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중학교 로고이미지

인성교육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일 상 생 활 예 절
작성자 신명화 등록일 25.09.04 조회수 1

웃어른 모시고 보행시

약자나 어른을 모시고 길을 걸을 때는 어른을 인도 안쪽에 모시고 나는 인도 바깥쪽(찻길쪽)으로 걷는다.

길을 잘 알고 계시는 어른을 모시고 갈 경우에는 나는 한발 뒤에서 걷고 어른이 길을 모르실 경우는 내가 한 발 

   앞서서 걷는다.

 

공공 장소에서

공공 장소에서 선생님을 만나면 반드시 인사를 한다.

공손히 머리 숙여 안녕하세요? 저는 OOO입니다라고 인사를 한다.

거리가 약간 떨어져 있으면 가까이 다가가서 반가운 표정으로 조용히 인사를 드린다.

◎ 모른 척 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

 

공원에 갔을 때

잔디밭이나 화단 등 출입 금지 구역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나 하나쯤이야하는 사고 방식을 버린다.

모든 사람이 보고 즐겨야 할 곳은 서로 아끼고 보호한다.

 

자기 소개

자신을 남에게 소개할 때는 자기를 가장 잘 알릴 수 있는 말을 생각해서 소개한다.

자기 이름과 소속을 분명히 밝히는 것이 예의이다. “저는 OOO입니다, 의 아버지는 OO자 입니다등 상대가  쉽게 알도록 주변 인물을 밝히는 것이 좋다.

 

친구들과의 약속

약속을 할 때는 선약이 있는지 깊이 생각한 후 신중히 해야 한다.

약속을 지키는 것은 곧 신의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약속한 일은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꼭 지켜야 한다.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은 신의를 목숨과 같이 중히 여겼던 일화들이 많이 있다.

신의를 우습게 여기는 사람은 실없는 사람으로 여기게 되는 점을 깊이 생각 해야 되겠다.

 

친구와의 약속 변경

약속은 중요하지만 부득이한 사정으로 지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대방의 마음이 상하지 않도록 최대한의 사후 

    대책을 세워야 한다.

자신의 약속 불이행으로 상대방이 손해(시간, 금전)를 보게 해서는 안 된다.

만약 자신이 중간에 조치를 취하지 못하여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었을 경우에는 최대한 보상하도록 노력해야한다.

약속을 지키지 못할 사유가 생기면 즉시 상대방에게 그 사유를 전하고 양해를 구해야 한다.

만약 상대방에서 약속 불이행에 대해 허락하지 않는다면 뒤에 한 약속을 포기하고 먼저 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 예의이다.

다음글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