기침,가래,

콧물, 재채기 등)

·신한방화콜2(아세트아미노펜150mg),하벤허브(아세트아미노펜200mg) 1

*식후 30분 복용

-광동탕 100ml 1병 같이 복용

-종합감기약 복용하거나 보건실에서 1시간 안정을 취함

콧물, 코막힘, 재채기

·콜화콜C노즈1

코미정 1(4시간 마다)

*식후 30분 복용

소염 진통제

·마이노신,크로낙정

*마이노신:12캡슐 식전 또는 식간 복용

크로낙정(광범위소염진통제) : 11~2정 식후복용, 근육, 신경통,

두통, 치통

-마이노신 : 발적, 부기, 화농성질환

-크로낙정 : 소화성궤양 환자 투여금지

음식물 알러지 반응(숨쉬기 어려움)

·지르텍1/2,세노바1

*항히스타민제

목이 답답하거나 따가울 때

·미놀1, 세가톤1

*입안에서 천천히 녹여서 사용한다

11정씩 6회까지(2시간 간격)

위가 콕콕 쑤시듯이 아픔

·알마겔1, 노루모에스 1

*위내 위산 중화해주는 약 혈액내 흡수되지 않음

식후1~2시간후 복용, 제산제로 위액을 중화시킨다

멀미약

·소보민시럽 1/1(4시간 이상 간격 두고 재복용)

·메카인 : 승차 1시간전 11

찰과상, 외상

, 모래 등의 이물질을 물이나 크린조로 깨끗이 깨끗이 씻은 후 소독약으로 분무소독한 후 후시딘연고를 바르고 밴드를 부착한다.

* 소독약 - 애니클렌은 분무형 소독제이므로 흔든 후 상처에 뿌려서 사용

* 밴드 종류 일회용밴드, 드레싱밴드(큰 상처에 부착), 듀오덤(얼굴상처 등에 흉터 방지를 위해 부착)

화상

차가운 물로 씻고 하이맘번으로 스프레이 후 리도가아제나 화상연고를 바른 후 거즈를 댄다.

삐거나 멍들거나 근육통 이 있을 때

타벡스겔이나 물파스 에어파스을 바른다. <, 움직이기 힘들어하거나 부종, 통증이 심하면 탄력붕대를 감은 후 병원으로 보낸다.>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눈앤 점안 또는 멀티크린(식염수)을 따서 눈에 점안

게보린, 펜잘 등 해열제 주의사항

1. 15세 미만의 학생과 소아는 이 약을 복용하지않는다.(소아, 청소년, 15세 이상 학생이 이용하는 기관에서 약물 사용을 금한다:성장 장애)

2. 게보린등 해열진통소염제(타이레놀 포함) 복용량을 5~10배 이상 과량 약물남용 시 소화관내 출혈, 급성 간부전(100% 간대사: 타이레놀) 등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기타(복통)

복통으로 내원하는 대부분 학생들은 속옷 런닝을 입지 않았거나 차가운 물 음료 우유를 마신 후 배가 차가워지면서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침을 결식하고 등교하는 습관은 많은 학생들로부터 위염을 호소하게 한다. 위염이 생기면 생활습관을 바꾸고 진단병원의 처방약으로 3개월 정도의 투약기간이 요구된다.

법령(보건교사

투약 범위)

보건법 제15조의 2(응급처치 등) 학교장은 사전에 학부모 동의와 전문의약품을 처방한 의사의 자문을 받아 보건교사로 하여금 1형 당뇨로 인한 저혈당쇼크 또는 아나필락시스 쇽으로 인하여 생명이 위급한 학생에게 투약행위 및 응급처치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전글 [가정통신문] 본관 석면해체 및 제거공사에 따른 사전설명회 개최 안내
다음글 [가정통신문]제159회 학교운영위원회 임시회 회의결과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